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새우철은 좀 지났죠?

저번달 만해도 한동안 서해안 바닷가 어디를 가나 생새우 판매가 한창이고,

생으로 또는 소금구이 등을 그 자리에서 먹을 수 있게 하여,

관광객의 입을 즐겁게 하곤 합니다.

이 새우류에는 식용으로 쓰이는 종이 많지만,

동물 사료낚시 미끼로도 쓰이기도 합니다.

새우는 한자어로는 하(鰕·蝦)라고 합니다.

 

새우1

 

주:

옛 문헌  중에《재물보》에서는 인충(麟蟲),《물명고》에서는 개충(介蟲), 《전어지》에서는 무린류(無鱗類)에 속하는 것이라 하였다.

 

장미류(長尾類)라고도 하는데,

꼬리가 길다는 뜻이 아니라 배가 발달하였다는 뜻이다.

 

유령새우

영어명은 보리새우류prawn이고, 작은새우류shrimp이나,

미국에서는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모두 shrimp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유럽과 미국산의 랍스터lobster인데, 닭새우류spiny lobster이다.

가재류crawfish 또는 crayfish라고 한다.

 

유령새우

새우3

 

십각목 새우아목에 속하는 절지동물의 총칭이며,

 

새우는 다리가 10개를 가졌기 때문에 집게와 같이 십각류(十脚類)로 분류된다.

그러나 게나 집게와는 또 다른 모습을 하고 있읍니다.

 

새우2

 

십각류를 분류하면,

 

유영아(遊泳類)에 속하는 보리새우류작은새우류는 몸이 좌우로 납작하여 헤엄치기에 적합한 종류와,

보행아(步行類)에 속하는 닭새우류가재류는 몸이 원기둥 모양이거나 등배 쪽으로 납작해서 기어 다니기에 적합한 종류로 분류합니다.

(이 경우  집게류게류보행아에 포함 됨)

새우8

아네모네속에, 새우

또한 알을 낳는 습성에서 분류하는 방법으로 분류하면,

 

방란아목형인 보리새우류벚새우류는 바닷물 속에 알을 낳아 방치해 두지만,

포란아목형은 그 외의 새우류집게류·게류와 같은 종류는 유생이 부화할 때까지 암컷이 알을 배로 감싸서 보호하는 종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새우류의 생활방식은 대부분 무리를 지어 사는 무리생활을 하는 습성이 있으며,

대부분이 야행성이기 때문에 먹이도 밤에 찾는 경우가 많은데,

 

식성은 잡식성입니다.

이동할 때는 보통 앞으로 움직이지만,

위급할 때는 배를 굽혔다 폈다 하면서 재빨리 뒤로 물러나기도 한다.

계절에 따라 회유하는 종도 있으며,

종에 따라 밤에는 위쪽으로 올라가고 낮에는 아래쪽으로 수직이동을 하는 것도 있다.

 

새우5

 

새우류의 화석은 고생대데본기에서부터 나타나므로

이때부터 출현하였다고 볼수 있으며,

중생대 쥐라기에 이미 보리새우류와 각종의 작은새우류가 번성하였다고 합니다.

특히 닭새우류의 화석은 쥐라기의 지층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백악기에는 현생의 새우류와 거의 비슷한 많은 종류가 살았을 것으로 짐작된다고 합니다.

 

새우5

 

새우류의 몸구조는 가늘고 길며,

몸은 좌우대칭이고 키틴질을 포함하는 외골격으로 덮여 있읍니다.

 

몸통은 머리·가슴·배 3부분으로 나뉘지만,

머리와 가슴은 붙어서 머리가슴으로 되어 있으며,

크고 매끄러운 껍질이 가슴과 머리부분을 한꺼번에 덮고 있으며,

가슴 부분에 달려 있는 5쌍의 다리는 보통 바닥을 기는데에 사용되므로 '보각(步脚, walking leg)' 라고도 하는데,

종에 따라서 앞쪽 두 세쌍의 다리는 걷는것 이외에 여러 가지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집게발로 변형되어 있기도 합니다.

가슴부분의 더 앞쪽은 머리부분으로 이 곳에는 2쌍의 턱뼈가 있어서 먹이를 먹는데 사용하고,

눈은 눈자루에 달려 있어서 게류의 눈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읍니다.


