이글은 RODALE'S SCUBA DIVING 지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하여 올립니다.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5장)
───────────────────


제 5장. 중성부력을 유지하라.


다이버라면 그 누구도 거치지 않으면 안되는 수련과정이 있다면,
바로 중성부력을 맞추는 과정이다.

중성부력을 맞춘다는 것이 어떻게 보면 아주 간단하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떻게 보면 그리 만만한 것은 아니다.

중성부력을 맞추는 것이 공기소모량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제 4장에서도 이미 간략히 언급한 바 있으니 여기서는 생략하고,



완전한 중성부력을 얻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초보자는 처음에 부력조절기공기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적절한 웨이트 무게와 호흡을 통하여 중성이 맞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제로 그렇게 조절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아주 초보단계의 중성부력을 의미하며,

완전한 중성부력은 아니다.


완전한 중성부력을 맞출 수 있는 사람이라면 다음의 동작이 가능하다.

부력조절기 공기를 완전히 뺀 상태에서 3-5미터 수심에서 1분이상 동일 수심을 유지하며 머무를 수 있어야 한다.
(왜 수심 3-5미터에서 연습하는지는 이유를 생각 해 보시기 바람.)


이러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최소한의 웨이트를 착용하여야만 하며,

호흡만으로 상승, 하강의 조절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때의 웨이트 무게와 자신이 첫 입수시 사용했던 웨이트 무게를 비교해 보면 아마도 까무러치게 될 것이다.

 

 

만약 이 과정이 완성된다면 다음의 동작을 연습하여야 한다.

수심 30cm정도에서 머물러 있다가 5미터 정도의 바닥으로 하강하는데 호흡조절 만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바닥에 닿으면 안되고 바닥위 30cm 까지 도달하면

즉시 정지하여 머물러 있다가 다시 수면을 향하여 상승한다.
이때 부력조절기는 절대로 사용하면 안된다.
상승 역시 수면까지 '뽕'하고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수심 30cm까지만 올라가서 정지한다.

이러한 과정이 완성된다면 폐속의 공기호흡조절법 만을 이용하여 완전한 중성부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위의 과정을 마스터한다면 수면위로 상승 혹은 입수함에 있어서 오리발을 사용하는 일이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오리발은 단지 장소 이동시에만 사용하게 될 것이다.


직접 호흡량 비교 테스트 결과, 중성부력을 얻음으로써
절약할 수 있는 공기량은 약 50-100 PSI 정도이었다고 한다.

 

**************************************************************

 

물속에서의 중성부력은 잠수에 있어서 총체적인 이야기입니다.

 

이글 들에서도 여러가지 이론들은 얼른 읽고 생각하면,

그게 그거라는 느낌이 들 정도로 세심하게 서술하여 놓았는데,

 

이것은 이런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워지거나 서로가 연관성이 있어서 그렇게 생각되어지며,

그것이 결국 이 중성부력이라는 이론에 귀속 내지는 연관 지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장에서는 주로 중성부력연습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어서,

중성부력이 잘 안되는 엉터리 잠수인 이라면,

꼭 연습해서 이 기술을 내것으로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상기 글 중에 3~5M에서 연습하시라는 지는 생각 해 보셨겠지요???

수심이 낮아지면 압력변화가 심하여지기 때문에 부레자켓이나 폐속의 공기 역시 수축 팽창이 심하여서 중성부력을 맞추기 힘든 위치이기도 합니다 !!!)

 

연습하실 때 예의 주시하여야 할 것은

폐속의 공기를 채우거나 또는 날숨으로 공기를 뱃어 낸 것이

부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는 건 확실합니다.  

그러나 이것으로 인해서 즉시 상승 또는 하강 반응이 오지는 않음을 느낄 수가 있읍니다.

 

이처럼 상승과 하강이 바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염두에 두고

호흡 후에 언제 쯤에 뜨거나 가라 앉나 하는 것을 잘 숙지하여,

리듬을 타듯이 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면

편하고 즐거운 잠수가 될 수 있음을 확신합니다

 

인생도 리듬 감각을 가지고 산다면,  

이 역시 한세상 멋지게 사는 것이겠지요.

엉터리 철학

이글은 RODALE'S SCUBA DIVING 지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하여 올립니다.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4장)
───────────────────



제 4장. 손과 발을 최대한 아껴라.


다이빙 도중 이동시에 손을 이용하여 헤엄치듯이 움직이는 것은 금물이다.

 

손을 움직임으로써 에너지를 사용할 뿐 아니라,

실제로 손이 진행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오히려 저항만 더 증가시킬 뿐이다.
그러므로, 가급적이면 팔을 자연스럽게 늘어 뜨려 그저 몸통에 매달려 있는 부속 정도로만 여겨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물론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손을 사용하는 경우는 예외이다.


이동 시에는 최대한 손이 몸통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꼭 붙이고 다니는 것이 저항을 최소로 줄이는 것이며,

팔짱을 낀다든지, 뒷짐을 진다든지 하는 것이 두팔을 크게 벌리는 것보다 휠씬 좋다.


발동작도 마찬가지로, 자전거를 타고 산을 오르듯이 킥을 하여서는 안된다.
아주 천천히, 부드럽게, 그리고 크게 킥을 하여야 한다.

손과 발동작을 아끼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해결하여야 할 문제는 중성부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부력이 맞지 않으면 당연히 손과 발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직접 비교테스트를 해본 결과, 손과 발동작을 아낌으로써 절약할 수 있는 공기량은 최소 20에서 최대 80 PSI 정도이었다.


 

********************************************

 


 여기서 이야기하는 것은 최대한 저항을 적게 받을 수 있는 자세를 유지하라는 의미이며,

 

특히 저항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자신의 몸을 유선형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팔을 벌리거나,손을 이용하여 헤엄치듯 이동하는 것은 에너지 소비일 뿐이지 저항만 증가 시키는 것 일 뿐 입니다.

 

이때 차라리 쉬고 있는 손은 자신의 부레자켓에 치렁치렁 매달려 있는 장비그밖의 악세사리 들을 싸 않고 이동하는 것이 훨씬 저항을 줄이는 방법이라 할 수 있겠읍니다. 

  

그리고 해저 바닥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손을 사용하여,

바닥의 지형지물을 붙잡고 끌어 당기듯이 이동을 하면,

핀을 차는 것보다 훨씬 공기소비를 줄이면서,

이동이 빠를 수 있읍니다.

 

특히 바닥에 부유물이 가라 앉은 곳이나,뻘이 있는 경우에 핀을 차게 되면,

그로인해 시야가 흐려지게 되므로

이때는 가능한한 손을 이용하거나 갈구리와 같은 악세사리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 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독도는 우리 땅 !!!
.

이글은 RODALE'S SCUBA DIVING 지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하여 올립니다.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3장)
───────────────────



제 3 장. 천천히 움직여라.


천천히 움직여라는 말은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다이버들이 항상 강조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쉽사리 실천하기 어려운 항목이다.

대부분 다이버들의 수중에서 움직임은 필요 이상으로 빠르다.
노련한 다이버일수록 필요 없는 행동이 적지만,
동작 하나 하나의 움직임은 여전히 빠른 것이 보통이다.

물은 공기보다 800배밀도가 높은 환경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육상에서의 동작처럼 물속에서 신속하게 움직여지지 않을 뿐더러
하나의 단순한 동작에도 상당량의 에너지가 소모된다.

물속에서의 동작은 가급적 천천히 하는 것이 좋으며

(시간에 쫓길 일이 물속에서는 거의 없음),
필요없는 동작은 가급적 삼가하는 것이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지름길이다.

수중에서 자신의 행동이 충분히 느린지, 아니면 빠른지 알아보는 방법은 간단하다.
동작 하나하나를 하는데 힘이 가해짐을 느낄때는 움직임이 빠른 것이다.
그리고, 호흡 속도도 마찬가지로 빨라 진다.

"오리발을 열나게 찼는데..." 이런 말을 사용하는 다이버라면

그는 자신의 다리 근육을 발달시킬 수는 있을 지언정 다이빙 기술의 향상은 없을 것이다.

가능한 한 천천히, 편안하게, 그리고 유연하게 행동하도록 노력하고,
추가적으로 요가나 기타 심신 수련을 위한 체조 등을 평소에 조금씩 한다면,
이는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대부분 성급한 행위는 침착하지 못한 마음에서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공기소모량 테스트 결과는, 천천히 잠수를 마친 다이버가,
성급하게 다이빙을 끝낸 다이버보다 40 에서 80 PSI 까지 공기를 절약하였다.

 

**********************************************************

 


 움직임이 많아서 에너지가 많이 소비된다고 함은

 바로 체내에 많은 산소가 필요하게 됨이겠지요.

 

 그 필요한 산소는 결국 호흡에서 숨이 가파지겠구요.

 그러다 보니 자연 공기는 빨리 소진이 될 것이고요...

 

 그래서 같은 행동을 하더라도 숨이 가파지지 않게

 천천히 행동을 하여야 한다는 내용이며,

 

 제 블록이나 T.V에서 잠수를 하는 수중에 잠수인을 찍은 사진들을 보게 되면,

 대부분의 잠수를 잘하시는 분의 자세는

 마치 젖은옷을 빨래줄에 매단것 같이 축처져 있어서,

"폼나 보임"은 찾아 볼 수 없을  것 같은 자세를 하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읍니다. 

(초보인 이 엉터리는 죽었다 깨어나도 못해 내는 자세...ㅎㅎㅎ)

 

이는 한마디로 "자신을 물에 맡기듯한 아늑한 자세"라 할 수 있읍니다.

이처럼 물과 한몸이 되었을때,

비로소  자신의 행동도 물 흐르듯이 유유히 행동하게 되며,

물속에 있다고는 해도 마치 물밖에 있는것 같은 느낌을 느끼며

호흡이 안정되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엉터리 물속 철학

정말 이런 사람도 있네요...

 

'황당 색안경 > ┗ 황당해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속 감시 카메라  (0) 2006.07.19
아주 황당한 자동차 CF  (0) 2006.07.14
막가는 세상  (0) 2006.04.29
외국인이 본 한국인 (퍼옴)  (0) 2006.04.01
오늘 부로 블로그를 그만 두겠습니다.  (0) 2006.04.01

이글은 RODALE'S SCUBA DIVING 지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하여 올립니다.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2장)
─────────────────


제 2장. 호흡을 깊게 하라.

호흡을 깊게, 천천히 하라는 말은 이미 오픈워터 교육중에 들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이유는 아마 잘 알지 못할 것이다.
다음에 호흡을 왜 천천히 하여야 하는지 그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우리가 수중에서 호흡을 하게 되면 로 들어오는 공기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축공기가 들어 온다.


우리 몸은 대기압 상태에 가장 적합하도록 생리구조가 발달되어 있어서,
폐속에서의 가스교환 즉,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속도가 대기압에 가장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압축공기를 들여 마쉰 상태에서 육상에서와 같은 정상 호흡 속도대로 호흡을 하게 되면,

폐속에 들어간 산소가 모두 몸에 흡수되지 못하고 그냥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압축공기 내의 산소를 100%에 가깝게 모두 이용하려면

육상에서의 호흡속도 보다 천천히, 그리고 아주 깊게 호흡하여야 한다.


수심이 깊으면 깊을수록 호흡의 속도를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장에서 언급한 바 대로 호흡량 테스트를 해 본 결과,
호흡을 깊게 한 다이버가 정상호흡을 한 다이버보다 공기를 최소 20에서 최대 40 PSI 까지 절약하였다고 한다.

 

*************************************************

 

 이글 내용은 제1장인 "호흡패턴을 바꾼다"에서 언급한 "잠시 숨을 멈추는 방법"과는 사뭇 다르게 느껴지나,

 

 원론적으로 따지게 되면, 

 

 제 글 중에 "이론 잠수경""잠수시 이상적인 호흡이란..."(2005,2,27일자)글 에서도  잠시 언급하였듯이,

 

 천천히 호흡을 하므로서"허파꽈리"에서 산소이산화탄소를  충분히 교환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때문이다. 라는 글과 일맥상통하는 글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물론 엉터리가 쓴 글이라 엉터리라 하겠지만,

여기에 굳이 첨언을 한다면,

 

제글의 같은 문장에 설명 드린바 있는 사공(Dead Air Space)을 빼놓을 수가 없는데요.

 

물속에서의 빠른 속도로 호흡을 하게 된다면 

사공에 의해 써먹지 못하고 버려지는 공기가 상대적으로 많아질 수 밖에 없을 것 입니다.

 

 

그래서 효과적인 호흡 방법으로는

평상시 호흡 보다 천천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깊게 호흡하는 습관을 드려야 하겠읍니다

내일이 바로 "경칩"이네요...

세상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기지개를 키겠지요....

 

`04년 12월 22일자에

"YTN"에서 방송 되었던 

열성인자의 개구리

이글은 RODALE'S SCUBA DIVING 지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하여 올립니다.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1 장)
──────────────────

제 1장. 호흡 패턴을 바꾼다.

육상에서 자연스러운 호흡의 사이클은 다음과 같다.
흡입-배출-정지-흡입-배출-정지 ......
그러나, 수중에서 다이버가 휴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호흡을 다음과 같이 바꾸어야 한다.
흡입-정지-배출-흡입-정지-배출 ......


이때 정지란 숨을 참고 있으라는 말이 아니며,
아주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범위 내에서의 정지를 의미하며,
초보자에서 숙련자로 갈수록 이 정지상태의 시간이 길어지며,
정지상태 동안의 편안함도 증가한다.


그리고, 당연히 정지상태의 시간이 길 수록 공기 소모량도 감소할 것이다.


중년의 성인 남자가 수심 20미터 정도에서 일반적인 공기통을 매고서
체류할 수 있는 시간은 평균 20분 정도이다.


이처럼 평균적인 남자를 대상으로 수심 20미터에서 각각 육상호흡법과 앞에서 말한 수중호흡법으로 호흡하도록 하여,
20분 후에 남은 공기량을 비교한 결과,


수중호흡법으로 호흡한 사람이 육상호흡법으로 호흡한 사람보다
최소 80 에서 최대 160 PSI (압력단위)까지 공기를 절약할 수 있었다고 한다. 

******************************************************************************


이상적인 호흡이란다면

 공기를 아끼기 위한 방법으로 "들숨""날숨"의 끝자락에

 잠시 숨을 멈춘다는 생각으로 호흡하시는 것이

 "허파꽈리"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교환할 수 있는 시간을 주게 되므로 해서 최대의 효율을 얻을수 있다고 생각 됩니다.

 

 여기서 제시된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에서 

 제일 중요한 건 호흡 끝에 정지는 무리함이 없이 편안한 상태가 되어야 함을 잊지 마시구요.


호흡법에 있어서는 들숨 끝이냐? 날숨 끝이냐? 또는 양쪽 다에서 호흡정지인가?

어느 것이 옳으냐 하는 것은 상기에 발표된, 그리고 테스트를 거친 위의 내용이 옳다는 것을 의심할 여지는 없겠지요.

