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의 촬영 모드

 

촬영 모드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으면 상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촬영 모드의 변경 방식

 

사진 촬영을 하다 보면 각 촬영 조건과 상황에 맞게 촬영 모드의 변경을 수시로 하게 됩니다.
종래의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는 메뉴에서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변경하는 방식이었지만,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일반형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도 다음 (그림1)처럼 이제 대부분 카메라의 본체 윗면 혹은 뒷면의 모드 다이얼을 통해 촬영모드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림1)

 

촬영 모드는 자동 모드(Auto), A/S/M 모드, 프로그램 모드, 장면 모드(Scene) 등 모드 다이얼로 구분하고,

A모드, S모드, M모드의 세부 선택은 LCD창을 통해 메뉴에서 설정하도록 되어 있는 기종도 있습니다.

 

 

자동(AUTO) 모드와 프로그램(Program) 모드

 

자동 모드에서는 조리개 값과 셔터 속도를 모두 카메라가 완전 자동으로 설정해 줍니다.
자동 모드에서는 EV값에 의한 노출 보정을 할 수 없고, 화이트 밸런스(WB), ISO값 또한 자동으로 설정되며, 초점방식 또한 자동초점방식(AF) 기능만을 지원합니다.

카메라 샤용의 초보자인 경우는 부담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촬영 모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림2: 캐논 350D 모델, 자동 모드)

 

프로그램 모드(P모드)는 자동 모드처럼 조리개 값과 셔터 속도를 카메라가 자동으로 설정해 준다는 점에서 그 기능이 동일하지만,

자동 모드에는 할 수 없는  EV값에 의한 노출 보정, 화이트 밸런스(WB), ISO값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초점방식 또한 자동초점방식(AF) 외에 수동초점방식(MF)을 지원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습니다.

 

기종에 따라 자동 모드와 프로그램 모드를 함께 지원하는 기종도 있고, 프로그램 모드만을 지원하는 기종도 있으며 촬영 모드 표시방법도 기종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매뉴얼을 통해 촬영 모드를 잘 익혀 놓을 필요가 있습니다.

 

 

조리개 우선 모드(A모드, Aperture Priority Mode)

 

(그림3: 조리개 우선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는 A모드 또는 AV모드라고 하며 조리개 값을 설정하면, 셔터속도는 자동으로 결정되는 방식입니다.

EV값에 의한 노출보정, 화이트 밸런스(WB), ISO값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초점방식 또한 자동초점방식(AF) 외에 수동초점방식(MF)을 지원합니다.

조리개 우선 모드는 수동모드 중에서도 가장 활용도가 높은 촬영 모드입니다.

 

조리개 값의 설정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고 나면,

그 조리개 값에 비례하는 피사체의 적정노출에 맞춰 카메라가 자동으로 셔터 속도를 설정해 주게 됩니다.

 

조리개와 셔터 속도와의 상관관계로 인해 같은 장면을 찍을때 란다면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는 조리개를 열수록 셔터 속도는 빨라지며 ,조리개를 조일수록 셔터 속도는 느려집니다.

 

(그림4: A모드, f4.0, 1/4000초) 

 

(그림5: A모드, F22, 1/400초)

 

(그림4)와 같이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 조리개 값을 f4.0으로 설정했을 때는 셔터속도가 1/4000초였던 것이, (그림5)와 같이 조리개 값을 f22로 최대로 조였더니 셔터속도는 조리개 값에 비례해 1/400초로 카메라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사진의 심도는 조리개의 개방 정도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사진의 심도를 자유롭게 표현하기에 적합한 촬영모드가 바로 조리개 우선 모드입니다.

 

(그림6: A모드, f5.6,  1/250초)

(그림7: A모드,f11, 1/125초)

 

(그림6)은 곤충이나 꽃, 혹은 인물사진에서처럼 조리개를 개방해 피사계 심도를 얕게 하여 아웃포커싱 촬영을 함으로써, 배경의 산만함을 없애면서 주 피사체인 곤충, 꽃, 혹은 인물만 선명하게 부각시켜 집중적인 효과를 가져다 줍니다.

