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패류를 먹어치워 어장 황폐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불가사리의 천적이 발견됐다.

전남 여수대 강경호(43·수산양식) 교수는 16일 "그동안의 연구결과 나팔고둥이 불가사리를 잡아먹는 천적인 것으로 밝혀져 인공증식 연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교수에 따르면 지난해 초 동해안에서 우연히 나팔고둥이 불가사리를 덮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실험실에서 관찰한 결과 고둥 1마리가 매일 불가사리 1마리 정도를 잡아 먹는 것으로 밝혀졌다.

강교수는 한국환경기술진흥원에서 올해부터 2005년까지 4억원을 투자하는 차세대 핵심 환경기술사업 연구자로 선정돼 나팔고둥 증식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나팔고둥은 10여년 전 만해도 여수 등 해안지역에 많이 서식했으나 최근에는 동해안 일부와 제주도 근해에서만 생존하고 있는 멸종 위기동물이다.

강교수는 "실험 결과 나팔고둥은 먹이로 전복 등 패류보다는 불가사리를 더 좋아했다"며 "불가사리가 기승을 부리는 원인은 환경오염과 수산물 남획 등으로 나팔고둥 등 천적이 사라져 먹이사슬이 파괴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암수 한 몸인 불가사리는 마리당 200만-300만개의 알을 낳고 매일 바지락 16개와 피조개 2개 정도를 먹어치울 정도로 포식성이 강하나 천적이 없는 대표적인 해적생물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당 500원씩에 수매해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두드럭 조개 등과 함께 멸종위기 무척추 동물로 지정돼 있는 나팔고둥은 다 자라면 길이가 30여㎝에 달할 정도로 커 구멍을 뚫어 나팔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여수/연합뉴스 2003년 4월 >   

         

나팔고둥

 

학 명 : Charonia sauliae

분 류 : 연체동물문, 복족강, 이족목, 수염고둥과

비 고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급

분 포 : 제주도 성산포, 서귀포, 차귀도, 마라도 부근 해역

 

형태 특성 :

패각은 대형으로 원추형이다.

나층은 8층이며,

위쪽의 나층은 주홍색, 아래쪽의 나층은 자갈색이며 구름 모양 또는 황백색 무늬를 띠고 있다.

혹 모양의 돌기가 체층의 주변에 2줄 나 있다.

껍질은 매우 딱딱하고 두꺼우며 황백색 바탕에 적갈색 무늬가 불규칙하게 산재한다.

각경의 길이는 10cm이다.

 

생태 특성 :

불가사리 등을 잡아 먹는다.

 

환경 유형 :

조간대에서 부터 수심 20~30m의 암반에 서식한다.

 

 


 다이버들의 취미는 여러가지로 나눌 수 있읍니다.

그중에서 수중생물을 관찰하는 재미는

다이버들을 매료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렇다면, 다이버들의 수중 관찰에는 각자의 특성이 있는데,

 

갯민숭달팽이a무서울 정도로 큰고기 또는,

실제로 무서움을 유발시키는 상어또는 고래에 흥미를 느낀다거나,

물고기가 집단으로 움직이는 것이나,

감태와 같은 식물이나,대형 산호 군락등에 흥미를 느끼는

스케일이 큰 것에 대해 관심이 많은 다이버가 있는가 하면,

 

해마,조개소라종류 또는 달팽이나,납작벌레 등 과 같은

작은 생물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들도 있읍니다.

 

물론 이런 작은 생물들은  아지자기함 뿐 만 아니라,

마이크로의 신비함이 조물주의 창조에 경이로움을 느끼게 까지 합니다.

 

그런데,그중에서 갯민숭달팽 만큼이나,

다양한 돌기 모양과 화려한 색깔을 가진 바다생물은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일부 다이버들은 이런 갯민숭 달팽이에 심취 되어,

아직까지 미발표된 새로운 종의 갯민숭 달팽이를 찾기 위해

바닷속의 그들과 함께하는 분들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갯민숭달팽이1

 

갯민숭달팽이고동류,조개류,오징어,문어류 등과 같은 연체동물군에 속하며,

그 중에서도 Gastropoda(복족류) 로 분류됩니다.


갯민숭달팽이2갯민숭달팽이3

 

복족류는 다양한 먹이습성,

패각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진화하게 되었는데,

대부분 나선형의 껍질을 갖고 있으나,

종류에 따라서는 퇴화되었거나 전혀 없기도 하며,

달팽이, 소라, 우렁, 전복,고동, 삿갓조개,군소 ,갯민숭달팽이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갯민숭달팽이4

 

갯민숭달팽이9

갯민숭달팽이(nudibranch,, sea slug)

전세계에 분포되어있는것으로 약 75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답니다. 

크기는 대부분이 길이가 4∼5cm정도이지만  30cm정도인것도 있읍니다

 

몸형태는 대체로 납작하고 좌우 대칭형입이다.

몸에는 화려한 색깔의 돌기가 있는데,

이들을 크게 두가지로 대별한다면

등 전체에 돌기를 가진 무리,

항문 주위에만 꽂다발처럼 돌기가 나 있는 무리,

로 구분할 수가 있는데,

별 모양의 수염처럼 생긴 돌기가 아가미 역할을 해서,

물 속의 산소를 흡수하여 호흡하게 됩니다. 

 

갯민숭달팽이, 18

 

갯민숭달팽이를 "누디 브렌치"라고 하는데,

번역을 하게 되면"벗은 아가미(naked gills)"이라는 뜻과 같이

다른 복족류와 달리 갯민숭달팽이는 패각이 없읍니다.