 

하지만 이것을  굳이 따지지 마시고,

자신에게 편한 방법으로 호흡하시는 것이 좋겠지요. 

 

PS: "공기의 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의 나머지를 계속 올리도록 하겠읍니다.

 스킨다이빙으로 물속에 오래 있을 수 있는 방법


물속을 처음 접하는 일반인들에게 건강한 사람이라 해도

물속에서 숨을 참고 있으라고 하면,

몇초도 안 되서 이내 물밖으로 뛰쳐 나와 버립니다.

물론 이들에게 물밖에서 숨을 참고 있게 하면 1분 이상을 견디지만....
 

이런 현상은 물에 대한 공포에서 기인하여 폐 속에 공기를 잔뜩 넣어 부풀린 상태라 해도  무의식 중에 숨이 가파지고,

이로 인해서 자신의 뇌에서는 산소결핍이라는 자각증세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물에 대한 적응 연습을 조금만 하게 되면,

마음을 안정시켜서 보통 1~2분정도 숨을 참는 것은 쉬운 일이 될 것입니다.

물론 이때 숨을 참고 있게 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숨을 쉬고 싶어지는 충동이 강해지는데, 이것을 “호흡충동”이라고 합니다.

혈액 속의 산소량탄산가스량을 감지하는 두 개의 감각기관에서 숨 쉬라는 자극을 보내기 때문인데,

 이 두 감각기관은 산소의 양이 떨어지거나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아지면

숨을 쉬도록 뇌의 호흡 중추로 자극을 보내게 되어 있어요.

그런데 인체에서 숨쉬고 싶은 자극은 이두가지 감각기관 중에 혈중 산소 농도의 양에 의한 자극은 그 역할이 미약하지만,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양에 의한 자극이 주된 요인으로 “호흡충동"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래서 숨을 참기 전에 미리 몇 차례의 심호흡을 통해 혈중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여, 체내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평균치보다 상당히 떨어뜨리게 되면

한참을 지나야 중추를 자극할 수 있는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도달하기 때문에

호흡 욕구가 빨리 나타나는 것을 어느 정도 오래 참을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이때 잠수 직전에 시행하게 되는 몇차례의 심호흡을 “초과호흡(Hyperventilation)"이라고 하는데,

초과호흡이란 숨을 깊고 빠르게 들이마셨다가 내쉬는 과다호흡(over-breathing)방법 입니다.

그러나 초과호흡을 너무 많이 한 후 물속에서 숨을 참으면 위험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초과호흡이 지나치게 되면

몸속에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너무 낮아지게 되는데,

만일 인체 내의 약5% 정도인 평균 탄산가스 농도를 0.03%까지 지나치게 낮추게 되면

산소부분압이 위험수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숨을 참고 있어도 탄산가스량에 의한 자극이 오지 않으므로

사람이 숨을 쉬고 싶은 충동을 느끼지 않게 됩니다.

또한 초과 호흡은 인체의 산소 농도를 증가 시켜서

폐포 내의 산소 농도는 대기 중의 산소 농도에 가깝도록(13%에서20%로 증가) 높아져서

산소 부족 현상이 늦게 나타나기 때문에 호흡 충동이 늦게 일어나게 되는 것 입니다.

그래서 초과호흡을 심하게 하면 체내의 산소 부분압이 높아짐에 의해 자연 혈압이 하강하여 어지러움을 느껴지는 경향도 있고요....,

또 수중으로 하강하면 수심이 깊을수록 수압의 상승으로 폐가 압축되어 폐 속의 압력은 증가하는데,

주: 달톤의 법칙 (대기 중의 가스 농도가 20%일 때 수심 10M에서는 40%의 효과를 갖는다)

탄산가스의 부분압이나 산소의 부분압 모두가 증가하지만,

이미 초과호흡으로 평균치보다 낮아진 탄산가스의 부분압 증가는 미미한 반면에,

초과호흡으로 높아진 산소 부분압은 수압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더욱 증가하지만,

수중에 머무는 동안 체내의 산소를 소모시키게 됩니다.

이때의 탄산가스의 부분압 증가는 산소 부분압의 감소 속도보다 훨씬 느리므로

탄산가스에 의한 호흡 충동이 늦게 오기 때문에

오히려 대기 중에 있을 때 보다 수중에서 오랫동안 머물게 됩니다. 


하지만 수중에서 이미 호흡으로 산소를 써 버려서

혈중 산소 농도가 많이 떨어진 상태로 얕은 수심으로 상승할 때는

반대로 압력이 감소하면서 혈중 분압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므로 산소 결핍증(Hypoxia)을 일으켜서

뇌에 산소 공급이 안 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혼절하는 원인이 됩니다.

이 경우는 주로 깊은 수심에 있다가 얕은 수심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잘 일어나므로 “얕은 수심의 졸도(Shallow water blackout)”라 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숨을 참기 전에 초과 호흡은 3~4회 이상은 하지 말아야 한다.

이것은 상기에서 말했듯이 너무 과도한 초과호흡을 하지 않은 정상적인 체내의 탄산가스 농도에서는 호흡 충동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므로 안전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물속에서도 숨을 쉬고 싶은 충동이 생기게 되면 무리해서 참지 말고 물위로 올라 와야 합니다.

그리고 만일 이렇게 하여 의식을 잃을 경우에는 바로 조치를 하여야 하며,

이미 물을 먹은 잠수인 이라면 2차 익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필요하면 심폐 소생술(CPR)도 시행하여야 합니다.

또 정상적으로 의식을 회복하였더라도 반드시 의사에게 데려가서 검진을 하여야 합니다.

사람은 수중에 들어가면 호흡 순환계혈액 순환계 등에서는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자신을 방어하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이를 무시하고 무리한 잠수를 하게 되면 잠수사고 로 이어질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DAN의 통계에 의하면 40세 이후의 나이 먹은 잠수인일 경우에는 수압에 의한 혈액 순환계와 관련된 심장병이 잠수 사고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하니

미리 의사의 진단을 받는 것은 물론이고,

잠수를 하기 위해서는 이런 기초적인 의학 지식을 이해하고,

다이빙 안전에 관련된 각 순환계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여 대비하면 더욱 안전한 잠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역시 이것도

엉터리 잠수 방법일까 ????

'폭소 요지경 > ┏ 흥미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쏠로 송!!!  (0) 2006.07.28
오늘의 비소식 (지역방송)  (0) 2006.07.26
일본 길거리 마술  (0) 2006.07.13
가슴을 모아 주는 브라…(광고글)  (0) 2006.03.18
가장 비싼 유리구두& 모자 (스크랩)  (0) 2004.12.10
 

잠수를 하게 되면,

공기통을 메고 들어가서 그 속에 공기로 호흡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제한된 양으로 보다 더 오래도록 수중에 머무르기 위해서는 

공기를 아껴서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때에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떻게 호흡을 하느냐에 따라  

이상적인 호흡이 될 수가 있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수중에서는 매우 짧은 시간 만을 머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될 것 입니다.

 

그래서 공기를 아끼며 사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호흡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져 합니다.

 


 

이 이야기를 하려면 "사공"(Dead Air Space)에 대한 이야기 부터 할 수 밖에 없는데,
<사공이란 뱃사공이 아녜요...>ㅎㅎㅎ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선 호흡을 하여야 하고,
"호흡"이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은 물론

공기 중에 "산소"가 체내에서 산화되고 난 부산물인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것까지를

말 한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 일거 구요.

그리고 실지로 "산소'"이산화 탄소"를 교환하는 장소는

"폐"속에 "허파꽈리"에 포진되어 있는 "실핏줄"(모세혈관)에서 이루어 진다는 것도 잘 아시리라 믿습니다.

그렇다면 에서 을 통해 기도까지는 통로라고 생각하고,
그 다음인 속에 허파꽈리"수축팽창작용"에 의한 저장탱크라고 본다면,


스킨시 기빨대나 잠수인 들이 입에 물고 있는 호흡기는 더욱 더 연장된 통로라 할 수 있겠음니다.

이러한 통로로 인해서 두 기체는 호흡시에 완전한 교환이 이루어 지지 못하고

일부는 통로 속에 잔존 될 수 밖에 없겠지요.


다시 말해서 "들숨"의 시작시 에는 "날숨"에 미쳐 빠져 나가지 못한 "이산화탄소"의 잔여 양이 폐속에 그대로 남아 있거나 다시 폐속으로 되 돌아가 버리지요.
이렇게 호흡시에 두기체의 교환이 참여되지 못하는 공기의 공간"사공"(Dead Air Space)이라고 합니다.

만약에 우리가 "얕은호흡"을 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로 인해 외부공기가 "폐"속 까지 못 가고 단지 "사공"에서 맴돈다면,

다시 말해서 충분히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지도 못하고

"산소"역시 공급 받지도 못하는 상황이라면,
이건 "질식"이라 할 수 있겠지요.
(주로 Panic현상에서 나타 날 수 있음)

그렇타면 "깊은호흡"을 한다면

"사공"에 의한 양은 어쩔수 없다 해도 많은 양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 받을 수 있겠죠.
특히 다이버들이 장착하고 있는 장비들은 "사공"을 더욱 더 증가시키므로

신선한 공기를 폐까지 공급하려면 흡입하고 배출하는 양도 그 만큼 많아 져야 한다.

자!!!  어느 호흡을 택하시겠음니까?

잠수 시의 효과적인 호흡방법은 평상시 호흡 보다 천천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깊게 호흡하는 습관을 드려야 하겠지요.


그리고 이상적인 호흡이란다면

공기를 아끼기 위한 방법으로 "들숨""날숨"의 끝자락에

잠시 숨을 멈춘다는 생각으로 호흡하시는 것이

"허파꽈리"에서 산소를 충분히 교환할 수 있는 시간을 주게 되므로 해서

최대의 효율을 얻을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과격한 수중동작으로 인해 숨이 가파지는 행동을 자제 하신다면,
편안하고 안전한 다이빙을 즐길 수 있지 않을까요?

 

참고로 스킨에선 초과호흡을 하여 입수하고 출수때까지

그 호흡을 가지고 가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숨이 차면 물을 조금 들이 킨다거나,마른 침이라도 삼키면 몇초는 연장되지요.)

믿거나 말거나 엉터리 호흡 방법  

다이빙 교육기관은 전 세계적으로 여러 사설교육기관이 있으며,

이들 교육기관이 국내에 진출하여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읍니다.

 

그중에 제가 교육을 받고 라이센스를 받은 교육단체인

PADI라는 곳을 소개 드리고져 합니다. 

 

물론 PADI라는 교육기관에서의 각 급수별 교육의 내용과 자격에 대해서는 이미 아래의 글들에서 말씀 드린 바 있읍니다.

 

다음 글에는 보다 일목 요연하게 도표화 되어

궁금한 부분은 크릭하여 볼 수있는 글을

소개 해 드리겠읍니다.

 

<아래의 글 부터는 http://myscuba.netian.com/padi.htm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



 

PADI는 세계 최대의 프로페셔널 다이빙 조직이다.

 

그 멤버인 인스트럭터, 어시스턴트 인스트럭터, 다이브마스터, 다이브 판매점프로정신안전도에 있어서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PADI 멤버는 여러가지 다른 배경의 사람들이 안전한 스포츠로서 레크레이션 다이빙을 즐겁게 습득하는 일에 헌신하고 있다.

PADI의 활동영역은 국제적이다.

지역 서비스사무소는 오스트레일리아, 카나다, 스위스, 일본, 뉴질랜드, 노르웨이스웨덴에 설립되어 있고,

PADI 본부는 미국에 있다.

PADI 교재는 아라비아어, 화란어, 영어, 불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노르웨이어, 스페인어, 스웨덴어 등으로 번역되어 있다.

PADI의 목표는 일반대중들이 안전한 테크닉으로 수중활동에 참가하고 그 활동을 향상시키도록 훈련교육촉진하는데 있다.

PADI는 스킨 및 스쿠바 다이빙 훈련을 위한 규정을 확립하였고,

다이버의 훈련자격발급에 대해 수준높은 규정을 유지하고 있다.

PADI의 다이빙 교육방법은 교실, 수영장, 오픈워터의 단계적인 훈련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PADI의 초급단계 스쿠바 다이버 자격은 오픈워터 다이버이다.

좀더 고급단계의 자격은 어드밴스드 오픈워터 다이버레스큐다이버가 있으며,

다이빙 기술을 향상시키고 싶은 다이버들을 위해 제공되고 있다.

더 상급 자격으로는 다이브마스터어시스턴트 인스트럭터 등과 같은 자격으로서 리더쉽 훈련에 참가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제공되고 있다.

특별훈련으로는 수중사진, 수색과 인양, 동굴다이빙, 아이스다이빙, 난파선다이빙, 심해다이빙, 연구다이빙, 장비전문관리, 수중사냥, 야간다이빙, 수중항법별도의 특수분야 스페셜티 훈련을 각 전문 코스별로 가르치도록 인가된 PADI 강사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이 스페셜티의 5종류 이상을 훈련받는 다이버는 마스터 스쿠바 다이버 자격을 받을 수 있다.

다이버 교육이외에 PADI는 메딕 퍼스트 에이드(MFA) 코스를 제공하고 있다.

MFA는 심폐소생응급처치의 기초 훈련코스이다.

이 코스는 일반인들의 수준에서 의료종사자나 의사가 채택하고 있는 것과 같은 비상절차에 따라 학생들을 훈련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의학을 기초로 한 구급코스이다.

PADI 멤버는 우수하다는 것이 보장되고 있다.

스쿠바 다이빙은 수중에서 자연스러운 적응력을 익히기 위해,

장비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쌓기위해,

그리고 양호하지 못한 여건에서는 부적절한 반응을 하지 않기 위해

특별한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멤버들은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

 

멤버들은 능력있는 프로페셔널 강사가 학생들 각각의 한계내에서 안전하게 이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사람들을 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즉 강압적으로 하지 않으면서도,

학생들이 자기의 능력 범위내에서 자신을 육성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이것은 프로페셔널의 표준이며,

PADI 멤버에 의해 수립되어 온 최상의 안전 경력이 이것을 반영하고 있다.

PADI의 교육 출판물에는

PADI 오픈워터 다이버 매뉴얼,

어드밴스드 다이버 매뉴얼,

레스큐 다이버 매뉴얼,

다이브마스터 매뉴얼,

인스트럭터 매뉴얼,

법률과 다이빙 프로페셔널,

레크레이션 다이빙 백과사전,

수중사진:카메라 기초와 장비관리,

수중사진:마크로와

기타 등이 있다.

 

다른 보조 출판물로서는

다이브 판매점의 소매;

관리실무와 경영;

대학 스쿠바 프로그램;

성공적인 판매와 개발촉진 시스템

등과 같은 사업에 관계된 방법론의 매뉴얼이 있다.

PADI는 또,

멤버에게 가장 중요한 다이빙 관계의 테마에 대하여 업데이트를 계속하여 받을 수 있도록 다이빙업계 잡지뉴스회보를 출판하고 있다.