이와는 달리 (그림7)은 의도적으로 조리개를 조여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함으로써 전경인 갈매기와 원경인 등대까지도 초점이 맞게 한 것입니다.

 

조리개 우선 모드는 조리개를 개방해 아웃포커싱 효과를 활용하는 인물사진에 적합하며, 조리개를 조여 팬포커스 효과를 활용해 촬영하는 풍경, 제품 등의 사진에 적합합니다.

 

 

셔터 우선 모드(S모드, Shutter Priority Mode)

 

(그림8)

 

카메라 기종에 따라 표시 방식은 약간씩 다르지만,

조리개 우선 모드와는 정반대의 개념으로, 셔터 우선 모드는 S모드 또는 TV모드라고 하며 셔터 속도를 설정하면, 조리개 값은 자동으로 결정되는 방식입니다.

EV값에 의한 노출 보정, 화이트 밸런스(WB), ISO값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초점방식 또한 자동초점방식(AF) 외에 수동초점방식(MF)을 지원합니다.


셔터 속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달리하면, 셔터 속도에 비례하는 적정 노출의 조리개 값을 카메라가 자동으로 설정해 주게 됩니다.

셔터 속도를 빨리 할수록 조리개는 크게 열리고(조리개 개방), 셔터 속도를 느리게 할수록 조리개는 조여져(조리개 조임) 작게 열리게 됩니다.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빠른 셔터 속도가 요구되며 이 때 셔터 우선 모드를 사용하면 빠른 셔터 속도로 고정시켜놓고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예를 들면 빠르게 움직이는 자동차나, 날아가는 새를 선명하게 포착하고 싶으면 자동차의 속도나 새가 날아가는 속도에 비례해 카메라의 셔터 속도가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셔터 속도가 떨어지게 되면 자동차나 새의 흔적만 카메라에 포착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 셔터 속도를 1/125초, 1/250초 이상 확보해야 되겠다고 한다면 촬영 모드를 셔터 우선 모드로 세팅을 하게 되면 셔터 속도는 그대로 변하지 않지만 조리개는 카메라가 자동으로 설정해 주게 되는 겁니다.

 

(그림9: S모드, 1/100초, f2.8)

(그림10: S모드, 1/50초, f5.6)

 

(그림9)와 (그림10)은 셔터 우선 모드로 셔터 속도를 각각 1/100초와 1/50초로 설정해 뜀틀을 향해 달려오는 운동선수의 모습을 촬영한 것입니다.

1/100초로 촬영된 (그림9)는 뜀틀에 도약하는 선수가 정지된 듯한 모습으로 촬영된 반면,

1/50초로 촬영된 (그림10)은 마치 운동선수의 모습을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동감(動感)이 생겼습니다.

셔터 우선 모드는 이처럼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해 원하는 속도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합니다.

 

 

수동 모드(M모드, Manual Exposure)

 

(그림11)

수동 모드는 M모드(매뉴얼 모드)라고도 하며, 조리개 값과 셔터 속도 모두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EV값에 의한 노출 보정, 화이트 밸런스(WB), ISO값 등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초점방식 또한 자동초점방식(AF) 외에 수동초점방식(MF)을 지원합니다.

 

수동 모드는 까다로운 촬영 조건에서 촬영자의 의도대로 노출과 조리개 값을 얻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고정되어 있는 피사체가 아닌 움직이는 피사체의 경우라면 순간적으로 적정 노출 값을 파악하고 조리개 값과 셔터 속도를 조작해 촬영한다는 것은 숙련된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수동 모드는 정지되어 있는 피사체(예: 풍경사진, 야경사진, 포트레이트 사진 등)에는 아주 적합하지만, 움직이는 피사체와 같은(예: 달리는 자동차, 날아가는 새 등) 순간을 포착해야 하는 촬영이라면 수동 모드보다는 오히려 조리개 우선 모드나 셔터 우선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유리할 것입니다.

