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공기보다 열전도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물에서의 체온 손실은 공기 중에서 보다 약20~30배 정도 빠르게 진행 됩니다.


그래서 잠수복을 입지 않는다면,

매우 급격한 체온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인체에서는 혈관수축이라는 생리적인 현상이 발생되어

팔,다리 등으로 가는 혈액의 공급량은 최소한으로 줄어 들게 됩니다. 


이는 심장부에서 오는 동맥의 피가 냉각된 이부분에 도달 되기 전에 최소한의 혈액을 제외하고는 정맥으로 미리 우회를 하여 신체의 중앙부에
모여 심장등과 같은 몸의 중요기관을 보호하게 되죠.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피하지방 조직이  보온 역활을 대신하게 되는데,.
우리가 추위를 느낄때 흔히 손이나 발가락등이 꼽아지는 것을 느끼는 것은 피하 지방층이 냉각되어 굳어지게 되는 것이 바로 이 현상입니다.

 

주)

그밖의 현상으로는 굳어진 피하지방을 녹히려는 자가현상으로 떨림이나, 저조한 혈액순환으로 인해 파랗게 된 입술, 그리고 느린 신경반응으로 인한 무감각과 불규칙적인 맥박, 더 나아 가서는 건망증과 사고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아이스다이빙으로 추위에

 노출 안되게 건식잠수복을 착용해야 함) 

아이스다이빙

그런데 이런 "저체온증(Hyperthrmia)" 이 더 심하게 되어 혈관 수축이 멈추게 된다면,
혈액혈관을 빠져 나와 피부로 이동하게 되어 오히려 따뜻함을 느끼게 되는 현상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는 더 이상의 추위를 느끼지 못하는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이렇게 열손실을 확인 할 수 없는 상태에 까지 도달하면 매우 위험한 상태로,
사고력이 떨어지는 것을 지나서, 심하면 의  식상실혼수상태 그리고 사망의 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더구나 다이빙 시에 추위는 혈액순환의 저하로 인해서 질소제거 또한 느리게 진행 되기 때문에 잠수병에 걸릴 확률 또한 높아 질 수 밖에 없겠지요.....

 

주)

그래서 RDP를 계산시에는 실제 수심보다 4M 더 깊게 다이빙한 것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참고>

아프리카,유럽인과는 달리 동북아시안(몽골,에스키모인)은 추위에 강 합니다.

그 이유는

아프리카인은 추위를 느끼면 혈관수축으로 끝나고,

유럽인은 혈관수축 후 에는 미미한 혈관팽창이 나타나지만,

이와는 달리

몽골인은 주기적으로 혈관의 수축팽창을 일으켜 더운혈액을 공급하는 특성을 갖추고 있어 추위에 강인하다 할 수 있죠,

 

더구나 수만년의 추운 환경 적응으로 인해 못 생겼지만,

두리뭉실한 체격조건 (서양의 늘씬한 스타일은 표면적이 커서, 열을 많이 빼았김)과 신체조건(낮은 코,두툼한 눈 두덕,크지 않은 귓밥 등)은 추위에 잘 견딜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서양 사람 기준으로 만들어진 "저 체온 데이타"에서는 동양인이 추위에선 보다 더 안전하다 할수 있겠읍니다.

파이프 피쉬3실고기 목실고기 과(Family Syngnathidae)에는 파이프피쉬(pipefish) 해룡(sea dragon )그리고 해마(Hippocampus)은 등이 하나의 속(屬)에 해당한다는 것은 이미 말씀드렸읍니다.

 

그리이스어로 융합된(Syn)+턱(Gnath)에서 유래된 실고기과에 파이프피쉬(pipefish)를 소개하여 드리겠읍니다.

 

  

파이프피쉬2

몸길이는 약 50cm이며,

몸과 머리는 모두 원통 모양이며 몸은 가늘고 길게 생긴데다가,실고기

등지느러미이 외에는 흔적만 남아 있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마치 뱀장어와도 같은 모습을 하고 있읍니다.

실고기과의 특성인 몸 표면에 골판으로 덮여 있고,

몸 색깔은 짙은 갈색 또는 암갈색이고,

배쪽 만이 밝은 빛깔을 뛰고 있고,

몸 전체에 여러개의 체륜()이 있어서 해초 사이에 숨어 있으면 찾기 힘들 정도로 위장술이 뛰어 납니다.


실고기머리는 매우 작은 대신에 주둥이가 유난히 길고 관 모양으로 둥글게 생겼다으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는 파이프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하여 파이프피쉬( Pipe Fish)라는 이름이 주어진 것 입니다.