 

갯민숭달팽이7

 

갯민숭달팽이8

그러나  이들이 몸에서 강한 독성물질인 터피노이드 화합물을 분비하여,

공격자에게 맛이 없는 먹이로 여겨지게 하고,

현란할 정도로 눈부신 채색으로 적에게 경계심을 불러 일으키게 하는 보호색 으로인해서,

비록 몸을 보호해 주는 단단한  패각은 없지만,

치열한 생존경쟁에서 살아 남을 수가 있었읍니다. 

 

 

더구나 작고 연약해 보이는 이들은 도리혀 포식자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바위에 붙어 있는 작은 미생물이나 따개비류어류의 알들을 먹이로 삼을 뿐 만 아니라,

자신보다 더 큰 동물이라 해도 먹이가 되는 동물들인 해파리, 말미잘, 히드라, 산호류 같은 자포동물해면동물, 멍게류 등....

 

저서생물이나,고착생물들을 입안에 있는 치설로 잘라 먹는 무서운 공격자로 해양 생태계에 군림하고 있읍니다.             

스패니쉬댄스

갯민숭달팽이b

 

 

 

 

 

 

 

 

 

 

 

 

그래서인지 이들의 천적은 청자고동류 등 몇 종류의 고동류에 불과합니다.

 

흰군소

갯민숭달팽이들이 좋아하는 먹이 중에

자포동물은 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자세포라는 방어물질을 지니고 있는데,

 

 

갯민숭달팽이는 이들에게 독침을 쏘아서 마비시켜 버리며,

이것을 자신의 조직안으로 흡수하여 자신을 보호하는 독성물질인 터피노이드을 만들어 내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읍니다.

이들은 대부분 바닥을 기어 다니는 저서생활을 하나,

몇몇 종은 물 속을 떠다니는 부유생활을 하기도 합니다.

 

배쪽의 근육은 다리 역할을 하는데,

때때로 가장 자리를 쫙 펴서 물속을 유영하며 이동하기도 하지요.

 

갯민숭달팽이6

 

이때의 근육운동도 제각기 다양한 행동을 취하는데,

팽창된 근육을 파상형으로 움직여서 마치 노를 젖듯이 ,

팽창된 근육을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여 마치 새가 날개짓하듯 한 유영을 하는 종류,

부유생활을 하는 종의 일부는

몸이나 돌기를 부풀려 부력을 향상시켜 몸을 움직이기도 하는등

매우 다양한 행동들을 취하고 있어요.


갯민숭달팽이, 19

 

암수 동체로 난자와 정자를 같이 가지고 있는 갯민숭달팽이들은  아트락틴이란 화학 물질을 품어내어 짝짓기 장소에 모이게 되는데,

이때 다른 개체와 난자와 정자를 교환하고 짝짓기 장소에서 서로의 정액을 교환해 수정하는 의식을 치게 됩니다.


갯민숭달팽이, 17

 

번식기인 봄이 오면 다이버들이 바다 속에서 진기한 장면을 많이 볼 수가 있는데,

여러 마리의 갯민숭달팽이가 줄줄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해초에 매달려 있는 경우가 바로 갯민숭달팽이들의 교미 장면입니다.


갯민숭달팽이, 16

 

참고:

갯민숭달팽이가 만드는 독성물질인 터피노이드은 짝짓기를 하여 종족을 보존할 때 뿐 아니라 ,

패각이 없어 위험에 노출된 제 몸을 방어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인다.

 

이 독성물질은 어류를 비롯한 해양의 많은 생물에게 치명적이나,

사람에게는 치명적이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

터피노이드는 쉽게 분해되며,

특히 고온에서는 금방 결합이 끊어지므로 끓이면 안전하다 .

그리고 사람처럼 항온동물의 위에서는 쉽게 소화가 되며

설령 독성이 남아 있더라 하더라도 치명적일 정도로 강하지는 않다.

 

부부력 측정시 주의할 점.력 측정시 주의할 점.

****************잠수복은 물에 담가 두고****************

*************약 20~30분 정도 지난 후에*************

********젖은 상태로 체크하는 것이********

***비교적 정확하게 잴 수 있읍니다.***


특히 장기간 사용 안하거나,

바짝 마른 잠수복은 처음 물에 담갔을 때는
잠수복에 물이 침투되질 않아서 부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읍니다
.


교육중이는 잠수복 양면에 기지를 신축성이 있는 나일론기지로 사용하다 보니,
기지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기막*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만큼 부력이 높아 지기 때문 입니다.

주) 여기서 *공기막*은 네오프렌 내부의 기포 사이의 공기막과 구분하기 위해서 "기포막"으로 바꾸어 사용하기로 하겠읍니다.

특히 오래 사용하여 네오프렌 사이의 공기막이 터진 것이 많은 잠수복은
이런 부력의 차이가 많이 날수 밖에 없는데,


이는 잠수복이 충분히 함습하는 시간을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터진 공기막 입구에 물을 차단 하는 기포막이 생겨
터진 공기막 속에 공기가 미쳐 빠져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마치 처음 구입 할 당시의 부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오인할 수가 있읍니다.


그러나 이렇게 하여 생긴 부력은 물속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리고 잠수시에는 수압에 의한 네오프렌의 수축으로 인해 바로 공기가 빠져 나가 버리므로 진정한 부력이라고는 할 수가 없겠지요.

특히 기지 자체가 물과의 젖음성이 떨어지는(다시 말하면 방수가 잘 되는)기지 일수록 이런 현상이 더 클거라는 엉터리같은 생각도 해봅니다만....

**********그래서 잠수복 부력체크의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잠수를 끝 마치고 나서 측정하는 것을 권장하고 싶습니다.****


이상

막간 엉터리 깜찍 상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