 

Undersea Journal은 강사와 프로페셔널 훈련교실들을 위한 안전규정과 교육정보 제공에 공헌하고 있다.

Dive Industry News는 모든 다이빙 점포, 장비제조업체, 리조트, 기타 다이빙 산업계의 사업체에 송부되고 있고 다이빙업계에서 가장 정보량이 많은 잡지로서 인식되어 있다.

 

분기별로 출판되는 코스디렉터 Newsletter

훈련회보/업데이트(Training Bulletin/Update)는 멤버가 중요한 훈련이나 교육사항의 변경, 최신정보 등에 대하여 시류에 뒤떨어지지 않도록 해 준다.

또한 PADI 소매업협회 보고서(Retail Association Report)는 PADI 다이브 센터에서 특히 필요로 하는 것에 대응하는 뉴스회보이다.

이 멤버 대상의 간행물 이외에도,

PADI는 PADI여행 네트워크의 공인된 리조트 안내서인 Dive Traveler를 발행하고 있다.

이 Dive Traveler는 매년 30만명 이상의 다이버에게 무료로 배포되고 있다.

다이버 자격카드를 빌려주거나 위조를 막기 위해서

PADI는 신원을 분명히 증명할 수 있는 자격카드(PIC)를 개발하였다.

사진과 다이버 증명데이타를 파손하기 어려운 방수 프라스틱에 넣어,

다이빙 장비나 압축공기를 카드 소유자 본인 이외의 인물에게는 임대하지 못하게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프로 강사나 강습학교, 장비임대점의 배상책임의 보호는 증대하게 되는 것이다.

PADI 본부는 PADI의 훈련 규정을 준수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강사의 윤리, 강습방법, 코스용 장비등을 모니터 하고 있다.

PADI의 허용하에 개최된 모든 교육 코스는 기록을 보관해야 한다.

다이빙의 안전을 촉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 중에,

 

PADI는 1988년에 S.A.F.E. 다이버 캠페인을 시작하였다.

"모든 잠수는 천천히 상승하라(Slowly Ascend From Every Dive)"

상징된 이 캠페인은 다이버의 상승속도를 늦추도록 하는 생명력 있는 메세지를 돋 보이도록 시도하였다.

1989년에, PADI는 프로젝트 A.W.A.R.E(Aquatic World Awareness Responsibility and Education = 수중세계의 자각, 책임과 교육, 수중환경보호운동)을 10년 계획으로 시작하였다.

그 주요한 초점은 어디까지나 다이빙을 하는 일반대중이다.

PADI의 간행물, 새로운 훈련교재, 광고, 다이브 쇼 참가와 선전을 통하여,

PADI는 수중환경의 보호에 있어서 다이버의 역할을 강력히 호소하고 있다.

PADI 명칭은 International PADI Inc. 의 등록상표이다.

앗싸!!!
 
알고 싶은 물고기 이름에 마우스를
 
들이 대고.
 
크릭해 보세요!!!
 
으아~~~ 
 
자세한 설명이 나오네요....
 
 
(누구 버전이지? ㅋㅋㅋ)

한국연근해 유용어류도감

(韓國沿近海 有用魚類圖鑑)

어 류 (230종)


 

먹장어 묵꾀장어 칠성장어 괭이상어 삿징이상어 꼬리기름상어 불범상어
두톱상어 별상어 표범상어 모조리상어 노랑가오리 흰가오리 목탁가오리
홍 어 상어가오리 가래상어 전기가오리 은상어 전 어 청 어
눈퉁멸 밴댕이 준 치 정어리 샛줄멸 싱 어 웅 어
멸 치 반 지 뱀장어 붕장어 갯장어 샛 멸 은 어
연 어 쏠종개 히메치 날매퉁이 매퉁이 황매퉁이 동갈치
꽁 치 날 치 학공치 양미리 홍대치 대 구 명 태
아 귀 황아귀 금눈돔 도화돔 철갑둥어 민달고기 달고기
숭 어 애꼬치 꼬치고기 까나리 열동가리돔 줄도화돔 독 돔
황옥돔 옥 돔 갈전갱이 민전갱이 가라지 병치매가리 잿방어
방 어 전갱이 세동가리돔 여덟동가리 만새기 망상어 선홍치
벵에돔 사랑놀래기 호박돔 용치놀래기 황놀래기 어렝놀래기 옥두놀래기
노랑촉수 실꼬리돔 네동가리 돌 돔 날개주걱치 황줄돔 눈볼대
농 어 바금다리 자리돔 군평선이 벤자리 어름돔 뿔 돔
홍 치 날새기 보구치 흑조기 황강달이 눈강달이 민 태
꼬마민어 민 어 수조기 부 세 참조기 게르치 범 돔
노랑벤자리 붉벤자리 붉바리 도도바리 능성어 우각바리 청보리멸
보리멸 감성돔 황 돔 붉 돔 참 돔 도루묵 빨판상어
붉은메기 그물메기 통 치 꼬치삼치 몽치다래 가다랑어 줄삼치
망치고등어 고등어 삼 치 황다랑어 눈다랑어 참다랑어 갈 치
독가시치 연어병치 샛 돔 동강연치 보라기름눈돔 병 어 덕 대
문절망둑 풀망둑 도화망둑 열쌍동가리 쌍동가리 베도라치 장갱이
푸렁통구멍 통구멩이 얼룩통구멍 등가시치 풀미역치 빨간횟대 까치횟대
고무꺽정이 대구횟대 삼세기 별쭉지성대 노래미 쥐노래미 임연수어
꼼 치 빨간양태 까지양태 비늘양태 양 태 홍감펭 쏠배감펭
점감펭 볼 락 개볼락 조피볼락 불볼락 우럭볼락 붉감펭
쏨뱅이 쑤기미 성 대 쌍뿔달재 꼬마달재 가시달갱이 달강어
밑달갱이 밑성대 꽁지양태 도화양태 풀넙치 넙 치 별넙치
용가자미 줄가자미 눈가자미 물가자미 기름가자미 돌가자미 참가자미
층거리가자미 문치가자미 찰가자미 도다리 갈가자미 범가자미 참서대
개서대 용서대 흑대기 노랑각시서대 객주리 날개쥐치 말쥐치
쥐 치 거북복 가시복 개복치 은밀복 흑밀복 복 섬
졸 복 흰점복 검 복 검자주복 자주복 까치복

  

   

[ 유용어류도감 ]

 

파울라님!!!

 

"살사댄스"는 다 배우셨나요?

다 배우셨다면,

다음에는 이걸 배우시는게 ......

 


AL Associate Instructor
인스트럭터가 부재중이라도 오픈워터 다이버 코스의 할과 . 풀장 강습이 이루어지고 인스트럭터의 직접 감독하에 해양실습도 행해지는 등 준인스트럭터로서 활약할 수 있다.
OWI Open water Instructor
오픈워터 다이버 코스를 개최할 수 있는 인스트럭터의 제1단계이다.
AOWI Advanced Open Water Instructor
각종 스페셜티 코스의 개최가 가능하고 어드밴스드 다이버와 마스타 다이버의 양성이 가능
DCSI Dive Control Specialty Instrucor
다이브 콘트롤 스페셜티까지의 코스를 개최할 수가 있다.
IT 인스트럭터 트레이너
아마츄어 다이버의 양성은 물론 DCSI까지의 각종 인스트럭터를 양성할 수 있는 것 외에 크로스 오버코스도 개최할 수 있다.

 

강사 양성 과정

 

 

Assistant Instructor(보조강사)

 

이 과정은 강사교육을 받은 자로 강사가 되기 직전의 과정입니다.

 

Instructor(강사)

 

이 과정은 남에게 다이빙 교육을 시킬 수 있는 단계이며,

본인이 직접 강의를 개설하여 Divemaster(다이버 마스타) 교육까지 실시 할수 있는과정이다.

 

 

참가자격

 

 

강사양성 과정은 그야말로 다이빙 교육자를 양성하는 과정으로

참가자격은  PADI 다이브마스타 혹은 타단체 지도자 수준 자격 소지자이다.


연령은 18세 이상이어야 하고,

다이버 자격증을 받은 후 최소 6개월을 경과하고,

다이빙 횟수가 60회가 넘으면 과정에 참가할 수 있으나,
강사 시험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100회의 다이빙 로그가 필요하다.

 

과정은 전반기의 보조 강사(AI : Assistant Instructor) 양성 과정과

후반기 오픈워터 스쿠바 강사(OWSI) 양성 과정으로 나뉜다.

 

두 과정을 모두 성공적으로 마치면,

강사 시험에 참가할 수 있고,

별도로 PADI에서 파견되는 강사시험관의 주제 하에 강사 시험에 합격하면
비로소 PADI OWSI (Open Water Scuba Instructor)자격을 인정 받게 된다.

 

국내에서는 매년 2-4회 가량의 강사시험이 열리고

해외에서 한글로 진행되는 강사양성 과정이

필리핀 보라카이, 호주, 태국 피피섬, 사이판,뉴질랜드 등에서 개최된다.

 

각 과정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겠지만

내가 시행하는 프로그램의 스케쥴을 소개 함으로서 교육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스케줄은 주말 IDC의 시간표로

홀수일에는 오후 1-2시 시작하고

짝수일은 오전 8시 교육이 시작된다는 것과

보조 강사 과정과 오픈 워터스쿠바 강사 과정을 같이 참가하는 분들을 위한 스케쥴임을 참고 하시라.

 

(참고로 이글은 다이빙 강사이자 이비인후과 전문의 이신 "강영천 박사님"의 글 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드립니다.)

 

 

2002년 6월 IDC 스케쥴

Being Early is being on time. Being on time is being late.
정해진 시간 보다 일찍 오는 것이 시간을 지키는 것이지 시간에 맞추어 오면 지각하는 것입니다

1일 째(토) :


13:00 : 오리엔테이션/등록/강사 시험 소개 등(2시간)
15:00 : 학습, 강습 및 PADI 시스템
16:00 : PADI 경험 프로그램(스킨 다이버, , DSnkl, DS , DSD, 스쿠바 리뷰 )
17:00 : PADI 스쿠바 다이버 및 오픈워터 다이버 과정
19 :00 : dinner
20:00 : 프로젝타 어웨어(Project AWARE) 및 고도부력정밀 스페셜티 교육
21:00 : 다이빙 산업의 개요

 

2일 째(일) :


08:00 : 제한 수역( I ) : 기술 시범 웍숍/800미터 스노클링/레스큐 연습
13:00 : 효과적인 이론 교육 발표 방법
15:00 : 미디어의 역할과 처방형 교육
17:00 :효과적인 제한 수역 발표 방법
19:00 :dinner
20:00 :효과적인 개방 수역 발표 방법

 

3 일 째 :


14:00 : 제한 수역 발표 ( 1 ) & ( 2 ) 레스큐 연습
18:00 : dinner
19:00 : 지식개발 발표 ( 1 )

 

4 일 째 :


07:00 :출발
09:00 :개방 수역 발표( 1 ) & ( 2 )
         어드밴쳐 인 다이빙/스페셜티 다이버 과정 웍숍

 

5일 째 :


14:00 :일반적인 기준과 절차
16:00 :지식 개발 발표( 2 )
18:00 :dinner
19:00 :PADI 연속 교육의 철학
20:00 :PADI 어드밴쳐 인 다이빙 프로그램
21:00 :레스큐 다이버 과정의 구성과 실행

 

6일 째 :


08:00 :(처방형) 지식 개발 발표( 3 )
09:00 :(처방형) 지식 개발 발표( 4 )
10:00 :RDP 교육법
11:00 :다이브마스타 과정
12:00 :다이버 유지 프로그램(Diver Retention Program)
13:00 :lunch
14:00 :제한 수역 발표 ( 3 ) & ( 4 ) & 레스큐 연습
18:00 :소아의 다이빙 교육
19:00 :다이빙 전문가를 위한 사업 원칙

 

7일 째 :


14:00 :법적 책임과 위괴 관리
15:00 :스페셜티 과정과 MSDT 프로그램
16:00 :다이빙 이론 시험
18:00 :dinner
19:00 :다이빙 이론 시험 계속
20:00 :일반적인 기준과 절차

 

8일 째 :


개방 수역 발표 ( 3 ) & ( 4 ) 및 레스큐 연습
혹은 이론 교육 보충(선택 사양)/MFA 강사 교육

 

 

참가하시는 분들이 준비해야 하는 교재와 물품을 보면 다음과 같다

 

PADI 강사 양성 과정 준비물

1. 강사 매뉴얼 (한글)
2. 강사 후보생 워커북
3. 오픈 워터 다이버 매뉴얼 한글판/영어 판
4. RDP - 테이블 & 휠
5. 오픈 워터 다이버 퀴즈와 최종 시험 문제집
6. 어드밴쳐 인 다이빙 매뉴얼 한글판/영어 판
7. 레스큐 다이버 매뉴얼 : 영어 판
8. 레스큐 다이버 최종 시험
9. 다이브마스타 매뉴얼 : 영어 판
10. 다이브마스타 최종 시험 문제
11. 레크리에이션 다이빙 백과사전 - 영어 판
12. 지식 복습 문제집 : 한글판
13. 오픈 워터 다이버 슬레이트 : 제한 수역
14. 오픈 워터 다이버 슬레이트 : 개방 수역
15. 제한 수역 교육 발표 준비 용 슬레이트
16. 개방 수역 교육 발표 준비용 슬레이트
17. 로그북
18. 신용카드(외국환 가능한 것)
19. 모든 다이버 자격증(오픈 워터 - 보조 강사 및 응급 처치 법)
20. 계산기
21. 필기 도구/노트
22. 모든 스쿠바 장비(옥토푸스/웨이트 포함)
23. 수중 기록 용 슬레이트
24. 수중 시계
25. 사진 4장(여권 용)


 

경비

1. 교재 :

1) 오픈 워터 다이버 및 모든 과정의 매뉴얼 :
2) 강사 매뉴얼 한글판:
3) 테이블 및 휠 :
4) 지식 복습 문제집(한글 판) :
2. 수영장 입장료 : 2-3 회 x 24,000 = 48,000 ~72,000
3. 개방 수역 투어 비 1-2회 : 실 경비
4. 교육비 : X,000,000 원
5. 외 : PADI에 결재할 IDC/IE 경비 : 신용 카드 결재 약 X00,000원

         강사 시험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시험 참가자가 읽고 서명하는 이해진술서를 소개한다

PADI IE CANDIDATE STATEMENT OF UNDERSTANDING
이 글을 통해 여러분들은 PADI Instructor Examination (IE)에 붙기 위한 요건들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다음 글을 읽고 약식 서명을 할 책임이 있습니다.
읽으면서 의문 나는 사항은 시험관에게 물어보시고 난 후 서명과 날짜를 첨부 하십시오.


 

1. 다이빙 이론 시험

물리학, 생리학, Recreational Dive Planners, 다이빙 기술 과 환경, 그리고 장비에 대한 필기시험.
각 과목 시험은 12개의 사지선다형 문제가 출제된다.