파이프는 입은 아주 작고,양 턱은 작으며, 이빨 또한 없기 때문에 먹이를 통채로 삼키는 것이 특징으로 길쭉한 주둥이를 이용해서 작은 갑각류 등을 빨아 들이는 방식으로 사냥하며,

이런 작은 새우나 프랭크톤이 많이 서식하는 연안의 해조류 사이에 서식를 하고 있읍니다.


고스트 파이프, 피시 

 

그리고 또 파이프피쉬 중에 특이한 종류인 고스트 파이프피쉬(Ghost Pipe Fish)라는 놈이 있는데,

고스트 파이프, 피쉬



 



 

사진이 대부분 Ornate ghostpipefish(부채유령실고기)로 보이는군요.

이 밖에 털주둥이, 날씬, 긴꼬리 등이 있다고 합니다.


Robust ghostpipefish(민꼬리자루유령실고기)

 

고스트파이프, 핏쉬이놈은 몸에 유난히 돌기가 많이 있어서 얼른 보면 해초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몸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부유해서 다니는게 특징입니다.

보통 쌍으로 다니는 것이 발견되는데,

이들 중에서 작은 것이 수컷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해마나 파이프피쉬와 달리 암컷이 알을 부화시키는데,

접합된 배지느러미로 만들어진 육아낭에서 알을 부화 시킵니다.

 

   다이빙 깃발다이빙깃발       피에수:

그동안 해마,해룡,그리고 파이프피쉬 등을 두서 없이 올려 드렸읍니다.

이 글들은 어디까지나 제가 프로다이버는 아니지만,

물속에 특이한 생물과 신비로운 동식물이 보신 님들에게

다이빙에 대한 도움을 드리고져 올린 글입니다.

그러다 보니 타인이 찍은 사진 일부가 포함되어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만일 이의를 제기시에는 하시라도 정정하겠읍니다.

 

 

다. 잠수복 장탈착 시 주의사항


*잠수복 착용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해변의 다이버대부분 습식잠수복은 열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매우 타이트하게 제작 되므로,
이로인해 착용시에 주로 손목이나 발목 부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네오프렌 내부의 공기막을 터트려 보온이 안될 뿐만 아니라
착용시에 에너지 소비가 많게 되어 초보자(새로 장만한 잠수복일 경우에는 더함)나 연약한 여성의 경우에는 잠수하기 전에 이미 지쳐 버리는 수도 간혹 있답니다.

이는 피부와 잠수복과의 밀착으로 인해 매끄럽게 들어 가지 못하기 때문인데,
몇가지 착용 방법을 나열하면,

 

 

1. 슈트와 몸에 물을 뿌려 가며 입는다.

 

침수가 된 잠수복은 물의 무게로 인해 약간 늘어 나는 현상과 또 피부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주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 되는 방법입니다.
(원단 표면이 라이크라와 같이 매끄러운 기지로 된 경우에는 비교적 몸이 잘 미끄러져 착용이 용이 하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물에 적셔 입는 방법이 좋을거란 --- 엉터리생각!!!!)

 

 

2. 잠수복 안쪽에 파우더를 바르는 방법

 

서서입수특히 건식잠수복을 착용시에 부분이 약하므로 손톱등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으므로

탈콤 파우더를 잠수복 안쪽에 바르고 착용하는 것이 좋으나,
아래에서 언급하였듯이 사용 후에 땀으로 범벅이 되었다면,

반듯이 세척을 잘 해 주어야 합니다.

습식잠수복을 입을 때는 굳이 파우더를 쓸 필요는 없겠으나,

잠수복을 건조된 상태로 착용을 하게 된다면,

손이나 발등에 파우더를 직접 바르고 착용을 한다면,

매우 수월한 방법일 것입니다.

 

3. 비닐 봉지를 사용한다.

 

입기 전에 먼저 손이나 발에 쇼핑용 비닐봉투를 끼우고 슈트를 입은 후에 비닐봉투를 빼 버리는 방법입니다.
(요사이는 잠수복 착용을 위해 나일론으로 된 덧버선이 상품으로 나오기도 한다고 하니 세상이 좋아지긴 좋아졌나 봐요...ㅎㅎㅎ)

 

 

4. 잠수복을 미리 말아 올린 후에 착용후 걷어 내리는 방법

 

슈트를 입기 전에 접어서 말아 올린 후에 손이나 발을 끼우고 난 후에 다시 풀어 내리는 방법이 있으나 ,
슈트가 투터운 것이라면 마는 것도 용이하지 않고,
말아진 상태에 손이나 발을 착용하기도 여간 힘이 드는게 아니므로
주로 얇은 잠수복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그동안 슈트에 대해 모든 자료들을 취합하여 장문을 펼쳤으나,

긍극적인 이유는 체온을 빼앗기지 않기 위한 엉터리 같은 글 들이었으며,

체온을 빼았겼을 때의 생리적인 현상은 다음 글에 올리겠읍니다.

엉터리 잠수복 평가의원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