 

아래 (그림12), (그림13)은 야간에 풍차의 궤적을 수동 모드를 이용해 조리개를 최대한 조이고 각각 32초와 67초의 셔터 속도로 장시간 노출해 촬영한 것입니다.

(그림12: M모드, f22, 32초)  (그림13: M모드, f22, 67초)
                   

(그림12)는 셔터 속도를 32초로 주어 풍차의 궤적이 선명하지 못하며 노출도 부족입니다.

그러나 (그림13)에서는 노출을 (그림12)의 두 배인 67초를 주었더니 풍차의 궤적도 선명하며 노출도 적절했습니다.

이와 같이 야경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조리개 값과 셔터 속도 모두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수동모드를 이용해 촬영해야 하는 것입니다.

 

 

장면 모드(SCENE 모드)

 

(그림14)

장면 모드는 씬(scene) 모드라고도 하며, 인물, 풍경, 야경 등 각 촬영 상황에 맞도록 최적의 노출이 프로그램화되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방식입니다.

 

각 촬영조건에 따른 적정 노출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 초보자들이 각 상황에 맞는 최적의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카메라 기종별로 지원하는 장면 모드는 약간의 차이가 있고, 최근에는 더욱 다양한 촬영 조건에 맞는 장면모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벌브 모드(B-mode)

 

위(그림14)의 다이얼 모드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기종에 따라 'B'라고 표기된 것이 벌브 모드입니다.

다이얼 모드에 나타나 있지 않을 경우 보통 노출이 30초 이상 떨어지게 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Bulb-shutter로 자동 전환됩니다.

이 경우 사람이 셔터를 누르고 있는 동안 계속 빛을 노출시키는 모드로 손으로 셔터를 누를 때 작은 떨림이 발생 할 수 있으므로 타이머(Timer)를 사용해야 하며, 삼각대 등으로 카메라를 고정시킨 상태로 촬영해야 이미지 떨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안영주

카메라가 피사체의 밝기를 어떻게 측정할까요?

 

사진의 밝기와 관계되는 노출은 한마디로 빛의 양을 조절해 주는 것으로 카메라가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그방식을 측광방식이라고 하며 여기에는 몇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촬영상황에 따라 적절한 측광방식을 선택해야 적절한 노출의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측광 방식의 종류는 다분할평균측광(멀티측광 혹은 패턴측광), 스팟측광, 중앙중점평균측광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위의 측광방식을 모두 지원하고 있으며,

피사체의 조건에 따라 올바른 측광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선명한 사진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다분할평균측광(멀티측광 혹은 패턴측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측광 방식으로 렌즈에 투영된 피사체를 일정한 구획으로 분할해 평균밝기를 구하는 방식입니다.

화면을 전체적으로 측광해 자동적으로 노출을 결정해 준다는 것입니다.

패턴측광은 피사체와 배경의 대비가 크지 않는 일반적인 촬영조건에서 많이 사용하며,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의 측광 방식도 기본적으로 다분할 평균측광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다분할평균측광은 니콘은 3D 메트릭스측광, 올림푸스는 디지털 ESP측광, 소니는 멀티 패턴 49분할 측광 등 제조사에 따라 적용기술의 차이가 있고 그 명칭도 각기 다릅니다.

다분할평균측광은 분할영역이 많을수록 그만큼 세밀하게 노출을 얻는 데 유리합니다.

최근 출시되는 고급 기종의 경우 측광 포인트가 수십 개 이르는 것도 있어 아주 세밀한 측광을 해 주기도 합니다.

 

(그림1: 다분할 평균측광)

(그림1-1: 다분할 평균측광에 의한 촬영)

 

 

스팟측광(SPOT 측광)

 

스팟측광은 카메라가 피사체 중심부의 3~5% 영역만 측광해 전체 노출을 이에 맞추는 측광방식입니다.

스팟측광은 특정영역에 노출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밝은 지점에 스팟을 맞추면 노출은 더 어두워지고, 어두운 지점에 스팟을 맞추면 더 밝게 측광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 시간의 노출 보정에서 설명 드린 바 있습니다.

