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RODALE'S SCUBA DIVING 지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하여 올립니다.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10 장)
─────────────────── 



제 10장. 공기를 그냥 없애지 마라.

수심이 깊어지면서 취하는 동작 즉,

이퀄라이징, 마스크 클리어링,부력조절기 공기주입 등과 같은 동작은 수중에서 필수적이다.

반면, 장비의 불량으로 인하여 공기가 새어 나가거나,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공기의 유실은 그저 낭비일 뿐이다.

 

마스크 클리어링 하면서 엄청난 힘으로 불어댈 경우 호흡의 리듬이 끊어지게 되며,

클리어링에 필요한 공기의 양은 실로 조금일 뿐인데 이로인해 낭비되는 공기는 엄청나다.
그러므로 올바른 마스크 클리어링 방법을 익혀서 낭비를 줄인다.

부력조절기에 공기를 주입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수중에서 중성부력을 맞추기 위하여 공기를 주입할 때 아주 조금씩 끊어서 주입한다.
한꺼번에 주욱 넣었다가 부력이 맞지 않으면 다시 빼고, 또 너무 빠지면 다시 넣고 하는 과정에 공기는 아깝게 도망가 버린다.
한번 주입하고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필요한 만큼 주입하는 순서로 해서 가능한 한 도망가는 공기가 없도록 한다.

레귤레이터를 입에서 떼어야 할 상황에 있어서는 항상 마우스피스쪽이 아래로 향하게 한다.
겪어 본 사람들은 다들 알겠지만 마우스피스가 위쪽을 향하게 되면

엄청난 양의 공기가 아깝게 사라지게 된다.

스쿠바 장비들은 방수를 위하여 구석구석에 O-ring을 끼워 놓는다.
방수를 위하여 끼워 놓는 경우도 있겠지만,

공기기 새지 않게 하기 위하여 끼워놓은 O-ring도 많이 있다.

그러나 O-ring의 불량으로 인하여 새어 나가는 공기의 량 자체는 여타 손실에 비하면 그리 많지 않다.

장비 중 공기의 손실을 가장 많이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은 호흡기이다.
호흡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경우라 할지라도 틈이 생겨서 유실되는 공기의 양이 눈에 보일 정도라면 필수적으로 장비점검을 해 보아야 할 것이다.

옥토퍼스의 경우 호흡기와 마찬가지로 위를 향하면 공기가 나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미리 조절장치가 달려있는 옥토퍼스를 구입하든지,
아니면 항상 아래를 향할 수 있도록 입수 전에 점검을 하는 것이 좋다.

수면에서 부력조절기 공기주입을 직접 으로 하는 것이 공기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이미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이를 수중에서도 똑같이 적용하는 것은 금물이다.


상식적으로는 그렇게 하는 것이 절약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그렇게 해서 아끼는 공기량보다 입으로 불어 넣음으로써

낭비하는 에너지가 더 많으며,

절약 효과는 전혀 없다.

오히려 위험하고 불편할 뿐이다.


공기를 절약하는 것도 좋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안전영역 이내에서,
그리고 항상 편안한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장비불량으로 나가는 공기의 량은 장비의 상태에 따라서 다르므로 측정이 불가능하고,


대체적으로 낭비를 없앰으로서 절약할 수 있는 공기의 량은 약 20 - 40 PSI 정도이었다고 한다.

 

*************************************************************************************

 잠수인이면 누구나가 물속에 오래 머물러서 물속의 비경을 만끽하고 싶을 것임에는 틀림이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욕구에 비해 자신의 장비의 점검은 너무 등한시하는건 아닌지....

 

상기에서 나열된 마스크 크리어링,부레자켓에 공기주입 방법호흡기를 입에서 탈착 시의 호흡기 방향 등은 잠수시에 주의를 하면 해결이 될 수 있지만,

O-Ring의 교체호흡기의 정비등과 같은 장비불량은 자신의 안전을 위한  점검및 정비로 충분히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해외로의 잠수를 위한 투어를 시행한다면,

잠수전용풀장에 가서 장비를 점검하여 보고 이를 보완한다면,

어렵게 계획한 해외투어를 헛되지 않게 지내고 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 엉터리도 필히 수영장에서 테스트를 시행합니다.