각 과목마다 75점 이상을 맞아야 합격한다.

다섯 과목 시험을 다 보는데 11/2시간이 주어지는데 총 60문항이다.

다섯 과목 중 한 과목에서 떨어졌을 때는 그 과목의 재시험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재 시험은 한 과목만 가능한데 12문항을 푸는데 30분이 주어진다.
재시험의 합격 점수도 75점 이상이다.

 

두개 이상의 과목에서 떨어졌을 때는 IE에서 인정서를 받지 못한다.


 

2. Systems, Standards, and Procedures 시험

이 시험 중에는 매뉴얼을 참고할 수 있다.

참고 할 수 있는 매뉴얼은 PAID Instructor Manual(paper or digital version) 과 PADI Instructor
Candidate Workbook이다.

이 시험에는 옳다/틀리다, 사지 선다, 빈 칸 채워넣기 등의 50문제가 출제된다.

이 시험을 치르는데 11/2시간이 주어진다.

합격점수는 75점 이상이며 재시험은 없다.

75점 미만을 맞으면 IE에서 인정서를 받지 못한다.

 

3. 지식 개발 발표

오리엔테이션 시간 처음에 받은 자료에 보면

PADI System 내용에 들어 있는 두 가지 교실수업 토픽이 배정되어 있다.
한 토픽은 첫 번째 발표를 위한 것이고

다른 것은 첫 시험에 떨어지는 경우 재시험을 위한 것이다.


첫 시험의 합격점수는 3.5점 이상이다.

3.5점 미만은 실패이며 재시험을 볼 수 있다.

재시험의 합격점수도 3.5점이다.
재시험에서 3.5점 미만을 받으면 IE에서 인정증을 받지 못한다


 

4. 제한수역 수업실습

오리엔테이션 시간 처음에 받은 자료에 보면

PADI Sysyem 내용에 들어있는 두 가지 제한수역 토픽이 배정되어 있다.
제한 수역 교습 발표중 후보생은 가르칠 스킬을 시범 보여야 한다.

그룹을 통제하기 위해서나 두사람이 행하는 스킬을 시범보이기 위해

한명의 보조자를 쓸 수 있다.

 

시범을 보이는 데 실패하면 전체 발표점수중 1점을 받는다.

첫 발표에서 실패하는 경우 두 번째 토픽으로 재시험을 본다.

첫 시험의 합격 점수는 3.4점 이상이다.

3.4점 미만은 실패이며 재 시험을 볼 수 있다.

재시험의 합격점수도 3.4점이다.
재시험에서 3.4점 미만을 받으면 IE에서 인정증을 받지 못한다.


 

5.제한 수역 스킬 시범

후보생은 스킬의 능숙함을 시범보이기 위해

PADI System의 5가지 스킬을 시범 보여야 한다.

PADI의 제한수역 평가표 기준에 의해 능숙함이 평가된다.

a. 최소 통과 점수는 5스킬 합계 17점이상이며

    각 스킬은 3점 이상이어야한다.
b. 만약 스킬 점수 합계가 17점미만이거나 한 스킬이 1.0이나 2.0이면

    재 시험을 칠 수 있으나 5 스킬 모두를 반복해야 한다.
c.두개 이상의 스킬이 1.0이나 2.0 이거나 재 시험에 통과하지 못할 시에는

   IE에서 인정증을 받지 못한다.


 

6. Open Water 수업 실습

오리엔테이션 시간 처음에 받은 자료에 보면

PADI System 내용에 들어있는 두 가지 Open Water 토픽이 배정되어 있다.
실습 때 두 가지 스킬 을 다 한 번의 오픈 워터 다이빙 에서 실시하며

두 개의 발표를 따로따로 점수를 매긴 후 평균을 내어 사용한다.
시험의 합격 점수는 3.5점 이상이다.

3.5점 미만은 IE에서 인정증을 받지 못한다.
두개의 점수를 평균하여 사용하므로 오픈 워터 수업 실습의 재시험은 없다.


 

7. 오픈워터 구조 시범

수면에서 의식을 잃고 숨을 쉬지 않는 시늉을 하는 사람을 구조하는 기술을 시범 보여야 한다.
이 평가의 요점은 두 번의 구조 호흡으로서의 적절한 시작과 평가 기간 동안

매 5초마다 한 번씩의 호흡 싸이클의 유지이다.


 

다음과 같은 기술이 평가된다.

 

1.접근
2.첫 접촉
3.호흡 시작
4.부력 확보
5. 열린 기도 보호
6. 호흡 사이클 유지
7. 사고자와 구조자의 장비 벗기기
8. 인공호흡하며 주어진 거리동안 다이버 끌기

 

평가관이 평가전에 특정한 지형과 실행에 대해 브리핑을 할 것이다.

위의 스킬을 적절히 시범을 보이지 못하면 통과하지 못한다.
구조도 재시험이 있다.

재시험에서도 실패하면 IE에서 인정증을 받지 못한다.


 

8. 일반적 다이빙 스킬 평가

제한 수역과 오픈 워터 동안 계속 일반적인 다이빙 스킬 은 평가된다.
강사 지망생들은 PADI System에 나오는 모든 스킬 을 익숙하게 연마했어야 한다.

지망생들은 PADI 제한수역 평가표에 나오는 시범 평가
기준에 맞는 역할, 모델 수준의 스킬을 행하여야 한다.

I.E 동안 이 스킬의 능숙함의 부족으로 인정증을 받지 못하였을 때에는

다음 I.E에서 제한 수역과 오픈 워터 부분에서 모두 통과하여야 한다.


 

9. 프로패셔널리즘

강사 지망생들의 IE 참가 여부는 평가관에 달려 있다.

만약 한 지망생의 행동이나 태도가 다른 지망생에게 방해가 되거나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경우 그 지망생에게 떠나라고 요구할 수 있다.

 

이렇게 PAID IE에서 쫓겨나는 경우 지불한 비용은 돌려주지 않으며

평가된 점수도 알려주지 않는다.

또 이러한 이유로 쫓겨난 경우는 IE를 다시 보려고 할 때

PADI의 서면 승낙을 받아야 한다.


 

10. 환불 및 종료

IE 비용은 전체이든 일부이든 환불 될 수 없다.
다음 I.E에 참가할 시 재 시험을 봐야 할 해당 부분을 지불해야 한다.

 

 

11.인정서 안내

각 평가 부분에 통과하지 못하면 PADI Open Water Scuba Instructor 인정서을 받지 못한다.

모든 평가 부분을 최초의 I.E에서 통과하거나 다음 I.E에서 필요로 하는 부분을 통과 해야 한다.

다음 I.E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최소 5일간을 기다려야 한다.

첫번째 I.E에서 세 부분이나 그 이상 통과하지 못했을 경우 그리고

두 번째 I.E에 통과하지 못할 시

다른 I.E룰 참가해야 하며 비용도 지불하여야 한다.

 

두 번째 I.E를 통과하지 못했을 시 다른 I.E를 참석하기 전

PADI Course Director의 서면 수료증과 PADI에서 규정한 코스를 받아야 한다.


 

12.교습 상태 합격한 지원자는 IDC/OWSI/IE서류를 검토하고

   수속한 연후 필요로 하면

   보험에 가입한 후

   PADI로부터 인정서을 받은 후 가르칠 수 있다.

이 I.E에 사인한 서류는 12개월 동안 계속되는 I.E에 적용된다.

본인은 위의 글을 읽고 시험에 관련 모든 질문에 만족할 만한 답을 들어

그 내용을 이해 하였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꿈만 꾸던 것을 실천에 옮기신다면,

당신도 이제 그런 인생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지역 다이브 센터나 리조트에서 혹은 리브 어보드 다이브 보트에서 일을 하든지,

자신의 인생의 모험이던,

이것은 다이빙전문가로서 직업을 전환한다면 직업 자체가 모험이 되는것이겠죠...

 

그리고 그동안의 다이빙 경험을 토대로 

다이빙에 입문코져 하는 모든이에게 어떻게 다이빙하고,

또 이국적인 다이빙 행선지를 어떻게 가이드 하는지를 가르치고 도움을 준다면 ,

 

파라다이스와도 같은 수중세계 뿐 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과의 만남

그리고 미지의 이국에서의 새 문화와 생활방식을 경험하게 될것이며,

자신의 삶을 풍성하게 하지 않을까요

 

물론 노력의 대가가 있는 충분한 가치도 있을 것이고요....

 

 

스쿠버 다이빙 전문가가 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다이브 마스터 과정

 

 

  

Divemaster(다이버 마스타)는  

PADI의 정식 회원으로 등록되며,

다이빙 프로로 나아가는 첫 단계이다.


레스큐 다이버 과정을 타인 중심적 과정이라고 한다면.

다이브마스타 과정은 지도력 중심의 과정이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이과정에서는 학문적 이론PADI규범을 배우게 되며,

다른 다이버에게 항상 원칙적이고 모범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 과정을 마치게 되면 강사교육보조할 수 있다.

 


다이브 마스타의 C-Card

 

 

다이브마스타의 의무

1. OWD(초급)과정 O/W training dive 2,3,4번 항에서의 tour 부분 guide ; 2:1

2. OWD 과정 - 강사의 직접 감독 하에

     a. 입/출수 지점까지 수면 수영 동반
     b. o/w dive 4 - navigation exercise
     c. 수면 및 수중에서 강사가 학생과 기술 훈련을 하고 있을 때 나머지 학생을 통솔


3. DSD 참가자가 첫 o/w다이빙을 강사와 함께 마친 후 그 다음부터의 다이빙에서 참가자 통솔

4. 디스커버 로컬 다이빙

5. 디스커버 스노클링

6. 자격 있는 다이버의 스쿠바 리뷰

7. AOWD(중급), 스페셜티 다이버, 레스큐 다이버 과정의 훈련 다이빙에서 학생을 동반

8. 일반 적인 다이빙 활동에서 훈련 및 비훈련 활동을 지도 감독

9. 강사의 o/w 훈련 보조 :  강사대 학생 비율을 보통 1:4 증가 시킨다

                                    (OWD 과정의 경우 2:1로 증가 시켜 최대 10:1까지 가능)

10. 강사의 c/w 훈련 보조 : 비율 보통 4:1 증가 시킨다

11. Skin Diver 과정 - 독자적으로 교육, 자격증 발급



다이브마스타 후보생의 의무 -

 

강사의 직접 감독 하에서

 

1. 모든 기술 평가에 합격한 Scuba Diver 이상 자격 소지자를 안내
2. OWD 과정 o/w 훈련 다이빙 2-4 과 tour부분 학생 동반

 

참가 자격

1. PADI AOWD or Adv(+), 혹은 타 단체 동등 자격(초보 이상 자격증, 20회 로그 및 deep & navigation dive 경험)
2. PADI Rescue diver 혹은 동등 자격(타 단체 diving rescue 자격증서 및 CPR & first aid 2년 이내)
3. 20회 로그(자격증 받을 때는 60회)
4. 시작시  만 18세이상
5. 의사의 진단서 제출 - 강사 보관
6. 비율 : 조교의 유무와 무관하게 6:1

 

         

이론 교육 내용 - 12 modules

1. PADI 다이브마스타의 역할과 특징
2. 자격 있는 다이버를 위한 일반적인 다이빙 활동의 감독 하기
3. 훈련 중인 학생 다이버 보조하기
4. 다이빙 이론 소개
5. 물리
6. 생리학
7. 다이빙 장비
8. 감압 이론과 다이빙 테이블
9. 다이브마스타가 시행하는 프로그램
10. 위기 관리
11. 다이빙 사업
12. 여러분의 다이빙 경력의 나아갈 길

 
 

 

20개 기본적인 스쿠바 기술(Basic Scuba Skills)

 

1. 장비 장착 조절 준비 착용 및 해체
2. 다이빙 전 안전 점검(BWRAF)
3. 깊은 물 입수
4. 수면에서 부력 점검
5. 5단계 하강
6. 웨이트 시스템 탈 착
7. 중성 부력- 핀 피보트
8. 5단계 상승
9. 스노클-호흡기-스노클 교환
10. 수중에서 스쿠바 유니트 탈 착
11. 호브링
12. 짝 호흡 - 정지 상태, 공여자 및 수혜자
13. 수영하며 짝 호흡 - 공여자
14. 수경 탁 착 물 빼기
15. 짝 호흡 -수영하면서, 수혜자
16. AAS 사용 - 정지상태
17. 자유 방출 호흡기 호흡하기
18. 조절된 비상 수영 상승
19. 마스크 벗고 수영하기
20. 공기고갈 훈련

 

********************************************************

 

기술점수 채점기준(Skill Evaluation Scores)
 

1. 도무지 기술을 할 줄 모른다
2. 하기는 하는데 어렵게 하거나 틀린다
3. 옳게 하기는 하나 너무 빨라서 기술을 상세하게 표현 못한다
4. 잘하고 천천히 해서 잘 표현 한다
5. 잘하고 천천히 하고 큰 과장된 제스츄어로 쉽게 한다

 

********************************************************

 

Stamina Exercise 1 : 400미터 수영
 

점수- 소요 시간


5점- 6분 30초 이하
4점- 6분 30초 - 8분 40초
3점- 8분 40초 - 11분
2점- 11-13 분
1점- 13분 이상
실패-incomplete 하다가 중단한 경우

 

Stamina Exercise 2 : 15분 떠 있기
 

5점 - 성공
3점 - 떠 있기는 하나 마지막 2분 동안 손 사용
1점 - 두 번 이상 수영장 측면이나 바닥에 닿지 안았다
실패 - 두 번 이상 닿았다

 

stamina Exercise 3 - 800 미터 스노클 수영


점수- 소요 시간

 

5점 - 14분 이내
4점 - 14-16분 30초
3점 - 16분 30초 - 18분 30초
2점 - 18분 30초 - 21분
1점 - 21분 이상
실패- 하다가 중단

 

Stamina Exercise 4 - 100 meter 의식 없는 다이버 끌기

 

점수-소요 시간

 

5점 - 2.10 이 내
4점 - 2.10 - 3.15
3점 - 3.15 - 4.20
2점 - 4.20 - 5.30
1점 - 5.30 이상
낙제 - 중단

 

 

 

다이버 구조 평가 및 개발 방법요지
 

1. 수영장/제한 수역/ 개방 수역 어디든 할 수 있다

2. 완전한 장비를 착용한 다이버가 약 25미터 떨어진 곳에 물에 잠겨 있다고 가정함.

    구조자는 수영장 가장자리나 보트나 해안에서 출발한다

3. 강사가 신호를 하면

   구조자는 입수하여 조난자를 찾아서

   수면 상승시킨 후 호흡 여부를 확인하고

   인공 호흡을 시작하고

   자신과 조난자의 왜이트, 마스크, 스쿠바 유니트, 를 벗고

   조난자를 물 밖으로 끌고 나온다

4. 합격 하려면 다음의 사항에 Yes라는 답이 나올 수 있어야 한다

- 수면 상승 시 조난자의 부력을 확보하였나 ?
- 호흡 여부를 보고 듣고 느꼈는가 ?
- 기도를 열어 주고 두 번 크게 호흡해 주었는가 ?
- 구조자는 도움을 청하였는가 ?
- 수중 구조 호흡을 효과적으로 시행하였는가 ?
- 조난자의 기도를 호흡이 끊임이 없이 보호하였는가 ?
- 호흡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시행되었나 ?
- 혹 호흡이 중단된 경우 다시 두 번 큰 호흡을 하였는가 ?
-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구조 활동을 했는가 ?