 

아래 (그림2)에서 처럼 스팟측광은 아주 세밀한 측광을 나타내기 때문에  주변부와는 노출 차이가 심해 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측광 방식은 어느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그 부분을 꼭 살려 내고 싶을 때 사용하는 측광 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림2: 스팟측광 방식) 

(그림2-1: 붉은 꽃잎에 스팟측광 촬영한 예)

 

역광이 비추는 인물의 경우 얼굴 부분이 상당히 어둡게 나오고 배경은 밝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피사체인 얼굴과 피사체의 배경 간에 명암차가 큰 이런 경우에는 주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 부분(특정지점)을 스팟측광해 사용하면 피사체에 대한 적절한 노출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림3: 역광에서 다분할평균측광 촬영 예)

(그림4: 역광에서 잎에 스팟측광 촬영한 예)


스팟측광은 <특정영역>의 아주 작은 부분에 노출을 맞추는 것이기 때문에 어디에 노출을 맞추느냐에 따라 노출이 급격히 변합니다.

 

 

중앙중점평균측광

 

중앙중점평균측광은 구획화해 동등한 비중으로 밝기의 평균을 구하는 다분할 평균측광방식(멀티측광)과 비슷하지만,

대부분 중요한 피사체는 가운데에 놓이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 피사체 중앙부분의 20~30% 영역의 밝기를 중점에 두고 가중치를 적용하는 측광방식입니다.  

 

 

(그림5: 중앙중점평균측광)

(그림5-1: 붉은꽃을 중심으로 중앙중점평균측광)


다음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위 세 가지 서로 다른 측광 방식에 따라 촬영한 모습입니다.

(그림1-1: 다분할 평균측광)  

(그림2-1: 스팟측광) 

(그림5-1: 중앙중점평균측광)

 

다분할평균측광에 의한 (그림1-1)은 전체적으로 어둡게 촬영되었습니다.

(그림2-1)의 스팟측광은 꽃 부분만 측광을 했기 때문에 꽃이 훨씬 밝게 보입니다.

(그림5-1)의 피사체의 중앙부인 꽃과 초록색 잎 부분의 20~30% 정도의 밝기를 중심으로 측광했기 때문에 스팟측광보다는 어둡고, 평균측광보다는 밝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사체의 측광 방식에 따라 사진의 밝기가 다르고, 그에 따라 사진의 분위기도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 안영주

 

디지털 카메라의 측광 원리

 

적절한 노출 값을 얻기 위해 렌즈에 투영된 피사계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을 측광이라고 합니다.

디지털 카메라는 화면 안에 있는 대상을 모두 흑백으로 보고 18%의 반사율로 가정해 노출을 정합니다.

즉, 흰색은 100% 반사율로, 검정색은 0% 반사율로 가정하고

회색, 즉 반사율이 18%인 그레이카드의 회색 면과 동일한 밝기로 노출을 결정합니다.

 

카메라가 피사체의 노출을 인식하는 과정을 다음 (그림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림1: 카메라의 피사체 노출 인식과정)

 

디지털 카메라가 피사체의 노출을 결정할 때는 아래 (그림2)의 중간에 있는 18% 회색을 기준으로 해서 왼쪽의 검정 부분(어두운 부분)은 더 밝게 촬영하고, 중간의 회색을 기준으로 오른쪽 흰색(밝은 부분)을 촬영할 때에는 더 어둡게 촬영합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카메라는 모든 피사체를 검정색도 회색으로, 흰색도 회색으로 인식하려고 하기 때문에 회색을 기준으로 검정색은 더 밝게, 흰색은 더 어둡게 촬영하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그림2)

 

실제로 카메라로 흰색 도화지를 화면 가득히 채워 촬영하면 결과는 흰색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중간회색으로 사진이 나오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검정색 도화지를 화면 가득히 채워 촬영하면 검정색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중간회색으로 나오게 됩니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된 노출계는 측정한 노출 값이 언제나 반사율 18%의 중간회색이 나오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피사체의 반사율에 따라 적절한 노출을 보정해 줄 필요가 있는 것이고,

실제로 피사체의 노출을 결정할 때는 노출을 어두운 부분에 맞추면 노출 부족으로, 노출을 밝은 부분에 맞추면 노출 오버로 찍어야 검정과 흰색을 제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설경을 촬영한다면 카메라의 노출계는 카메라에 들어온 화면의 평균을 중간회색으로 표현하려 하기 때문에 흰 눈에 대해서 회색으로 표현되도록 노출을 줄입니다.

