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슬이 세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아무리 해박한 지식이 있다 해도 실제적인 경험이 없이는 공염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실제 카메라를 들고 사진촬영을 해 보는 연습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촬영에 앞서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시간대에 따라 노출, 조리개 선택, ISO 감도 설정, 화이트밸런스(WB)설정, 기타 챙겨야 할 보조 장비에서부터, 야간 촬영에 있어서의 튼튼한 삼각대, 릴리즈 등 신경써야 할 부분이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

 

어느 정도 촬영에 익숙해지다 보면 경험적으로 무엇이 필요하며 어떤 것은 필요 없겠다는 것이 습관화 될 수 있으므로 많은 경험을 쌓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카메라 촬영의 기본자세 및 촬영에 임하는 태도 등...

촬영에 임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들을 간략하게 설명 해 보겠읍니다.

 

첫째  카메라 파지법

왼손이 카메라의 아래 부분을 받치고,

팔꿈치는 가슴 쪽으로 바짝 붙여서 흔들림이 없도록 하고,

촬영 자세는 서서 찍을 때는 L자형으로 다리를 벌려서,

앉아서 찍을 때는 마치 사격을 하는 자세로 안정감 있는 자세를 취한 다음

셔터는 자신도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가볍게 살짝 눌러주어야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둘째  목적의식.

그냥 좋아 보여서 찍었다고 할 수 있지만,

무억을 찍을 것인가 하는 본인이 바라 본 세상에 대한 느낌과 생각이 병행될 때 비로소 사진은 생명력을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셋째, 피사체의 배경.

찍어야 할 주 피사체에만 신경을 쓰다 보면 배경으로 인해 사진을 망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물의 표정에만 열중하다 보면 인물의 뒤 배경에  커다란 나무나 전신주가 뿔난 듯이 머리 위에 있거나,

실내에서는 장식용 도자기를 머리 위에 이고 있는 장면이 연출되기도 하는 등

촬영하기 전에 불필요한 것이 있는 지 없는지 잘 살펴 본 후 촬영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넷째, 다각도로 피사체를 잡아 보자 

촬영자가 꼭 한쪽 방향에서만 촬영하지 말고 자리를 자꾸 이동해서 피사체를 바라보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자신이 바라보는 위치가 항상 최선의 위치가 아니며, 앵글도 로우 앵글이 좋을 것인지, 하이 앵글이 좋은지 다양하게 시도를 해 본 후 최선의 위치와 각도를 선택해야 합니다.

 

같은 장소에서 같은 시간에 같은 위치에서 촬영을 해도 사람마다 사진이 각각 다른 이유는 이런 촬영 자세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가끔 고정적인 틀에서 벗어나 보자.

"알고 나면 잊어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앞에서 사진 구도의 여러 가지에 대해 알아 보았지만,

이 말은 알고 있는 대로만 하면 정형화 된 식상한 사진이 되기 때문에 가끔은 자유분방하고, 새로운 형태의 사진을 찍을 필요가 있다는 말입니다.

그것이 곧 자신만의 사진이 되는 첫걸음입니다. 
 
사진의 일반적인 구성은 가로 비율이 세로 비율보다 큰 직사각형의 화면을 구성합니다.

대부분의 카메라 화면도 이렇게 구성되어 있고 심지어 와이드 화면은 가로와 세로 비율이 2배 내지 심지어 3배 정도 차이가 나는 파노라마 화면도 있습니다.

이런 화면 구성에 익숙해 있다 보니 이것을 어기면 안 되는 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 (그림1)처럼 정방형(6×6㎝) 구도가 이 사진에서는 그 묘미를 더해 줍니다.

(사진출처: 2000년 8월 한국사진작가협회 주최'제2차 촬영대회 지도위원 연수교육' 강의 내용 중에서)

 

 

(그림1)

 

 

여섯째, 빛을 잘 이용하자.

인물 사진이나 풍경사진이나 어떤 광선을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원래 사진이란 ‘빛으로 그린다’란 뜻 처럼 빛은 사진의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빛의 방향에 따른 사진의 차이는 이미 앞에서 설명 드렸습니다만,

특히 인물 사진에 있어 빛은 사진의 생명력을 불어 넣는 요소입니다. 

역광이나 반 역광 사진은 찍기가 까다롭고 노출도 보정을 해야 하는 기술이 필요하지만,

이 빛을 잘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기만 한다면 아주 좋은 사진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가장 흔한 순광 사진은 인물이 너무 평면적이고 눈이나 코 밑, 목에 짙은 그림자가 생겨서 보기 싫어집니다. 하지만 역광에서는 주름이나 그림자가 생기지 않고 머리카락과 어깨에 태양빛이 반사되어 강한 인상의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평범함을 거부하고 과감하게 도전하게 되면 언젠가는 자신만의 멋진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일곱째, 인물사진에서는 인물의 특성도 잘 살리자.

