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RODALE'S SCUBA DIVING 지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하여 올립니다.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7 장)
───────────────────
제 7장. 유선형을 유지하라.
스쿠바 장비를 착용한 자신의 모습이 유선형을 이루는 것이 좋다.
가급적이면 호흡기를 비롯한 각종 호스를 최대한 몸에 가까이 붙이도록 하고,
가능하다면 공기통도 작은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스노클을 사용할 일이 없다면 과감히 스노클을 뗀다.
단, 스노클은 수면에서 필수적인 장비이니 자신의 능력에 따라서 착용 혹은 제거하도록 한다.
보트다이빙 등의 경우는 스노클을 사용할 일이 많지 않을 것이다.
부력조절기도 물속에서는 저항을 받는 장비이므로 가능하면 몸에 꼭 달라붙는 작은 것을 사용한다.
웨이트 역시 무게 자체가 주는 에너지 낭비와 함께 저항의 요소이므로 최소한 가능한 무게까지 줄인다.
따뜻한 열대바다에서 다이빙할 경우는 얇은 잠수복을 입음으로써,
혹은 찬바다에서도 중성부력의 잠수복을 착용함으로써 웨이트를 줄일 수 있다.
가장 적합한 웨이트 무게는 3-5미터 수심에서 500 psi 정도의 공기를 남긴 상태에서 안전감압을 위하여 정지할 수 있는 무게이면 된다.
이때 부력조절기에는 공기가 없는 상태이어야 한다.
그리고, 무선 게이지를 팔에 착용하여 호스의 갯수를 줄이는 것도 저항을 줄이는 방법이다.
그리고, 슬레이트 등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항상 부력조절기 주머니에 넣어 놓는다.
이상이 물속에서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다이버가 할 수 있는 장비의 착용법이다.
이 외에도 자신의 손과 발, 기타 작살이나 사진기 등도 이동시에는 물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도록 방향을 정하여 유선형이 되도록 노력한다.
유선형을 유지함으로써 절약할 수 있는 공기의 량은 최소 20 에서 최대 40 PSI 정도이었다고 한다.
***************************************************************************
이 엉터리가 첨언으로 유선형을 유지하여야 한다고 말씀 드린바 있읍니다.
이글은 주로 유선형이 되기 위한 장비착용방법을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고 있네요.
여기서 한가지 더 말씀 드리자면,
장비를 치렁치렁하게 하여 물속에 들어 간다면,
물속의 장해물(돌출된 지형지물이나 따개비,굴과 같은 고착생물,그물또는 낚시줄,그밖에 심지어는 짝쿵의 장비등등)의해 걸리적 거릴 수가 있으며,
좀더 심할 경우에는 이것으로 인해서 위험한 사항에 이를 수 있으므로,
자신의 장비는 가능한한 씸플하게 착용하여야 합니다.
넘 보기에도 훨 보기에 좋고,
엉터리 같이 안 보이잔여...ㅋㅋㅋ
'이론 잠망경 > ┃ 잠수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9 장) (0) | 2005.03.19 |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8 장) (0) | 2005.03.17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6 장) (0) | 2005.03.13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5 장) (0) | 2005.03.11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4 장) (0) | 200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