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을 읽기 전에 한번 생각해 보아 주세요.

 

현재 국내외적으로 다이빙의 지향점에 있어 에코다이빙(Eco-diving)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에코다이빙은 쉽게 설명해서 해양생물의 보호, 관찰하는 다이빙입니다.

에코다이빙의 입장에서 보면 바다속 생물과 접촉하는것 자체가 해양생물에게 해를 입히는 것이기 때문에 금지하는 행위입니다.

더 나아가서 해양생물의 생태를 교란시키거나 생태에 영향을 주는 행위로서 수중사진촬영시의 플래시발광도 금지하고 있거나, 금지하자는 견해들이 있습니다.

 

이런 에코다이빙의 관점에서 볼때 수중사진가들은 일반 펀다이버들보다 오히려 수중에서 지켜야 할 사항들이 더 많은 것이 사실 입니다.

그런 취지로 볼때 저를 포함한 많은 수중사진애호가들이 알게 모르게 에코다이빙에 역행하는 행위를 해 왔고 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셀수 없이 많은 수중사진을 촬영하고 그 보다도 더 많은 타인의 수중사진을 보아 온 저로서는 이제 사진을 보면 이건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촬영을 하였다는 것을 대충 예측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접사사진(마크로사진)의 경우에는 사진 한장으로 촬영에 관한 전반적인 상황들 즉 촬영지의 환경, 촬영시의 장비상황, 촬영시의 생물의 상태등을 파악할수 있습니다.

 

수중촬영에 재미를 붙일수록 촬영하고 싶은 대상들이 많이 생깁니다.

타인이 촬영한 사진을 보고 자신도 그렇게 촬영하고 싶은 욕망이 생기고 그러기 위해서는 에코다이빙은 뒷전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역시 이전에는 그랬기에 수중생물에 위해를 가하면서 촬영을 하시는 분들을 보면 이해를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곤 합니다.

 

바다나리에 공생하는 생물들을 촬영할때, 산호에 위장하고 있는 피그미해마, 굴속에 은신하고 있는 만티스쉬림프, 모래속에 숨어 있는 mimic octopus, 불꽃성게에 공생하는 새우나 크랩, 하드코랄에 은신하고 있는 톱날새우, 산호나 해면 또는 바닥을 이동하는 누디브랜치들, 집을 짓고 불가사리를 잡아먹고 있는 할리퀸쉬림프,...등

수많은 피사체들을 촬영할때 수중사진촬영자들은 때론 의도하지 않게 때로는 의도하여 수중생물에게 위해를 가하고 있습니다.

촬영을 편하게 하기 위해 또는 촬영구도가 나오지 않아 수중생물을 인위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수중생물을 제거하거나,

움직이는 수중생물들을 탐침봉이나 다른 것으로 고정시켜 움직이지 못하게 하거나,

은신처에게 나오게 하기 위해 은신처를 파괴하거나,

멋지게 보이게 하기 위해 또는 촬영을 편하게 하기 위해 수중생물들을 건드리거나 때리거나...

 

생각해 보면 저나 수중사진들의 상당수들은 에코다이빙을 역행하였는지 모릅니다.

어쩌면 진정한 에코다이버가 되기 위해서는 수중사진을 사진기가 아닌 눈과 마음으로 찍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눈과 마음으로 찍는 그런 경지가 되기엔 아직 저나 여러분들은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수중사진을 눈과 마음으로 촬영하는 경지는 되지 못할 지언정 수중사진가로서 최소한의 지킬 것은 지키는 수중사진애호가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적어도! 최소한! 자신의 만족을 위해서 수중생물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지는 말았으면 합니다.