인물 사진도 아주 다양해서 포트레이트 사진을 찍을 때는 그 인물의 외적인 모습을 찍을 것인지, 아니면 그 사람의 인성, 인격, 개성과 같은 내적인 모습을 찍을 것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외적인 표현은 젊고 아름다운 여성의 얼굴이나 몸매, 의상, 밝은 표정 등에서 젊음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고,

내적인 표현은 중년 남성이나 노인의 깊게 패인 주름살 등에서 느껴지는 인간적 무게감을 나타내는 표현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영혼을 찍는 인물 사진작가 유섭 카슈(Yousuf Karsh)는 인물 사진 촬영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 사람의 표정을 잘 관찰하라. 그러면 그의 눈 속에서 나를 끌어 들이는 순간이 있을 것이다.

그 찬스를 놓쳐서는 안 된다.”

인물의 표정은 순식간에 다양한 표정이 나타났다 사라지므로 그 인물의 진실된 교감이 흐르는 순간을 놓치지 말아야 된다는 뜻일 것입니다.

 

아래 (그림2)는 그런 그의 사진 세계를 대변하는 대표적인 사진 중 하나입니다.

이 사진을 찍을 당시의 일화는 아주 유명합니다.

사진을 찍기 전 유섭 카슈는 뷰파인더로 처칠을 응시한 후 처칠이 입에 물고 있는 시가를 보고는 사진을 촬영할 때 처칠의 시가를 뺏어 버렸다고 합니다.

그러자 처칠은 얼굴을 찌푸렸고, 머리를 치켜들면서 손으로 노여움의 태도를 보였다고 합니다.

유섭 카슈는 그러한 처칠의 모습을 통해 도전적이며 정복할 수 없는 이미지, 마치 포효하는 사자의 모습을 보았다고 합니다.

그는 이 찬스를 놓치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림2: 윈스턴 처칠, 1941, 유섭 카슈)

 

이와 같이 인물 촬영 시에는 무작정 카메라를 들이대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에게 접근, 대화를 통해서 충분히 친근감을 나타내 교감이 쌓여지면 자연스럽고 독특한 표정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됩니다.
 
여덟째, 프레임 범위 결정

사진은 뺌셈의 예술이라고 했읍니다.

풍경사진에 있어서 모든 것을 다 보여 주고 싶은 마음에 장황하게 찍다 보면,

매우 번잡하고 주제가 표현되지 못하게 됩니다.

최대한 어느 부분까지를 화면에 넣을 것인가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인물 촬영시에도 인물의 어디 부분까지로 포커싱할 것인가도 결정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얼굴부분만 찍을 때도 있지만,

가슴, 허리 또는 다리 등 일부분을 잘라서 촬영할 때도 있습니다.

 

인체의 일부를 촬영할 때는 인체의 관절 부위를 피해서 화면구성을 해야 합니다.

발목이나 무릎, 팔꿈치 등 관절부위를 정확히 잘라서 화면을 구성하게 되면 어색한 사진이 되기 쉽습니다.

그리고 인물사진에 배경 중에 수평선이나 지평선은 인물의 목을 지나가게 해서도 안됩니다.

 

출처: 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 안영주

 필터의 종류와 활용법

 

필터는 렌즈의 앞이나 뒤 또는 중간에 끼워 필름(CCD)에 닿는 빛의 양과 질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필터는 흑백사진용 모노크롬용 필터, 컬러사진 전용 필터, 흑백이나 컬러 겸용 필터가 있습니다.

필터의 재질도 유리, 젤라틴, 아세테이터 필터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유리 필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같은 기능을 가진 필터라도 제조사별로 명칭이 제각기 다르게 사용되고 있습니다만,

용도별로 필터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고 주로 겸용 필터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필터 몇 가지의 쓰임과 활용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겸용필터

흑백 및 컬러사진 겸용필터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필터입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UV, PL, ND필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UV(Ultraviolet) 필터 / MCUV(Muliti Coating) 필터 / Sky Light 필터

(그림1: UV 필터)  (그림2: MCUV 필터) (그림3: Sky Light 필터)

 

UV 필터는 자외선을 차단, 흡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대기의 난반사로 뿌옇게 보이는 것을 완화해 주고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푸른 기를 제거해 줍니다.

투명하고 노출의 배수와 관계가 없어 렌즈의 밝기나 색상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아울러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를 보호해 주는 역할도 합니다.

 

UV 필터와 같은 효과를 내는 MCUV(Muliti Coating) 필터는 렌즈를 다중으로 코팅해 UV 필터의 난반사를 줄이고, 고스트, 플레어 현상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만,

UV 필터보다는 가격이 비쌉니다.

 

Sky Light 필터는 옅은 분홍색을 띠며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푸른 기 외에 약간의 초록색 빛도 제거해 주기 때문에 정확한 색상을 재현할 수 있고 렌즈 보호용으로 UV 필터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PL/CPL 필터

(그림4: CPL 필터)

PL(Polarize Light) 필터나 CPL(Circular Polarize Light) 필터는 특정한 한 면으로 빛이 진동하고 이동하는 것(편광)을 차단해 주는 역할을 하는 필터이며, 흔히 편광필터라고 부릅니다.