이글은 RODALE'S SCUBA DIVING 지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하여 올립니다.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9 장)
─────────────────── 



제 9장. 공기통 내의 공기를 아껴라.



잠수는 항상 물속에 있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비치다이빙의 경우 공기통을 매고 수면에서 수영을 하게 되는데,
이때 가급적이면 스노클을 이용한다던지,

부력조절기의 공기를 입으로 직접 불어 넣는 등,

공기와 항상 접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공기통의 공기를 필요없이 사용하지 않는 것도 공기를
절약하는 방법이다.

 

다만, 이러한 행동이 아직 자연스럽지 못한 경우는 무리해서 그럴 필요가 없다.

결국, 자신의 다이빙 경험이 증가하고 기술이 향상 될 수록 앞의 동작이 점점 편해질 것이며 공기도 그만큼 아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간혹, 물속에서의 위치가 궁금해서 수면에 잠깐 잠깐 올라와서 위치를 확인하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엄청난 양의 공기를 필요없이 사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런 행동은 절대로 하여서는 안된다.

물속에서 위치가 약간 틀려 있다는 것이 잠수활동에 과연 얼마나 영향을 줄 것인가 ?

수중방향찾기 기술을 습득한 다이버라면 물속에서의 위치 자체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나침반, 혹은 지형지물을 이용한 방향찾기 기술을 익히는 것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장소 이동시에는 약간 떠서 얕은 수심에서 이동하는 것도 공기절약의 한 방법이다.

대부분이 장소이동수중활동을 하는데 바닥 만을 쳐다보고 바닥을 따라 다닌다.
이동하여야 할 거리가 제법 된다면, 바닥을 바라보지 말고 약간 떠서 멀리 쳐다보며 이동하는 것이 좋다.

실제 바다에서 테스트 해 본 결과 필요없는 공기 소모를 줄임으로써 절약할 수 있는 공기의 량은 20 - 40 PSI 정도이었다고 한다.

 

***********************************************************************


 여기서 주의 할 점을 한가지 일러드리고 싶은데요....

 

 공기통의 공기를 아낀다고 공기통장비를 착용하고 나서,

 공기통에 공기압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밸브를 열어 보게 되죠?

 

 그리고는 혹시나 열어둔 채로 그대로 방치하면 호흡기로 약간씩 새어 나갈까 봐  다시 밸브를 잠그는데,

 이때는 필히 호흡기까지 남아 있는 압축공기부레자켓이나 으로 흘려 보내야 만 합니다.

 

만일 이렇게 호수내의 잔류 압축공기를 빼내지 않은 상태로 호흡기를 물었어도

호수에서 호흡기까지 남아 있는 압축공기로 두 세 호흡은 가능하게 됩니다.

 

그런데 입수 지점에서 공기밸브 여는 것을 잊어 먹고 바로 입수를 한다면,

그 몇번의 호흡이 가능함으로 인해 공기통이 열려 있다고 착각하고,

부레자켓공기를 빼면서 하강을 하면,

자신을 그대로 물속으로 수장하는 결과를 초래 할 수가 있읍니다.

 

설마?

하시겠지만,

제 친구 중에 아주 노련한 잠수인인 어느 분도

(여기서는 개인 프라이버시 때문에 이름 안 밝히겠읍니다.)

오리발도 차지 않은 채,

(고무보트 내가 좁은 관계로  물속에서 차려고)

부레자켓의 공기를 빼고 입수를 하던 중에

공기통밸브가 잠겨 있음을 뒤늦게 알고

죽을 힘을 다해 핀킥을 하며 올라 오려 했지만,

오리발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라 더 힘이 들었겠죠....ㅋㅋㅋ 

두세번 물 위로 치솟으며 긴급하게 내 이름을 부르는게 이상히 여겨 

보트에 있던 제가 붙잡아 준 적이 있읍니다.  