 

(그림3: f8.0 1/250초, 패턴측광, 노출보정 0.0, 눈의 색이 회색)

 

위 (그림3) 처럼 흰 눈이 화면에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노출을 카메라에 맡겨 두면 카메라는 18% 반사율의 회색으로 전체 화면을 만들게 되어,

이렇게 흰 눈이 어둡고 칙칙한 회색 빛 사진이 되어 버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카메라가 일방적으로 노출을 결정하는 자동 노출은 촬영상황에 따라 보정이 필수적이어야 합니다.

 

 

노출 보정(EV)

 

노출은 조리개 값이나 셔터 속도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에는 노출보정기능이라는 것이 있어 EV 값의 조절에 의해 노출을 보다 쉽게 보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보통 0.3스텝(EV) 단위로 광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2.0에서 -2.0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습니다.

DSLR의 경우는 -5.0 EV에서 +5.0 EV 스텝까지 조절할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EV 값에 의한 노출의 조절은,

예를 들어 +1.0 EV으로 설정하면 노출이 1스텝 오버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만큼 사진은 밝게 촬영되고,

반대로 -1.0 EV로 설정하면, 노출이 1스텝 줄어든 상태이므로 그만큼 어둡게 촬영되는 것입니다.

 

 

(그림4: f8.0 1/90초, 패턴측광, 노출보정 +1.5, 눈의 색이 흰색)

 

위 (그림3)과 (그림4)를 비교해 보면 (그림3)은 노출 보정을 하지 않고 촬영한 경우로 카메라는 자동노출로 카메라에 들어온 화면의 평균을 중간회색으로 표현하려 하기 때문에 흰 눈에 대해서 회색으로 표현되도록 노출을 줄여 눈이 회색으로 변했습니다.

그런데 (그림4)는 EV 값에 의해서 +1.5스텝 노출을 밝게 보정해 눈의 색이 흰색으로 변한 것입니다.

 

 

AE 로크 기능 

 

(그림5)

 

고급형 디지털 카메라 이상의 기종에는 (그림5)처럼 노출을 고정시키고 촬영할 수 있는 AE(Auto Exposure Lock) 기능이 있는 것도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카메라가 적정 노출을 잡았을 때 노출은 고정돼, 초점을 바꾸어도 노출을 그대로 유지시켜줍니다.

동일한 장소에서 고정되어 있는 피사체를 담고자 할 때는 유용한 기능이긴 하나 한편으로는 불편할 수도 있기 때문에,

노출 과부족을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노출 보정을 사용할 수 있다면 굳이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오토 브라켓 기능(Auto Bracket)

 

노출 값을 정확히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 '오토 브라켓' 기능을 사용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오토 브라켓 기능은 현재의 노출 설정에서 노출 과다, 노출 부족의 사진을 동시에 찍을 수 있는 기능입니다.

 

오토 브라켓 기능을 사용하면, 현재의 노출 상태에서 보통 +/- 0.3, +/- 0.6, 또는 +/- 1.0이 보정된 노출 값으로 3장 내지 5장의 사진을 연속해서 촬영할 수 있습니다.

오토브라켓 기능은 연속해서 노출 값을 달리하며 촬영하는 연사기능으로 고급형 디지털 카메라 이상의 기종에서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오토 브라켓 기능은 제품 사진처럼 정교한 노출이 필요할 경우나,

다시 보기 어려운 장면을 간직하고 싶을 때 노출로 인한 사진의 실패를 줄이고자 할 때는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 기능은 한꺼번에 3~5장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메모리에 저장 시간이 오래 걸리고 메모리도 많이 차지한다는 점에서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출처: 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 안영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