편광필터는 회색과 갈색을 띠며 틀은 두 겹으로 되어 있고, 바깥쪽 필터를 회전시켜 편광 제거 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컬러에서 색채의 콘트라스트를 강조하며 렌즈의 밝기를 약 2~3 스톱 정도 낮추게 됩니다.

편광필터의 효과는 아래 (그림5)에서처럼 하늘을 푸르고 어둡게 보이게 하며 구름의 명암을 더욱 뚜렷하게 해 줍니다.

 

(그림5)

 

또한 나무나 풀의 초록의 반사를 줄여 채도와 선명도를 높여 주기도 하고, 바위의 표면 반사를 줄여 자체의 색을 뚜렷하게 보이게도 합니다.

특히 유리나 수면의 반사를 제거해 주기 때문에 편광필터는 어항 속의 금붕어를 촬영하거나, 창문으로 된 진열대 속에 들어 있는 상품을 촬영하고자 할 때는 필수적인 필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편광필터 사용에 있어 유의해야 할 점은 편광이나 반사를 무조건 제거하는 것만이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적당한 반사는 피사체의 입체감을 살려 자연스러워 보이게 하며, 지나치게 하늘을 푸르게 보이게 하는 것은 오히려 자연스럽지 못하고 왜곡되어 보이게 할 수도 있습니다.

편광필터의 회전하는 바깥쪽 부분을 돌리면서 뷰파인더나 LCD 창을 통해 적당히 편광이 제거된 지점을 찾아 촬영해야 오히려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ND(Neutral Density) 필터

 

(그림6: ND 필터)

 

ND 필터는 중성농도, 중성 회색이란 뜻으로 모든 가시광선의 파장을 흡수하는 필터입니다.

ND 필터는 색상이나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빛의 양만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필터는 농도에 따라 ND2, ND4, ND8 등 심지어 ND400, ND1000까지도 있습니다.


ND2는 빛을 50%만 투과시키며 노출을 1 스텝 줄입니다.

ND4는 빛을 25%만 투과시키며 노출을 2 스텝 줄입니다.

ND8은 빛을 12%만 투과시키며 노출을 3 스텝 줄입니다.

 

ND 필터는 빛이 너무 강해서 개방조리개를 사용할 수 없거나 셔터속도를 늦출 수 없을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면, 한낮에 야외에서 아웃포커싱을 해 인물촬영을 해야 하는 경우 빛이 너무 강해 가장 빠른 셔터 속도로도 조리개를 최대 개방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ND 필터를 사용하면 빛의 양을 감소시켜 조리개를 좀 더 개방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는 야경촬영을 할 때 셔터속도를 늦춰 장시간 노출을 하려고 하는데 빛이 밝아, 조리개를 최대한 조여도 느린 셔터속도를 확보할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이때 ND 필터를 사용하면 빛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장시간 노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한 낮에 카메라가 f8, 1/125초의 풍경사진을 촬영하는데  ND 필터를 사용하게 되었을 때의 실제 노출 시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위 도표에서 노출 시간이 길 때는 상반칙불궤 등의 문제로 도표 계산치보다 노출이 더 요구돼 노출배수를 15% 더 보정해 줘야 합니다.

만약 한낮에 노출이 f8, 1/125일 때 파도를 운해처럼 표현하려면 ND 125는 2초, ND 500은 12초 노출하면 됩니다.

실예로 한낮에 PL 필터를 사용하고(난반사 방지를 위해) f22, 0.5초의 노출이 나온 상태에서 ND400을 사용하면(8 3/2stop 차이), 노출배수의 약 15%를 더 주게 되고, 그러면 실제 노출배수는 약 9.96 정도의 노출배수가 됩니다.

따라서 실제 노출시간은 첫 노출시간인 0.5초보다 10배 정도 더 준 480초(즉 8분 정도)를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7)은 원래 노출이 PL 필터에 ND4를 사용해 F22, 0.25초 정도 나온 것에 ND400 필터를 다시 이용해서 찍은 사진입니다.

 

(그림7: f22. 360초, ISO 100, 70㎜)

 

그런데 이 수치는 이론상으로 말한 수치이고,

실제로 장시간 노출을 주게 될 때 햇빛이 상당 시간 동안 구름에 가려 있을 경우도 있어 그 시간을 감안해 노출을 더 줄 수도 있으며,

또 파도의 양에 따라 너무 장시간 노출을 주게 되면 바위 주위에 너무 많은 포말이 생기게 되므로 분위기가 오히려 덜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해 노출을 이론상 주어진 노출시간을 중심으로 브라켓팅해서 몇 장 찍어보면 나름대로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 안영주


 

아웃포커싱의 원리

  

출처:funfunstudio.com/8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