 

아래의 글은 어쩔수 없이 꼭 자기가 바다나리 속에 있는 공생생물을 촬영해야 할 이유

- 그것이 개인적이든 공익적이든 간에 -

가 있다면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생태를 알면 수중촬영에 도움이 된다는 말은

생태를 알면 수중촬영시에 수중생물에게 조금은 덜 위해를 줄수있다라는 의미로 생각해 주시고 참고해 주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사진설명)

영명 : Crinoid clingfish

학명 : Discotrema crinophila Crinoid clingfish

 

이 물고기는 거주하는 바다나리와 비슷한 색상을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일종이라도 색상이 다양하며, 이는 공생생물들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바다나리에서 Crinoid clingfish 를 발견했다면, 가이드나 버디의 도움을 받는것이 촬영하기 편합니다.

전체적인 모습을 담는 것보다 바다나리와 어울려져 있는 모습이 생태적으로나 미적으로 보기 좋습니다.

 

(사족)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는 이 사진이 참 좋다.

하지만 내 손을 떠난 사진! 느낌과 평가는 당신의 몫.

 

그래도 이 사진에 추천을 해 주는 사람이라면 왠지...

나와 조금은 더 통하는 것 같다.

어려운 생물학적인 얘기나 촬영기법이 아니라..

그저... 난 이 사진이 너무 맘에 들기 때문이다. 그런 사진 한장은 다들 있지 않는가?

 

 

바다나리의 아랫부분에 숨어있던 Crinoid clingfish 촬영 후에 녀석을 원래있던 자리에 살짝 내려 줬다.

조금 놀랬을지는 모르지만 말이다...^^;;;

 

“생태를 알면 수중촬영도 쉬워진다”

 

수중촬영가들에게 렘베가 사랑받을수 밖에 없는 이유 중에 하나가 풍부함이다.

말미잘 하나에 공생새우, 공생크랩, 아네모네피쉬등이 모여 살기도 하고,

피그미해마도 종류별로 그리고 수중촬영가별로 배당을 받아 촬영할 수 있을 정도이다.

바다나리에도 꼭 공생크랩이나 공생새우가 있고 쉽게 볼수 없는 Crinoid clingfish 도 어렵지 않게 발견할수 있다.

바다나리(Crinoid) 에 사는 Crinoid clingfish 는 찾는것도 어렵지만 촬영하기도 어렵다.

몸의 채색은 바다나리의 색상에 따라 약간씩 다른데 보통은 노랑색계통이나 갈색계통 그리고 검은색계통이다.

이녀석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부득불 바다나리를 조금 귀찮게 해야 한다.

바다나리에 공생하는 새우나 크랩 그리고 Crinoid clingfish 를 촬영하기 원하는 사진가라면 알아 두면 좋은 것이 있다.

바다나리는 보통 움츠리고 있을 때가 많고 펼치고 있을때 라도 위협을 받으면 민감하게 반응하여 움츠려버린다.

이때는 조심스럽게 바다나리가 다리의 역할을 하는 부분사이로 탐침봉을 조심스럽게 넣어 몸통의 아랫부분을 어린아이 간지럼 태우듯 아주 살살 간지럼을 태우면 된다.

그러면 바다나리는 활짝 펼치게 된다.

이런 촬영을 할 때는 가이드나 버디가 바다나리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면 더욱 좋다.

바다나리는 장갑등에는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지만 사람의 손이나 탐침봉에는 달라 붙지 않는다.

바다나리가 날개를 활짝 펼쳤다면 손바닥이나 탐칭봉으로 조심스럽게 지긋이 누르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수 있다.

바다나리에 사는 생물들을 촬영하기 위해 바다나리를 완전 분해 해 버리는 일은 없어야 하겠다.

 

“생태를 알면 수중촬영도 쉬워진다”

 

수중사진촬영은 사진기술 뿐 아니라 생물의 생태에 관해서 많이 알아야 한다.

 

렘베로 촬영을 가는 한국다이버들이라면 꼭 수중생물의 생태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갔으면 한다.

수중사진을 하는 이유는 수중생물을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바다나리 속의 공생생물들을 촬영하기 위해 바다나리를 찢어 버려셔야 되겠는가?