새우6

 

그러나 머리가슴 길이가 몸 길이의 절반 이하로

배부분이 매우 발달되어 있고,

 

배의 몸마디는 여러개의 관절을 가지고 있어서,

각각 독립된 외골격으로 싸여 있고 서로 막으로 연결되어 배를 자유롭게 굽혔다 폈다 할 수 있어 물속에서 유영할 수가 있는데,


그중 복부 마디의 다섯번째 마디 까지는 물 속에서 유영을 하는데 쓰이는데,

물 속을 유영하기 쉽게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관으로는  

부수적으로 뻗어 나온 껍질 기관인 '유영지(遊泳肢, swimming leg)'라고 불리우는 것과

복부의 마디 중 제일 끝에 넓다란 노처럼 껍질이 변형된 꼬리 부채인 미지(眉肢)를 한쌍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생을 물 속에서 자유롭게 헤엄쳐 다닐 수 있는 부유생물이라고 할 수 있으나,

 

새우7

 

새우헤엄치며 사는 것 이외에

얕은 물속에서 모래바닥 표면이나

거머리말이 많이 있는 곳,

연안의 암초나 바위틈이나 산호초의 틈 등에서 저생생활을 하는 것이 많으나 ,

깊은 바다밑 심해저에 사는 것 등이 있는가 하면,

 

그 밖에 동물과 공생생활을 하는 것도 꽤 있읍니다.

 

새우종에 따라 이들은 해면류, 산호류·멍게말미잘류 등의 강장동물,

이매패류와 같은 조개류성게·갯고사리 등의 극피동물 등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 많으나 ,

숙주에 치명적인 해를 주지는 않는다.

 

특히 이들은 이들 나름의 보호색을 띄기 때문에 연안의 암초지대나 산호초에 사는 종에는 아름답고 정교한 무늬를 지닌 것이 많으며,

깊은 바다에 사는 종에는빨강·오렌지색 등 화려한 색을 띠는 것이 많읍니다.

 

특히 속살이새우류의 생태는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으며,

몸색·형태 모두 공생생활에 잘 적응하는등,

새우류는 여러 환경에서 적응하며 살고 있읍니다.

 

 

새우4

 

서식지로는 담수·기수·해수에 모두 분포되어

연안을 비롯한 대륙붕의 유기물질이 많은 모래나 진흙 바닥, 연해의 해조가 많은 곳, 또는 강어귀가 꼽힌다. 

그리고 원래 해산이기 때문에 담수역에 사는 것은  가재류 외에 징거미새우류와 ·새뱅이과생이류가 서식하고 있을 뿐으로  종수가 적고,

대부분 바닷물에서 사는 것이 많은데,

 

유령새우31

 

열대·온대·한대 해역의 조간대에서 심해에 걸쳐 분포하며

한대 수역보다는 열대 수역에,

심해보다는 얕은 바다에 더 많읍니다.



이들은  전세계적으로 약 2,500종이 분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민물이나 연해 통틀어 한국 연해와 담수에는 약 80종이 분포하고있으며,

이 가운데

동해의 도화새우·북쪽분홍새우·진흙새우,

남해의 보리새우·꽃새우·자주새우,

황해의 대하·중하·중국젓새우·밀새우,

제주도 근해의 닭새우·펄닭새우 등이

경제성이 높아 양식을 하기도 합니다.

 

 

 

이들 전부를 양식하지는 못하고 일부 종에 한해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보리새우는 인공부화에서 성체 양식에 이르기 까지 완전히 관리할 수 있어 한국에서도 기업화되고 있고,

최근에는 열대지방에서 담수산 징거미새우류와 같이 몸이 큰 것을 기업적으로 양식하고 있읍니다.

(전 베트남에서 세계에서 가장 큰종류의 새우를 먹은  적이 있는데,

굵기가 엄지와검지를 동그랗게 한 것보다 커서,

그놈 하나를 먹으니깐 배가 부를 정도 였죠.)

 

 

 

 

이들의 종류를 살펴 보면,

 

 

대하
크기 : 27Cm 전후
분포 : 서해, 동지나해, 중국의 산둥지방에서 뽀하이 만에 이르는 해역
설명 : 서해의 어획물 중 최고급. 수명은 만 1년입니다.

도화새우
크기 : 17Cm 전후
분포 : 우리나라 동해
설명 : 수명은 4-5년 정도이며, 성장함에 따라 성전환을 합니다.

보리새우 
크기 : 20Cm 전후
분포 : 영일만과 남해일대, 전북 서해 연안
설명 : 새우중 가장 맛이 좋으며, 우리나라, 대만 등에서 중요한 양식종의 하나입니다.


중하
크기 : 15Cm 전후
분포 : 남해와 서해안 수심 20m 전후의 모대지대
설명 : 수명은 만 1년 정도 입니다.

젓새우
크기 : 4Cm 전후
분포 : 우리나라 서해
설명 : 대부분 건조시키거나 젓을 담가 식품으로 이용합니다.

펄닭새우
크기 : 20-25Cm 전후
분포 : 제주도 해안, 남해안
설명 : 육식성이고, 낮에는 바위 틈에 잠복히고 있다가 밤에만 활동합니다.

닭새우
크기 : 20Cm-36Cm 전후
분포 : 제주도 남서부 표선 앞 해역, 제주시 앞바다 사니질 해역
설명 : 동지나해의 수심이 30-200m 인 사니질 바닥에서 어획됩니다.

 




Forever In Lov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