 

그래서 엉터리잠수인이란다면 그리고 보트 이동거리가 멀지 않은 거리라면,

차라리 처음에 공기압력 체크를 시행 하기 위해 공기통밸브를 열었다면,

그후에 밸브를 잠그지 않고 그대로 보트 이동을 하는 것이 나을 겁니다.

이글은 RODALE'S SCUBA DIVING 지에 게재된 기사를 일부 발췌하여 올립니다. 


───────────────────
공기소모량을 줄이는 방법(제 8 장)
─────────────────── 



제 8장. 호흡기를 잘 사용하라.



호흡기(regulator)는 스쿠바의 필수 장비이다.

가능하다면 모든 다이버가 자신의 호흡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의 호흡 패턴에 가장 알맞는 호흡기를 소유하여야 한다.

호흡기마다 약간의 호흡량 조절이 가능한데,

가능하면 자신의 호흡량에 가장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일단, 호흡시 불편함을 느낀다거나,

입으로 무는 부분이 잘 맞지 않는다거나 한 경우

약간의 손질이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 없다.

과감하게 자신의 호흡기를 개조할 필요가 있다.
물론 호흡기 내부를 개조하란 말은 아니다.
자신에게 가장 적합하도록 호흡량과 외형을 개조하라는 말이다.

물 속에서 호흡하는 행위는 에너지를 받아 들이는 유일한 방법이며,
동시에 상당량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행위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호흡을 하기위하여 소모하는 에너지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호흡기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전혀 없어야 한다.

따라서 호흡기의 관리를 철저히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최소한 일년에 한 번씩은 장비 전문점에 가서 호흡기 점검을 해 보아야 할 것이며,
보관하기 전에는 항상 깨끗한 상태인지 확인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가급적이면 호흡기(2nd stage)분해하여 보관하는 것을 권장한다.

왜냐하면 호흡기 내부의 막(diaphram)이 오래되면 탄력이 약해지거나  습기를 머금은 상태에서 한쪽으로 붙어서 막혀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호흡기의 효율을 높임으로써 절약할 수 있는 공기의 량은 약 20 - 40 PSI 이었다고 한다.

 

**********************************************************************************


 

여기서 호흡기의 호흡량을 조절하는 레버가 있다고 하였는데,

호흡기가 고급품일 경우에는 조절레버가 달려 있지만,

가격이 싼 것은 그렇지 못한 것이 있읍니다.

 

그러나 그렇게 걱정 할 필요가 없읍니다.

 

대부분이 출고시에 가장 적당한 호흡량에 맞추어 출고 되었기 때문에

도리혀 고급품을 소지하고 있으면서도 레버조절을 잘못하여 공기가 헛되이 소모되는 그런 불상사는 없을 것이니까요...

 

또 한가지 호흡기의 효율을 높이는 요소 중에 무시하고 넘어 가는 한가지가 "마우스피스"입니다.

 

대부분의 잠수인은 처음 호흡기를 살 때 장착된 마우스피스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호흡기에 마우스피스는 동양인보다 서양인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진 것이 많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너무 크거나, 물이 들어 오거나, 잘 물리지 않아서  아구의 힘을 많이 주어야 물리는 경우가 많읍니다.

 

이는 엄청난 스트레스를 가져 오게 되며,

아구에 힘이 들어가게 되면 자연히 온몸에도 힘이 들어가게 되어 편안한 잠수가 될 수 없읍니다.

심지어 며칠간의 장기 다이빙투어에서는 잘 맞지 않는 마우스피스로 인해서, 

입안이 헐거나, 딱딱한 물체를 오래 씹어서 생기는 근육통까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라면 "성형마우스"로 교체하여 자신의 구강구조에 맞춘다면,

아구에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편안하게 호흡을 할 수 있읍니다.

 

 

그리고 여기에서도 말씀 드렸듯이 호흡기점검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무리 엉터리로 다이빙을 한다고 해도 정기적인 점검을 하여 안전한 다이빙을 하시기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