 

***********************************************************

 

필수 훈련연습 1: 지도 그리기( Mapping Project)


필수 훈련연습 2: 장비교환 방법 및 점수


수영장 혹은 제한 수역에서 실시
두 짝이 충분히 전술을 논의한 다음 입수
깊은 물에서 짝 호흡을 하면서

슈트와 웨이트만 제외하고 모든 장비를 바꿔 착용한 다음

짝 호흡을 계속하면서 얕은 물 쪽으로 나온다

점수 5 : 아주 쉽게 늘 하는 것처럼 거뜬하게 한다
점수 4 : 잘하고 발생하는 문제도 쉽게 극복했다
점수 3 : 바꾸기는 했으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매우 느리게 진행되거나 혹 한 사람이 너무 의존적이라 짝 혼자서 대부분 하는 경우
점수 2 :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여 누군가 수면에 한 번 올라 왔다
점수 1 : 실패 - 혹은 한 번 이상 수면 상승

 

필수 훈련 연습 3 : 다이브마스타가 시행하는 프로그램


(적어도 4명의 role player가 필요하다)

 

***********************************************************

 

 

실질적인 응용 (Practical Application) Internship

 

 

(option 1) - 적어도 다음의 과정에 참가해야 한다.
1. OWD 과정 제한 수역 훈련 1회
2. 어느 PADI 과정이건 제한 수역 훈련 4회 더
3. OWD 과정개방 수역 훈련 다이빙 1 회
4. AOW, RD, Specialty D 과정 개방 수역 훈련 1회
5. 어느 PADI 과정이건 개방 수역 훈련 3회 더
6. 자격있는 다이버에게 감독적인 역할 1 회

 

 

(option 2) - Internship이 불가능한 경우 상황 연출에 의한 훈련

             - 역활을 맞은 사람들이 잘 협조해야 한다.
1. 개방수역에서의 자격 있는 다이버
2. 제한 수역에서 오픈 워터 다이버 학생
3. 개방 수역에서 오픈 워터 다이버 학생
4. 개방 수역에서 연속 교육 학생 다이버


  갯민숭달팽이, 18 갯민숭달팽이, 17 갯민숭달팽이, 16 갯민숭달팽이, 15 갯민숭달팽이, 14 갯민숭달팽이, 13 갯민숭달팽이, 12 갯민숭달팽이, 11 갯민숭달팽이, 10 갯민숭달팽이9 갯민숭달팽이8 갯민숭달팽이7 갯민숭달팽이6 갯민숭달팽이5 갯민숭달팽이4 갯민숭달팽이3 갯민숭달팽이2 갯민숭달팽이1      

"갯민숭달팽이" 대해 좀 더 아시고 싶으시다면,

 

제 블로그 카테고리 중에서

"물속 잠망경"에서

5월27일자에

"바다의 고무랜드인형"

찾아가 보시면,

 

그들의 생태나 습성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보다 더 좋은 사진들을 수집하여 개재 해 놓았읍니다.


'물속 삼매경 > ┃ 물속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왕조개  (0) 2005.10.27
8월13일 다이빙투어(2)  (0) 2005.08.20
연산호  (0) 2005.01.16
말미잘(아네모네) 사진 모음  (0) 2005.01.09
아네모네피쉬 사진모음  (0) 2005.01.06


EFR(Emergency First Response)과정

 

 

 

이과정은 다이빙단계 중 하나는 아니며,

다이빙 중에 발생 할 수 있는 응급상황을 대체하기 위한

심폐 소생술(인공호흡)과 같은 과정을 교육 받는 과정이다.

그러나 다이버 마스타 또는 강사가 되기 위해서 란다면  필히 받아야 하는 필수 교육입니다.

 

기존의 MFA(응급 구조 교육, Medic First Aid) 과정을 2003년 7월부터는

모두 6월 까지는 병행해서 교육한다.

 


 심폐소생술&응급처치 C-Card

 



 

EFR 과정은 크게 두개 과정으로 나누는데

1. 일차적 치료(심폐소생술)

    -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의 대처.


2. 이차적 치료(응급처치법)

   -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응급 상황은 아니나 질병이나 부상을 입을 조난자를 돕는 기술.

 

이 두가지를 나누어서,

같이 혹은 별도로 교육하고

같이 혹은 별도로 자격증을 발급하는 것이 MFA와 차이점이다.


 

또 다른 차이점으로

자동 전기 심제세기(AED : Automatic Electric Defibrillator)의 사용법

산소응급처치 방법

의식 있는 조난자의 기도 이물 제거술 교육을 선택 사양으로

도입하거나 돌렸다는 점이다.

나라에 따라 장제세기의 사용이나,

다이빙 사고 이외 경우에서의 산소 공급

그리고 기도 이물 제거술

등에 대한 교육을 의료인에게 국한하는 경우가 많아

 

모든 일반인에게 교육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선택 사양으로 돌려져 있는데,

강사가 이들을 교육하지 않기 위해서는

자국법에 저촉된다는 내용을 PADI에 제출하여 Waiver를 받아야 한다.

 

심폐 소생술

                         

마지막으로"짜장면 시키신분!!! 신고 바랍니다."


마스터 스쿠바 다이버

 

 

Master SCUBA Diver 

아마츄어 다이버로서 다이빙에 필요한 교육을 모두 마치는 

다이빙 교육단계의 마지막이라 할 수 있는 과정으로,

 

별도의 교육 과정이 아니라

5개의 PADI 스페셜티 다이버 자격증을 소유하고,

50회의 다이빙 로그 기록을 소지하고 있으며,

 

PADI 어드밴스드 오픈워터 자격증 혹은

타단체의 동등 자격증을 소지하고

PADI 레스큐 다이버 자격증 혹은 타 단체의 동등 자격증을 소지해야 하고
(혹은 PADI 다이브마스타 자격증을 소지하고, 스페셜티 5개를 소지해도 무방하다)

 

PADI 에게 신청서를 제출 함으로서 아마추어 최고의 자격증

마스터 스쿠바 다이버(MSD: Master Scuba Diver)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다

 

이단계 이후에는 프로의 길로서 남에게 교육을 시킬수있는 과정인 다이브마스타가 있으며,

이와는 구분되어 져야 하며.

아마추어 다이버에게 적극 권장하여 다양한 다이빙 경험을 인정 받게 해줄 필요가 있다

 

스페셜티 5개중 비다이빙 스페셜티가 2개까지 허용된다

(예를 들면 Project AWARE, 장비 전문가 등)

 

 

 

쉬리님!!!

드뎌 나비고기에 대한 글 올립니다.

잘 보시기 바랍니다.

근데요!!!

쉬리가 보고 나서 나비고기 되는 건 아닐테죠?

  

 

(Butter fly Fish)

 


 

분 류


농어목
(Order:Perciformes)

나비고기과(Family:Chaetodontidae)
나비고기속 (Genus:Chaetodon)

 

분 포


주로 제주도, 일본 남부, 대만, 동중국해, 필리핀, 인도, 홍해 등에서 서식하고 있읍니다.

 


 

열대지방에서 다이빙을 하게 되면,

가끔씩은 나비고기의 군무를 볼수 있는 행운이 오기도 합니다.

 

육지에 나플대며 꽃위를 돌아다니는 나비모양을 하고 있다고 해서,

여진 이 고기는 몸이 옆으로 매우 납작하고,

접시처럼 넓찍한 체형을 가지고있으며,

 

육지에서 보는 나비는 작고 연약하지만,

바다 속의 나비고기는 강한 조류에 견디는 강인함을 숨기듯이 색깔이 곱고 화려하기 까지 하지요.

 

특히 성어의 크기가 20cm 정도 뿐이 안되는 나비고기는 몸통에 도식된 세로 또는 가로 무늬 줄로 상대를 혼란스럽게 만들기도 하며,

등쪽에 검은 점은 자신을 큰고기의 눈으로 오인시켜 자신을 보호하려는 용의 주도 함도 있읍니다.

눈주위를 보면 대부분이 썬그라스를 낀 것과 같이,

아니면 인디언이 눈주위를 까맣게 칠한 것과 같이 흑갈색의 가로 무늬가 눈을 가로 지르며 그 뒤에 흰 무늬가 있는 형상 입니다.

 


 


 

이들은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온대성 어류로서

주로 산호초 또는 연안의 암초나 수중절벽 지대에 텃새를 부리며 서식합니다.

단독 또는 짝을 지어 행동하거나 떼를 지어 유영하기도 하는데,

만일에 자신들의 영역으로 들어오는 물고기가 있다면 무리지어 공격해서 쫒아내기도 합니다.

육식성 어류로 먹이는 산호초나 갯지렁이류, 해면류로 알려져 있으며,

주둥이는 돌출되어 딱딱하고 강해서 경산호의 폴립을 뜯어 먹기 좋은 형상이며,

작은 물고기를 사냥하기에 적합 합니다.

 

  

 

butter01.jpg

butter02.jpg

butter03.jpg

스레드핀

포아이드

펄스케일

butter04.jpg

butter05.jpg

butter06.jpg

파키스탄

새들백

블루스트라이프트

butter07.jpg

butter08.jpg

butter09.jpg

클라인

레드헤디드

메이어스

butter10.jpg

butter11.jpg

butter12.jpg

블랙백트

에이트밴디드

스폿밴디드

butter13.jpg

butter14.jpg

butter15.jpg

아디스

레인보우

코퍼밴드

'수중 확대경 > ┏ 수중 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홍 돌고래 보뚜!!!  (0) 2005.07.02
어류사전  (0) 2005.02.21
고래등 터트린 새우  (0) 2004.11.25
우렁쉥이라고도 하는 멍게...  (0) 2004.11.03
바다나리와의 공생생물들...  (0) 2004.08.03
레스큐 다이버 과정

 

 

오픈워터 다이버 과정을 자기 중심적 과정이라 하고,

어드밴쳐 인 다이빙 프로그램을 임무 중심적 과정이라고 한다면,

레스큐 다이버 과정은 타인 중심적 과정이라고 한다.

즉 자신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다이버 수준을 넘어서서

타인의 안전을 같이 도모하고 보호해 줄 수 있는 다이버를 양성하는 과정이라는 의미이다.



구조다이빙(Rescue Scuba Diving) C-Card


교육 과정은 지식개발(최종 시험 포함)해양 훈련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

 

 

지식개발은 레스큐 다이버 매뉴얼의 내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소개/과정의 개요/이 책을 사용하는 법


1 장 : 자기 구조/다이버 스트레스/스트레스 인식/스트레스 관리
2 장 : 응급 처치 장비/응급 처치 절차
3 장 : 준비성/ 응급 상황 관리
4 장 : 흔히 보는 장비 문제/장비의 기능/ 풀림 장치의 기능과 문제점
5 장 : 구조 상황을 인식하기/수면에서 의식이 있는 다이버 구조하기/ 수중에서 의식 없는 다이버 구조하기/의식 있는 다이버 데리고 출수하기
6 장 : 실종 다이버 절차/수중에서 의식 없는 다이버 구조하기/ 수면에서 의식 없는 다이버 구조하기/의식 없는 다이버의 장비 제거와 출수 시키기/ 마치면서 몇 가지 중요한 생각

 

 

해양 훈련은 2일 이상에 걸쳐 실시해야 하고,

5회 이상 입수하여,

다음의 12개 과제를 훈련한다

1. 지친 다이버 끌기
2. 당황한 다이버 돕기
3. 해안/보트에서 대응하기
4. 수중에서 곤경에 처한 다이버
5. 실종 다이버
6. 의식 없는 다이버 수면 상승 시키기
7. 수면에서 의식 없는 다이버
8. 의식 없는 다이버 데리고 출수하기
9. 압력 관련 사고 시 응급처치
10. 해안/보트에서 대응(무의식 다이버)
11. 시나리오 : 수중 수색
12. 시나리오 : 반응, 출수 및 관리

 

 

교육 내용을 소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지친 다이버 끌기

(1) 사고자 - 구조자 (Victim - Rescuer)
(2) 접근 - 수면 이동 / 항상 머리를 들어 조난자를 본다, 접근 페이스 조절할 것
(3) 평가 - 사고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정지하여 BCD 인플레이타 위치/유형 확인-사고자에게 명확하고 간결한 명령을 내린다.

예:(말을 건다) - BCD에 공기를 넣어라!
(4) 접촉(Contact) - 자신의 부력부터 확보
상황을 설명/조난자 할 일을 주문/ 전방으로 조금 씩 접근을 계속 사고자의 양성 부력 확보
(5) 안정 (Stabilization) - 시선을 마주치며(eye contact) 사고자를 안심시킨다.-

사고자의 수경, 호흡기, 스노클 등 제거(상황에 따라)
(6) 보조 및 이송(Assist & Transport) - 되도록 사고자 자력으로 하도록 유도.-

 적절한 대화 및 눈과 눈을 마주 보며 수중에서 쥐가 난것 풀기
(이송 방법 - 겨드랑 밀기/BCD float/탱크 밸브 끌기/다리 밀기)
(7) 장비 제거(Gear Removal) - 웨이트 제거

 

 

2. 당황한 다이버

(1) 조난자 -구조자
(2) 평가 - 간결한 명령에 응답이 없으면 Panic State로 간주
(3) 접촉 -

A. 수중 접근 -

웨이트 제거 지금 혹은 나중에 한다 -
사고자의 뒷 쪽에 위치 -

사고자의 탱크를 무릎에 끼워 넣는다 -

사고자의 BCD에 공기 주입


B. 수면 접근 -

구조자의 부력 확보-
사고자의 뒷 쪽으로 수영 이동-
탱크 밸브를 잡고 Knee Cradle Position-
사고자의 부력 확보


(4) Release(해제) - 사고자가 달라 붙는 경우 사고자를 밀어 올려 해제-
안정을 되찾으면 지친 다이버 끌기 요령으로

 

 

3. 해안/보트에서 대응(의식 있는 조난자) - 비 수영 보조

입수 고려 사항
의식 있는 조난자
출수 후
비 수영 보조 : 링 부이, BCD, 구조 보드(rescue board), 등
입수 고려 사항 ; 마스크, 핀, 스노클, 부력
조난자에 가장 가까운 지점
조난자는 항상 눈에 보이는 곳에 있어야 한다

 

 

4. 수중에서 곤경에 처한 다이버

1) 과로(overexertion)
2) 공기 고갈(out-of-air) ---AAS 상승

 


5. 실종 다이버(Missing Diver) - 30분 간 수색.



6. 의식 없는 다이버 수면 상승 시키기(Surfacing the Unconscious Diver)

긴급 부력 상승(Emergency Buoyancy Ascent) - 온몸을 쫙 펴기(Flaring) - 수면 상승


1) 상황을 기억하라 - 그러나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
2)호흡기를 입에 물려두라- 이미 빠져 있다면 넣으려고 시간 허비하지 말라
3)조난자의 등뒤에서, 조난자의 머리는 평시대로 유지하고 탱크를 잡는다l
4) 양성 부력 - 웨이트를 풀어 버린다
5) 수면 상승 후 무엇을 할 것인지 생각하라



7. 수면에서 의식 없는 다이버 Unconscious Diver at the Surface(IE)

(1) 다이버 다이버 괜찮아요? - 반복적으로- 조난자의 머리를 물 위에 오게 하고 긴급사태 발생 ! 긴급 사태 발생 ! 짜장면 시키신 분 ! 외쳐서 구조를 요청한 후 - 부력을 확보한다
(2) 보고, 듣고, 느끼고 -
(3) 마스크 벗고 환자 마스크 벗기고
(4) 2 회의 큰 구조 호흡- 하나 쉬고, 두울 쉬고, 세엣 쉬고, 네엣 쉬고 후우욱--
(5) 구조자 장비 제거하고, 구조 호흡을 계속하면서 조난자 장비 제거한다


장비 제거는 출수 거리, 출수 형태, 환자의 체격, 구조자의 체격 및 체력, 사용 장비의 유형 들에 따라 결정한다 - 호흡은 계속 유지 할 것



8. 의식 없는 다이버 데리고 출수 하기 (Egress with an Unconscious Diver)

지속적인 구조 호흡 유지
인공 호흡을 일시 중단해야 하는 경우 - 30초 이내로 제한 하고
중단 전 2 회 크게 호흡
다시 시작할 때 2회 크게 호흡
가능한 한 일찍 보조자를 부른다


 

출수 기술 :


a. 당겨 올리기 (Pull-up)
b. 소방대원 운반 법 (Fireman's carry)
c. Saddleback carry (말 안장모양 운반법): 똥장군
d. Pack strap carry (포장끈 운반법)
e. 파도 출수 법 (Surf exit)
f. 바위 지역 출수 (Rocky area exit)
g. 2 인 운반 법 (2 men carry)
h. 지역 특유의 출수 방법 (local area specific exit)

 

 

보트, 선착장, 가파른 경사면 등의 탈출 

 

 유연하게 대처하라(be flexible)


a. 굴러 올리기 (roll-up)
b. 등판 (back-board)
c. 표준 인명 구조 킷 (standard life saving lift)
d. 사다리 운반 (ladder carry)(if available)
e. 지역 특유의 운반 법 (local area specific)

 

 

9. 압력 관련 사고의 응급 처치 - 쇼크 방지 자세/산소 공급



10. 보트/해안에서의 대응 - 의식 없는 조난자

      4인 1 조 ; 사고자, 구조자, 보조자, 장비 요원

 


 

 

신년인사가 너무 늦었죠?

 

병간호를 하고 있는 부모님 집에는 인터넷이 없답니다.

 

다녀 가신 님의 넓은 아량으로 이해 해 주시길....


김영임 - 창부타령

 

여기서부터의 교육프로그램은 더욱 더 다양하고 모험적이고, 스릴 넘치는 수중환경에 도전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관심있고, 흥미로운 특정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추가적인 다이빙기술과 장비 사용요령 등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또한 오픈워터 다이버의 한계를 넘어서 본인 자신뿐 만 아니라 다른 다이버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들도 익히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특히 개인적인 취향으로 관심분야 또는 그밖의 다양한 환경을 선택하여 추가적인 기술들을 배우는 과정들이라 하겠읍니다. 

이렇게 자신의 다이빙 기술을 계속 개발한다면,

수중 및 수상에서 더욱 자신감을 얻을 수 있을 뿐더러

수중 세계를 더 잘 이해하게 되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공감대를 가진 여러 많은사람과의 즐거운 만남이겠지요...

 

스쿠버 다이버가 되기위한 교육프로그램

 

 

어드벤쳐/어드밴스드 오픈 워터 다이버 과정

 

 

이 과정은 초급단계를 벗어 나서 중급 다이버의 레벨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보다 좋은 물속 비경을 보기 위해서 취득해야 하는 교육과정으로  

이중에서도 대심도 다이빙이나 수중항법 다이빙 또는 야간 다이빙 등과 같은 것은  

잠수를 자주하면서 겪게 될 스페셜 다이빙들이 여기에 속하게 된다.

 

여기서 어드벤쳐어드밴스 이둘을 묶어 설명하는 이유는

스페셜티 다이버 과정에서 실시하는 해양 훈련 다이빙 2-4회 중

첫 다이빙이 어드밴스드 오픈 워터 프로그램에서 시행하는 어드벤쳐 다이빙이므로

상호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드벤쳐 다이빙 프로그램에 참가한 사람은

해당 스페셜티 과정의 첫 다이빙은 이미 한 것으로 간주 할 수 있다.


 

어드벤쳐 프로그램도 두 가지 옵션이 있는데

 

이중 어드벤쳐 다이버는 어드밴쳐 다이빙 품목과는 무관하게 3개를 수료한 경우 자격증을 신청할 수 있고,

 

또 다른 것은 어드밴스드 오픈 워터 다이버의 경우이며,

이는 필수 스페셜다이빙 과정인 수중항법 다이빙대심도 다이빙을 포함한

5개 어드벤쳐 다이빙을 수료해야 한다.

 

 

어드밴스드 Plus 다이버 과정

 

이 과정은 상기의 어드밴스 오픈워터 다이빙같이 중급에 속하는 레벨이지만,

특수 목적에 의한  다이빙교육인 동굴 다이빙이나, Nitrox(산소+질소 혼합공기)다이빙또는, 얼음밑 다이빙

어드벤쳐 다이빙 중에 6가지를 추가로 받는 과정이다.

 

 

 

스페셜티 다이버 과정

 

 

이 과정은 다이빙 단계 중 하나의 코스는 아니며,

PADI에서 정한 강사 자격을 소지한 강사로부터 특수한 과정을 교육 받는 것으로

아래에 나열 해 보았다.

 

 

어드밴쳐 다이빙 프로그램을 위한 스페셜티 다이빙 종류

(현재 PADI가 제정해 둔 것을 알파벳 순으로 나열함.)

 

1) Altitude diving(고도 다이빙)
2) AWARE-Fish Identification (AWARE-어류 식별 )
3) Boat diving (보트 다이빙)
4) Deep Diving (대심도 잠수)
5) Diver Propulsion Vehicles (수중 스쿠타)
6) Drift Diving (조류 다이빙)
7) Dry Suit Diving (건식잠수복 다이빙)
8) Multilevel and Computer Diving (다중 수심 및 컴퓨터 다이빙)
9) Night Diving (야간 다이빙)
10) Peak performance Buoyancy (고도 부력)
11) Search and Recovery (수중수색 및 인양)
12) Underwater Fishing (수중사냥) 

13) Underwater Naturalist (수중 자연주의자)
14) Underwater Navigation (수중 항법)
15)Underwater Photography (수중 사진)
16)Underwater Videography (수중 비디오 그래픽) 
17) Wreck Diving (난파선 다이빙)

18) 다이빙 장비관리

19) 반 폐쇄 호흡기 다이버 과정 2가지


 

이외에도 강사가 특수한 스페셜티 다이버 과정을 직접 제작하여

PADI에 신청하여 인가를 받을 수 있다.

 

이 단계의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O/W 이상 자격이 필요 하다.

 

침몰선 다이빙 Wreck Diving

[난파한 것]이라는 의미를 지닌 Wreck,

그 대표적인 것은 침몰선이지만 역사적인 배경과는 관계없이 침몰선은 지금 물고기들의 서식처가 되어 있습니다.

상당히 큰 물고기들이 서식하고 있는 곳도 많으며, 절호의 감상 포인트지만 침몰선의 내부는 어둡고 좁기 때문에 그 나름의 준비가 필요합니다.

 

침몰선의 주의점이나 계획을 세우는 과정부터 배울 수 있습니다.


드라이 슈트 테크닉 Dry Suit Techniques

몸을 적시지 않고 따뜻한 다이빙을 즐기수 있는 드라이 슈트.단지 공기로 몸을 보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입고 벗을 때나 또 입고 있는 중에도 취급에 몇 가지의 요령이 필요합니다.


이 코스에서는 지금 주류가 되어 가고 있는 드라이 슈트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노하우를 전문적으로 마스타합니다.


컴퓨터 다이빙 Computer Diving

이제는 갖고 있는 것이 상식이 되어가는 다이브 컴퓨터.

그러나 너무 기능이 많아서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 코스에서는 어디까지나 실제 펀 다이빙을 전제로, 제한된 시간을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고성능 기재의 기능을 100% 발휘하는 테크닉을 배웁니다.


나이트/시야불량 Night/Limited Visibility

물고기들이 잠자는 귀여운 모습.주간에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 새우나 조개. 밤 바다에는 낮과는 전혀 다른 또 하나의 세계가 펼쳐집니다.

 

이코스에서는 수중라이트의 효과적인 사용법이나 암흑속에서 바디(다이빙 파트너)와 접촉하는 법등 나이트 다이빙의 경향과 대책을 흥미있게 배웁니다.


수색 & 인양 Search & Recovery

만약 해저에서 우연하게 보물을 발견했다면....
물론 내버려 둘 수는 없겠지요.
우선 그 비밀 포인트를 표시하고, 다음에 수면으로 인양해야 합니다.

 

이 코스에는 그럴 때에 절대적으로 도움이 되는 실천적인 내용이 가득 들어있습니다.

수중사진 Underwater Photography

초심자 다이버를 대상으로 한 앙케이트에서도 제일 하고 싶어하는 것이 수중사진.

 

카메라 작동법이나 구도를 결정하는 방법 등의 기본에서 스트로보의 효과적인 사용법까지 육상에서 카메라와 관련이 없었던 초심자를 대상으로 한 코스 내용이기 때문에 누구라도 마음 편하게 참가하실 수 있습니다.


Equipment Techniques

다이빙에 있어 장비는 필수품입니다.

장비를 잘 알고 잘 다루는 것이 안전 다이빙의 기본이기도 합니다.

 

이 코스에서는 자신에게 맞는 장비의 선택법에서 쓰기 쉽게 하기 위한 작은 아이디어,바른 메인터넌스의 방법까지를 종합적으로 알수 있게 해 줍니다.

보트 다이빙 Boat Diving

국내. 해외를 불문하고 인기있는 포인트(잠수지)의 대부분이 보트에서 입수하게 됩니다.

즉 보트와 현명하게 친숙해지는 법을 마스타했느냐 그렇지 못했느냐에 따라서 쾌적한 다이빙에 큰 차이가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코스에서는 보트 위에서 장비의 탈착을 원활하게 실시하는 요령이나 배멀미 방지의 어드바이스 등 알아두면 득이 되는 테크닉이 가득합니다


. 스트레스 & 레스큐 Stress Rescue

새 휜이 아무래도 맞지 않는다, 오랜만의 다이빙으로 긴장하고 있다...
이러한 작은 스트레스가 생각지 못했던 트러블을 일으키는 수가 있습니다.


이 코스에서는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원인과 그 예방법을 알고, 트러블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법 등을 중점적으로 배우게 됩니다.


네비게이션 Navigation

나는 지금 어디를 유영하고 있는 것일까, 혹은 목표하는 곳으로 틀림없이 갈 수있을까...

초심자 다이버가 수중에서 [자립] 을 의식했을 때,

이러한 불안이 맴돕니다.

 

네비게이션은 이 불안함을 해결하고 한 단계 위의 주체성이 있는 다이빙을 목표로 하는 다이버에게는 필수 코스입니다.


딥 다이빙 Deep Diving

오픈 워터 다이버는 수심 18m까지였지만 이 코스에서 처음으로 30m의 세계에 도전합니다.

수심과 더불어 만나는 경관과 생물의 얼굴도 달라집니다.

그러나 맛이 다른 매력의 배후에는 주의할 점도 많은 것이 심해의세계.

 

제대로 된 목적의식을 갖고, 계획 수립방법이나 감압 테크닉 등을 배웁니다.


파도, 조수, 조류 Waves, Tides & Currents

이 코스서는 파도나 조수의 특징을 알아 조수의 흐름을 타고 다이빙 합니다.


즉, 드리프트 다이빙의 요령을 익히게 됩니다.

 

조수의 흐름이 빠른 포인트는 투명도가 좋으며 회유어 등의 큰 물고기를 만날 수 있는 찬스도 많습니다.

바다를 자기 편으로 만들어서 행동범위를 넓혀 주세요.

 

 

 

 

 

 

 

 

 

 

 

 

 

 

 

 

 

 

 

 

 

 

 

 

 

 

 

디스커버 로컬 다이빙 (Discover Local Diving)

 

 

한 때 환경 소개 다이빙(Environment Orientation Diving) 으로 불리던 프로그램으로

교육 과정이 아니고 생소한 지역을 방문한 다이버가 그 지역 PADI 다이브마스타 이상 회원에게 안내를 받아 다이빙을 시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참가 자격 조건으로는 오픈워터 다이버 이상 자격 증 소지자는 누구나 참가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다이빙에 참가하는 사람들이

리조트에 제출해야 하는 책임 해제 명백한 위험 부담 인식 서류에 서명하고 다이빙에 참가한다.

다이빙 기술 복습 등은 하지 않지만, 다이빙 수준은 평가 할 수 있다.

잠수를 하러 다이빙 전용 리조트에 가면

첫잠수는  Check 다이빙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요점 : 최소 연령 : 10세
최소 개방 수역 다이빙 : 1회
안내인 최소한 자격 : Divemaster 이상

 

스쿠버 리뷰 (Scuba Review)

 

 

1. 본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사람은 자격증은 있는데,

    오래 동안 다이빙 안 한 사람dlsk,

   Junior diverSenior Diver로 upgrade 할 때.
2. 타 단체 강사로부터 위탁 받은 경우
3. 자격증 없이 오랫동안 다이빙 한 사람 (경험 다이버 프로그램)
4. 타 강사로부터 위탁 받은 학생등을 들 수 있다.


학생이 이미 자격증을 가졌을 때는 다이브마스타 혹은 보조 강사가 실시 할 수 있고

자격증이 없는 다이버에 대해서는 강사가 실시해야 한다.

 

 

제한 수역 기술 복습 내용을 보면


 

1. 장비의 장착과 해체
2. 다이빙 전 안전 점검
3. 깊은 물 입수
4. 수면에서 부력 점검
5. 5 단계 하강법
6. 수면에서 웨이트 제거
7. 핀 피보트 - 저압 인플레이트 및 입으로
8. 5 단계 상승법
9. 스누클/호흡기/스누클 교환
10. 마스크 탈착
11. 대체 공기공급원 (AAS) 사용
12. 자유방출 호흡기호흡
13. 조절된 비상수영 상승
14. 호버링
15. 바닥 및 수면에서 스쿠바유니트 탈착
16. 바닥 및 수면에서 웨이트시스템 탈착


 

이중 스쿠바다이버에 대한 스쿠바리뷰의 경우 1-13 까지 시행하면 된다.


개방수역 다이빙은 선택사양으로 권장사항이다

 

프로그램 진행자료로는

 

스쿠바 튠업 지침서(자습용 웍크북) / CD
고도부력 비디오(Peak Performance buoyancy video)
기술평가 큐-카드

 

 

경험 다이버 프로그램

 

 

PADI는 자격증 없이 오랫동안 다이빙을 해 온 다이버에게 자격증을 주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경험이라는 것의 정의를 2년 이상 다이빙을 하였고 20회 이상 다이빙을 한 경우인데,


다이빙 로그에 기록되어 있는 로그 수나

주위 다이버의 증언을 인정해 줄 수 있고

군대 훈련 자격증으로도 인정을 받을 수 있다.


경험 다이버가 PADI 오픈워터 다이버 자격증을 받기 위해서는

스쿠바 리뷰 프로그램을 마치고

오픈워터 다이버 과정 최종 시험에 합격하고
해양 훈련 다이빙 1-4회를 마쳐야 한다.

자꾸 블러그에 소홀해 지다 보니,

오신님에게 미안하기 그지 없네요

고향에 가시는 분들은

차조심!!!

몸조심!!!

집조심!!!

 

그리고

고향의 정취 담뿍 담아 오세요.

 

ㅠ!ㅠ 이 엉터리는 암데도 안 갑니다. ㅠ!ㅠ

 

 

 

 

 

다이빙을 배우시고 싶으시다구요?

 

그럼 집근처에 다이빙샵에 들러서 거기에 소속된 강사님에게 배우시든지,

아님 인터넷에서 다이빙 카페를 검색하여 마음에 드는 카페에서 배우시기 바랍니다.

 

아마 배우시게 되면 이 과정부터 시작하게 될 것 입니다.

 

오픈 워터 다이버/스쿠바 다이버 과정

 

 

 

정식 잠수교육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하면 가이드나 짝과 함께

자유로운 수중여행을 할 수 있는 잠수입문 초보 단계의 다이버 양성 과정이다.

교육과정은 크게 지식 개발부분수중기술 개발부분 해양 훈련과정으로 나누어져 진행된다.


과정의 어느 시점에서 건 체력 테스트가 포함되어야 하는데,

 

그 내용은 200 미터 수영 혹은 300미터 스노클링 중 택일하고
또한 10분 떠있기(스쿠바 다이버 제외)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에 서술된 스쿠바 다이버 과정은 오픈 워터 다이버의 일부분으로

시간적으로나 장소적으로 전 과정을 마칠 수 없는 사람일 경우에는

각 교육부분의 앞 부분을 마치면 스쿠바 다이버 자격증을 신청할 수 있고,

나머지 뒷부분을 마치면 다시 오픈워터 다이버 자격증을 신청할 수 있다.

스쿠바 다이버 자격증을 가진 사람은 제한 수심이 12미터를 초과할 수 없고

항상 PADI 다이브마스타 이상 자격을 가진 프로와 짝을 이루어 다이빙을 할 수 있다.

 

참가 연령은 10세 이상으로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주니어 오픈워터(스쿠바) 다이버 자격증을 받을 수 있다.

15세가 되면 성인 오픈워터 다이버 자격증을 받게 되는데

이때는 별도의 훈련은 없어도 무방하나

지식과 기술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057059PADI OPEN WATER DVD

 

 

책내용

 

1. 오픈 워터 다이버 메뉴얼(Go Dive) : 1 - 5 장(1-3장:스쿠바 다이버)
2. 제한 수역 훈련 다이빙 : 1-5 장(1-3 장 : 스쿠바 다이버)
3. 개방 수역 훈련 다이빙 : 1-4 장(1-2 장 : 스쿠바 다이버)

 

지식 개발은 참가하는 학생 다이버가 스스로 매뉴얼과 비디오를 이용하여 공부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메뉴얼에 포함되어 있는 지식복습 문제지를 풀어서 강사에게 제출하면

강사가 문제의 답을 확인하고 틀린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해 주게 된다.

중간 시험 형식인 퀴즈 문제가 각 모듈에 따라 준비되어 있어

학생 다이버가 내용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 해 볼 수 있고
최종 시험 문제를 다시 치루어 과정의 이수 여부를 결정 짓는다.

학생의 지식 개발을 돕기 위해 Complete System Lesson Guides라고 부르는 슬라이드 교재가 나와 있는데

그 제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오픈워터 다이버 과정
  1. 등록 및 오리엔테이션 제목   37. 제 4 과 제목
  2. 등록 및 오리엔테이션   38. 제 4 과 개요
  3. 코스의 개요   39. 4 과 질소 마취
  4. 등록   40. 4 과 감압병 1
  5. 재미로 장비 착용해보기   41. 4 과 감압병 2
  6. 제1과 제목   42. 4 과 잠수표 1
  7. 제 1 과 개요   43. 4 과 잠수표 2
  8. 부력   44. 4 과 잠수표 3
  9. 1과 편안한 하강 1   45. 4 과 잠수표 4
  10. 1과 편안한 하강 2   46. 4 과 잠수표 5
  11. 1과 편안한 하강 3   47. 4 과 잠수표 6
  12. 1과 편안한 상승 1   48. 4 과 잠수표 7
  13. 1과 편안한 상승 2   49. 4 과 잠수표 8
  14. 1과 수중 호흡 1   50. 4 과 잠수 표 9
  15. 1과 수중 호흡 2   51. 제 4과 요약
  16. 제 1과 요약   52. 4 과 휠 1
  17. 제 2과 제목   53. 4 과 휠 2
  18. 제2과 개요   54. 4 과 휠 3
  19. 2과 보온 유지1   55. 4 과 휠 4
  20. 2과 보온 유지 2   56. 제 5 과 제목
  21. 2과 유선형으로 1   57. 제 5과 개요
  22. 2과 유선형으로 2   58. 5과 SAFE diver
  23. 2과 함께 다이빙 1   59. 5과 긴급 감압
  24. 2과 함께 다이빙 2   60. 5과 고도 다이빙
  25. 제2과 요약   61. 5과 다이빙 후 비행
  26. 제 3 과 제목   62. 5과 잠수 표
  27. 제 3 과 개요   63. 5과 다이빙 텀퓨터
  28. 3 과 우리가 다이빙 할 장소   64. 제5과 요약
  29. 3 과 자신을 보호 1   65. 5과 휠
  30. 3 과 자신을 보호 2   66. 5과
  31. 3 과 자신을 보호 3   67. 5과 다중 수심 잠수
  32. 3 과 타인을 보호 1   68. 연속 교육
  33. 3 과 수중 문제 해결 1   69. C-card
  34. 3 과 수중 문제 해결 2   70. 다이빙 안전 수칙
  35. 3 과 먼 바다에서의 모험   71. 다이버 기본 자세
  36. 제 3과 요약  

 

 

이 외에도 2002년 PADI는 처방식 교육을 위한 슬라이드를 다시 제작하여

각 지식 복습 문제지와 퀴즈 및 최종 시험에 대한 각각의 설명을 곁들이고 동영상을 포함하는 처방식 레슨 가이드를 제작해서 판매하고 있다.

이 CD-rom 버전 레슨 가이드가 한글로 제작되면 학생들 교육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한 수역에서의 기술 개발은 모두 5개 모듈로 되어있고

특징이 얕은 물에서 깊은 물로 쉬운 것부터 점차 어려운 기술로 진행된다.


교육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오픈 워터 다이버 과정 제한 수역 다이브

 

제 1과
제 2과
제 3과
제 4과

1. 장비 착용 및 조절 

2. 수면에서 BCD(부레자켓) 주입/배출 

3. 수중 호흡 

4. 호흡기 되 찾기 

5. 호흡기 물 빼기 

6. 부분 물 찬 마스크 물 빼기 

7. 수중 수영 

8. SPG 사용 

9. AAS 사용 

10. 수신호 

11. 상승 

12. 즐겁게 기술 연습 

13. 출수 및 요약

1. 다이빙 전 안전 점검 

2. 깊은 물 입수 

3. 스노클 물 빼기 - 불기 

4. 스노클-호흡기 교환 

5. 하강 

6. 장비 착용하고 수면 수영 

7. 마스크 장탈 착

8. 마스크 벗고 호흡하기 

9. LPI 뽑기 

10. 수면에서 BCD 입으로

  주입/배출 

11. 적절한 왜이트 조절 

12. 공기 고갈 훈련 

13. 즐겁게 기술 훈련 

14. 수면에서 왜이트 제거 

15. 수면에서 장비 벗고 출수


1. 중성 부력, 핀 피보트
  - 입으로  LPI 사용 

2. 중성 부력 수영 

3. 쥐 풀기 

4. 지친 다이버 끌기 

5. 공기 고갈/AAS 연합 훈련 

6. 자유 방출 호흡기 호흡 

7. 조절된 비상 수영 상승 

8. 놀면서 연습 / 출수 및 요약

1. 스킨 다이빙 기술

 a. 초과 호흡
 b. Headfirst 수면 다이빙
 c. 상승 및 스노클 물 빼기
 d. 연합 기술 4 

2. 스쿠버 기술

 a. 마스크 벗고 수영하기
 b. 중성 부력 -호브링
 c. 짝 호흡
 

 

즐거운 놀이 동산 / 출수 및 요약

 

오픈 워터 다이버 과정/제한 수역 다이브 5
수중에서 스쿠바 및 웨이트 탈착
수면에서 스쿠바 및 웨이트 탈착
즐거운 놀이 동산 - 기술 합성 5
출수 및 요약

개방 수역 다이빙은 총 4회의 스쿠바 다이빙과 1회의 선택 사양으로 스킨 다이빙을 교육한다.
4회 중 첫 다이빙은 수중에서 기술 훈련이나 시범이 없고 수중 관광만 시행한다.


이는 디스카바 스쿠바 다이빙개방 수역 다이빙과 그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일정 기간 이내 디스카바 스쿠바 다이빙을 참가한 학생다이버의 경우

오픈워터 다이빙 과정에서 첫 해양 훈련 다이빙을 빼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술 교육에 있어서 많은 학생의 상승 훈련을 위해

강사가 잦은 상승을 할 수 밖에 없는데

이에 따른 안전 대책으로 몇 가지 기술을 강사의 재량으로 2-4회 다이빙 중 분산해서 교육할 수 있게 배치했고

가급적 교육 시 팀을 이루어 서로 도움으로서 상승 훈련의 빈도를 조절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개방 수역 다이빙 개요를 보면 다음과 같다

 

 

PADI 오픈 워터 다이버 과정 (개방 수역 다이브)

(학생들이 제한 수역에서 기술을 숙달 하였다면

강사의 재량에 따라 개방 수역 훈련 다이빙 2,3,4 중 어느 다이빙에서건 시행이 가능한 경우입니다)

1. 조절된 비상 수영 상승 (조비수상:CESA) : 강사만 교육 가능
2. 쥐가 났을때 해결방법 (보조 강사가 평가할 수 있다)
3. 지친 다이버 끌기(보조 강사가 평가 가능)
4. 50미터 직선 수면 나침반 수영(보조 강사 평가 가능)
5. 스노클/호흡기 교환(보조 강사 평가)
6. 수면에서 웨이트 시스템과 스쿠바 유니트를 벗고 다시 착용하기 (보조 강사 평가 가능)
7. 수중 나침반 항법(보조 강사 평가 가능)


 

개방 수역 훈련 다이빙 1

1. 브리핑
2. 장비 준비
3. 장비 착용 및 조절
4. 다이빙 전 안전 점검
5. 입수
6. 부력/웨이트 점검
7. 조절된 하강(최대 수심 12미터)
8. 수중 탐험
9. 상승
10. 출수
11. 요약 및 로그 기록

 

 

개방 수역 훈련 다이빙 2

1. 브리핑
2. 장비 준비
3. 장비 착용 및 조절
4. 다이빙 전 안전 점검
5. 입수
6. 부력 점검
7. (쥐 풀기 - 자신과 짝)
8. (20미터 지친 다이버 끌기)
9. (스노클 / 호흡기 교환)
10. 조절된 하강(최대 수심 12미터)
11. 부력 조절 - 핀 피보트(저압 인플레이타)
12. 부분 물 찬 마스크 물 빼기
13. 완전 물 찬 마스크 물 빼기
14. 호흡기 되 찾기 및 물 빼기
15. 대체 공기 공급원(AAS) 사용 - 정지 상태
16. 대체 공기 공급원 상승
17. 수중 탐험 및 부력 조절
18. 상승
19. 수면에서 웨이트 제거
20. 출 수
21. 요약 및 로그 기록

 

 

개방 수역 훈련 다이빙 3

1. 브리핑
2. 장비 준비
3. 장비 착용 및 조절
4. 다이빙 전 안전 점검
5. 입수
6. 부력/웨이트 점검
7. (나침반을 이용하는 50미터 직선 수면 수영)
8. 6-9미터 참고 물 있는 자유 하강(최대 수심 18미터)
9. 부력 조절 - 핀 피보트, 입으로
10. (조절된 비상 수영 상승)
11. 짝 호흡 - 6-9미터 수심에서 정지 상태 및 상승(선택 사양)
12. 수중 탐험과 부력 조절
13. 상승
14. (수면에서 웨이트 탈 착)
15. (수면에서 스쿠바 유니트 탈 착)
16. 출수
17. 디브리핑 및 로그 기록

 


 

개방 수역 훈련 다이빙 4

1. 브리핑
2. 장비 준비
3. 장비 착용 및 조절
4. 다이빙 전 안전 점검
5. 입수
6. 부력/웨이트 점검
7. (50미터 수면 나침반 수영)
8. 참고 물 없이 자유 하강
9. 부력 조절 - 호브링
10. 수경 탈, 착, 물 빼기
11. (나침반 수중 항법)
12. 수중 탐험 및 부력 조절
13. 출수
14. 요약 및 로그 기록

 



개방 수역 훈련 - 스킨 다이빙(선택 사양)

개요 및 권장 훈련 순서

브리핑

장비 준비
장비/노출복 착용
장비 점검
입수
부력/웨이트 점검
수면 수영
수면 다이빙 및 수중 수영
스노클 물 빼기
수중 탐험
출수
요약 및 로그 기록

여기서 부터는 정식 C-Card를 발급 받는 급수이며,

정식으로 다이빙에 입문을 하시려면 C-Card를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이는 각 교육단체에서 발급하는 라이센스의 급수는

세계의 어느 지역이든 리죠트나,다이빙샵에서 인정을 받는 자격증으로

그곳에서 포인트의 난이도에 따라 라이센스 급수에 맞는 다이빙을 즐기게 하므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키 위함이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서 라이센스가 없으면

 다이빙을 할 수가 없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PADI 스킨 다이버 과정

 

 

스킨 다이버 과정은 자격증이 발급되는 정규 교육과정으로 디스카바 스노클링과 구별이 된다.

제한 수역(수영장)에서 주어진 교육 과정이 있고 각 기술의 학습 목표를 완전하게 달성해야 한다.

 

 


기술 개발 내용을 학습목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모든 스킨 다이빙 장비를 독립적으로 준비하고, 착용하고, 조절하고 제거할 수 있고

2. 자신과 다른 사람의 장비를 고장이나 잘못 조절된 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고

3. 현지 환경에 적당한 다양한 요령을 이용하여 보트 입수를 포함하여 안전한 입수와 출수를 할 수 있게 되고

4. 독립적으로 웨이트를 선택하고 조절하여 수면에서 중성 부력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고

5. 스노클을 통해 호흡하면서 기도를 조절하여 질식을 예방할 수 있고

6. 수면에서 BCD(부레자켓)를 입으로 불어 넣고 완전히 배출할 수 있고

7. 수면에 있는 동안 짝으로부터 3미터 이내의 거리를 유지하고

8. 스노클링 장비를 착용하고 발을 딛고 설 수 없는 깊은 물의 수면에서 능숙하게 수영할 수 있고

9. 설 수 없는 깊은 물에서 머리를 쳐박아 수직 다이빙을 할 수 있고

10. 한 번의 호흡으로 수중에서 적어도 15미터를 수영할 수 있고

11. 수직 다이빙 후에는 한 손을 머리 위로 올리고 위로 쳐다 보면서 천천히 유영해서 안전하게 상승 할 수 있   고

12. 수면에서 고개를 들지 않고 스노클을 통해 호흡을 하기위해 스노클에서 물 빼기를 하기 위해 숨을 크게 하고 불어내기를 할 수 있고

13. 수직 다이빙후 상승과 함께 스노클 물 빼기를 하고 호흡을 할 수 있고
     (전위법이나 불기법은 스노클의 디자인에 따라 실시하라.)

     (여러 종류의 스노클과 물 빼기 두 가지 방법을 모두 해 보는 것이 권장된다.)

14. 방향 감각을 유지하면서 스노클 장비를 착용하고 수면과 수중에서 수영할 수 있고

15. 웨이트 벨트를 사용하면 설 수 없는 깊은 물에서 탈 착을 할 수 있고

16. 수면과 수중에서 PADI 표준 수신호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반응할 수 있게 한다.


 

개방 수역 다이빙PADI스킨 다이버 자격증을 받는데

필수적으로 해야하는 사항은 아니지만

권장사항으로서 강사의 재량에 달려 있다.

- 개요 -

브리핑
장비 준비
장비 착용
장비 점검
입수
부력 점검
수면 수영
수면 다이빙 및 수중 수영(짝과 돌아가면서)
출수
디브리핑

 

 

- 자격증 발급 절차 -

 

모든 시행 기준을 성공적으로 이수하면 강사는 PADI 스킨 다이버 자격증을 발급한다. 
강사는 소정의 서류에 완전하게 기재하고 서명한 PIC봉투를 PADI 사무국에  제출하면 된다.

학생의 최종 수중 훈련 세션을 시행하는 강사는 PADI 강사, 보조 강사,다이브마스타의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이 강사가 된다.
학생에게 자격증을 주는 강사는 모든 자격증 발급에 관한 시행 기준이 충족되었다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 핵심 기준 -

 
사전 자격: 없음
최소 연령 : 8세
권장 과정 소요 시간 : 12시간
최소 개방 수역 훈련: 없음(권장 1회)
학생 대 강사의 비율 :
제한 수역 16:1
개방 수역 10:1
 
최소 강사 등급 :
 PADI 다이브마스타, 보조 강사, 언더워터 강사(혹은 그 이상 등급의 PADI 강사)
 
경험 프로그램

 

 

A. 디스커버 스쿠바(Discover Scuba)


 

스쿠바장비를 착용하고 직접 물속에 들어가 보는 과정입니다.

 

사전 자격: 없음
최소 연령: 10세(Bubblemaker 8세)
권장 소요 시간 : 60분
최대 수영장 수심: 6미터 (Bubblemaker는 2미터)
참가자 대 강사 비율 : 8:1(6 bubblemakers : 1 강사,또는 4 bubblemakers : 1 보조 강사)
최소 강사 등급 : PADI 보조 강사 이상

 

- 교육 내용 -

1. 서명: 물에 입수하기 전에 디스커버 스쿠바 진술서 읽고 서명
2. 이론 교육 : 디스커버 스쿠바 다이빙 비디오 혹은 플립 챠트로
3. 수중 기술 :

             1) 압력 평형

             2) 호흡기 물빼기

             3) 수중 호흡 방법
4. 제한수역 다이빙 1의 기술을 강사의 재량으로 교육할 수 있으나 과도한 교육은 피할 것.

 

 

 

B. 디스커버 스쿠바 다이빙(Discover Scuba Diving)

 

 

스쿠바장비를 착용하고 다이버 마스터 이상의 자격을 소지한 사람의 안내를 받아서 물속을 여행하는 과정입니다.


 

- 참가 자격 -

1. 10세 이상
2. DSD 등록 팜프렛에 완전하게 기록하고.

    의료 진술서에 해당 항목이 있는 경우 물에 들어가기 전에 의사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3. Instructor Supervision 강사의 감독및 교습 상태 :

    PADI 강사가 지식 개발, 제한 수역 기술 개발 및 첫 개방 수역 다이빙을 직접 안내해야 한다

 

 

- 비 율 -

지식 개발 : 제한된 비율 없다
기술 개발 :

          수영장 : 8:1 (보조 1명 당 2명씩 추가 가능)
          제한 수역 : 4:1 (보조 있을 때 최대 6:1까지)
          수직 라인을 이용하여 개방 수역에서 실시 시 : 1:1
          개방 수역 다이빙 : 4:1 (보조 있으면 최대 6:1)
              (단: 10-11세 연령이 참가하는 경우는 최대 4:1이고

                    4명 중 10-11세 연령 층이 2명 이상 참가할 수 없다)


첫 개방 수역 경험 이후에는 조교가 2:1로 다이빙 가능(강사의 간접 감독)

 

 

- 지식의 평가 -

물에 들어가기 전에 학생들은 플립챠트의 내용을 이해 할 것

- 플립챠트에 평가 문제가 예 아니오 형식으로 들어 있다
   Discover Scuba Diving Review from Flip Chart(yes or no 문제 집)- DSD 플립챠트

100점을 맞거나 틀린 문제는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 듣는다

- 문제에 서명하고 일자를 기입한다.



- 등록 절차 -

DSD 등록 팜플렛 - 이해 진술서/면책 동의서/등록 정보/의료 진술서/지식 복습 문제 답안지


강사 발표(교육)를 담당하는 강사가 수중 기술에 들어가기 전에

DSD Registration Pamphlet이 완벽하게 기록되고 서명 되었는가 확인해야 한다.

자격증 발급은 없으나 모든 과정을 마친 사람은

개방 수역 다이빙 후 30일 이내 PADI에 등록시켜야 한다
1) DSD Registration Pamphlet에 들어 있는 Registration card 이용
2) DSD Registration F orm 이용


5명 등록하면 OWS Diver 1명 교육한 것과 같은 점수 인정(1점)

- Master Instructor 점수에서는 75점까지 인정 받을 수 있다.

 

 

 

- 참가자 자격 -


 

강사나 조교의 안내를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다이빙 할 수 없다



- 시간 제한 -

교육 필 한 후 2주 이내는 재 교육 없이 다이빙 부분 참가 가능


 

- 교 재 -

1) 강사 지침서
2) DSD 플립 챠트(Flip chart) -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3) DSD 등록지(Registration Pamphlet) 혹은 양식 - 반드시 사용
4) DSD 비디오 - 권장
5) DSD 강사 슬레이트 - 수중 기술 교육 시 반드시 사용

 


 

강사의 교육발표


 

교실, 수영장, 해 변, 배 위에서 Flip Chart 로 교육
Discover Scuba Diving 플립 챠트
 

 

- 소개 -

수압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수중 생물
수신호
당신이 사용하게 될 스쿠바 장비
스쿠바 장비 사용- 기술 소개 및 개발

수중 기술 소개 및 개발 (개방 수역 다이빙 전에 같은 날 실시하는 것이 좋다)
개방 수역 다이빙 전 모든 기술을 숙달할 것


 

- 환경 사양 - 
 

1. 수영장 및 제한 수역 : 처음엔 얕은 물이 필요하다
2. 배 :

깊은 물(해변에서도 물이 깊으면 같은 조건)

수영장 이 없는 곳에서의 선택
하강 줄을 사용할 것
오로지 DSD에서만 인정되는 선택임
비율 = 1:1


 

- 제한 수역 기술 개발 개요 -
 

■ 브리핑
■ 마스크 서리 처리
■ 장비 착용 및 조절
■ 수면에서 BCD(부레자켓) 공기 주입 및 배출
■ 수면에서 호흡기 되찾기
■ 수중 호흡 소개
■ 귀와 마스크 압력 평형
■ 호흡기 물 빼기(수중)
■ 압력 계기 찾기 및 사용
■ AAS 사용(30 초) : donor가 건네 준다
■ 수중 수영
■ 수신호 인식 연습(적어도 세 가지 연습)
■ 상승(학생 부력 조절)
■ 자유 시간(선택 -권장 사항)
■ 장비 제거 및 디브리핑
■ 개방 수역 다이빙
■ Briefing
■ 장비 준비(강사 및 조교가 할 것)
■ 장비 착용, 검사, 조절
■ 입수(조건에 따라 입수 후 장비 착용 가능)
■ 부력 확인
■ 하강
■ 수중 관광
■ 상승
■ 출수
■ Debriefing
■ 기술 훈련이 없다 - OWS Diver 과정(초급과정)의 개방 수역 다이빙 1 로 간주됨
■ 최대 수심 12 미터/ 주간 다이빙

 

 

- 핵심 기준 -

 

 
사전 참가 자격 : 없음
최소 연령 : 10권장
시간 : 3 시간
최소 개방 수역 훈련 : 1회
최대 개방 수역 수심 : 12 미터
 
비율 :
 개방 수역 6:1 ( 8:1 조교 있을 때 )
수영장 기술 훈련 (10:1, 조교 1인 학생 4명 추가)
보트에서 실시할 때 1:1
 
강사 : underwater instructor 이상
 


수년내에 재앙온다  -KBS-

 

먼저 올린글과 또 앞으로 올릴 글들은 "다이빙강사의 교육지침서"이므로

일반인이나 잠수초보자에게는 무척 생소하고 어려운 내용들이 서술되어 있음을 밝힙니다.

(단지 이글에서 잠수교육은 각 레벨에 따라 어떻게 교육시키는지

참고로 알아 두시라는 뜻에서 올리고 있으니 이점 양지 바랍니다.)

 

디스커버 스노클링

 

 

이 프로그램은 자격증을 발급하는 교육과정이 아니고

물안경과 오리발 그리고 숨대롱을 착용하고,

수면에서 떠 있으면서 수중을 관람하는 "관광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참가자 연령 제한은 없고,

다이브마스타 이상 회원이 안내한다.


 

교육내용

 

1. 마스크 서리 제거하기
2. 마스크와 핀을 조절하기
3. 장비 착용하기
4. 핀을 신고 수영하기
5. 스노클로 호흡하기
6. 입수/출수요령
7. 편안하고 쉽게 물속에서 자신을 유지하기


 

※ 참가자는 수중 세계의 비디오를 시청하거나 다음의 요점을 소개한다.


 

 

A. 무엇을 하고 볼 것인가

1. 수중 생물 구경
2. 사진
3. 탐험
4. 지역 활동

 

등을 소개한다.


 

B. 기술 요령

1. 마스크, 핀, 스노클
2. 부력 조끼
3. 필요한 노출복과 웨이트 시스템
4. 악세서리
5. 장비 착용

 

등을 소개한다.


 

C. 스노클 수영과 수중 안전

1. 지역 구경거리, 소리, 수온
2. 수신호(OK, 또는 가까운 거리에서 OK, 나를 따르라, 이쪽을 보라 등)
3. 마스크 서리 제거
4. 입수/출수
5. 물에 뜨기, 호흡하기, 긴장 풀기
6. 짝 시스템
7. 스노클 및 마스크 물 빼기
8. 핀 킥
9. 조끼에 공기 넣기


등을 소개한다.

 

참가자에게는 별도의 자격증을 발행하지 않는다.

 

디스커버 스노클링 투어 동안

안내하는 PADI 회원은

디스커버 스노클링 참가자가 상기의 내용에 대해

소개및 교육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소아 프로그램

 

 

A. 버블 메이커(Bubblemaker)


 

디스카바 스쿠바의 소아 버전으로


최대 수심 : 2미터(참고: DS는 6미터)


비율 :

   수영장 :

      강사 : 1:6
      보조 강사 : 1:4
   제한 수역 :

      강사 : 1:4 (보조 있으면 최대 6:1까지 가능)
      보조 강사 : 1: 4


강사 자격 : 보조 강사 이상
과정의 개요 : 상세한 내용은 DS 부분에서 확인하세요

 

padi1
 

B. PADI 씰 팀(Seal Team) 프로그램


 

2001년 PADI는 8-10세 소아를 위한 스쿠바 다이빙 교육 프로그램으로

버블메이커(bubblemaker) 프로그램에서 진일보한

Seal Team(특전단)프로그램을 내 놓았습니다.

내용을 간단하게 소개하면


1. 이름 : PADI Seal Team(특전단)마스타 특전단(Master Seal Team) 프로그램

2. 연령 : 8-9세(즉 만 10세가 되면 디스카바 스쿠바, 디스카바 스쿠바다이빙 혹은 스쿠바 다이버과정에 바로 들어 올 수 있다

3. 장소 및 수심 : 수영장에서만/ 최대 수심 4미터

4. 강사자격 : 보조강사 이상

5. 강사 :

     참가자 비율

        수심 2미터 까지 : 6:1 강사(최대 8:1) 혹은 4:1보조 강사

        수심 2-4미터 까지 : 2:1 강사 혹은 보조 강사

6. 교육 내용 :

"오픈워터 다이버 과정 제한수역 다이빙 1"에 나오는 모든 기술을

5개 부분으로 나누어 교육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수료하면 PADI 특전단 자격을 받게 된다.

이후 10개의 스페셜티 수중 임무(Aqua Mission)를 모두 마치면

마스타 특전단 자격증을 받을 수 있다.


* 10개의 특수(Specialty) 수중 임무


 

1. creature ID(생물체 확인) 스페셜리스트
2. environmental(환경 친화적)
3. inner space(우주인)
4. navigation(항법)
5. night(야간)
6. safety(안전)
7. search and recovery (수색 및 인양)
8. skin diver(스킨 다이버)
9. snapshot(스냅 사진가)
10. wreck(난파선)

 

이 외에도 독특한(Distinctive) 수중 임무를 강사가 만들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