 

<><><><><><><><><><><><><><><><><>

사진을 찍는 사람의 마음이 아름다웠으면 합니다.

늘 즐거운 사진 생활하시길 바랍니다.

<><><><><><><><><><><><><><><><><>

 

스쿠버넷

 

 

넓은 바다 속을 유람하는 스쿠버 다이버들이 많이 늘었다.

마니아층도 늘어났지만, 체험 다이버들이나 휴가를 이용해 가끔씩 스쿠버를 즐기는 다이버들도 부쩍 늘었다.

그런데 다이빙 활동의 평균 수명은 얼마나 될까?

처음 다이빙을 배운 후 과연 몇 년 동안이나 다이빙을 계속하게 될까?

주위 사람들을 보자면 보통 처음 1년은 새로운 마음으로, 이후 2년은 자발적으로, 다음 2년은 주변 상황에 이끌려 다이빙한다.

그러다 한 5년 정도 지나면 열의도 시들해 지고, 다이빙을 위한 절차나 준비가 귀찮아진다.

1~2순위에서 3순위 밖으로 스쿠버 다이빙이 밀리고 결국 어떤 일이 생기면 쉽게 포기하게 된다.

물론 언젠가 다시 다이빙할 생각으로 장비를 잘 보관해 두지만 창고에서 먼지만 쌓여 가게 된다.

 

 

그렇다면 다이빙을 시작한지 20년이 넘도록 내가 아직까지 열정적으로 다이빙을 계속할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일까?

바다를 사랑해서? 물 체질이라? 역마살이 껴서? 사람이 좋아서? 다 이유가 되기는 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닌 것 같았다.

내가 다이빙을 계속하는 것은 아직 물속에서 내가 할 일이 있어서, 즉 다이빙을 하는 목적이 그때 그때 분명했기 때문이다.

항상 다이빙이 좋았지만 다이빙에 입문한 초기에는 100회 다이빙을 달성하는 것이 1차적인 목표였다.

그 이후에는 강사가 되어 교육을 하고 좀 더 나은 다이빙 여건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가 되었다.

그러다 같이 다이빙하는 회원들의 사진을 찍어주면서 점점 나만의 수중사진 세계로 빠져들었다.

좋은 수중사진을 촬영하고 나만의 작품세계를 만들겠다는 목표가 아직도 나를 무거운 다이빙 장비와 카메라를 챙겨 바다로 가게 만든다.

결국 다이빙 교육과 수중사진이 내가 다이빙을 계속하게 만드는 원동력이었으며, 요즘은 수중사진을 찍기 위하여 바다를 찾는 빈도가 더욱 많아지고 있다.

 

 

몇 년 전에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와 하우징을 마련했다.

교육생을 데리고 다니면서 커다란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를 가지고 다이빙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파티마엔지니어링에서 출시한 캐논 G9용 하우징에 자그마한 스트로브를 장착하니 국내바다에서 촬영하기 적합한 셋업이 되었다.

BC D링에 걸거나 손목에 걸고 다니다 교육생의 기념사진이나 비디오를 촬영하고, 수중에서 만난 해양생물을 촬영하여 디브리핑에 활용하였다.

교육과 수중사진이 동시에 가능해진 것이다.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한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 중에는 작품성이 높은 것도 있어 지난 개인전에 활용하기도 했다.

두 마리의 토끼가 아니라 세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었다.

 

해외에서 만나는 다이버들은 부담스럽지 않은 자그마한 수중 카메라를 가지고 다니며 일행들과 기념사진을 찍거나, 수중에서 만난 생물을 기록하곤 한다.

특히 일본 다이버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두 명 중 한 명은 손목에 카메라를 걸고 유영한다.

그들은 수중사진을 그리 어려워하지 않고 다이빙하는 순간순간을 카메라에 기록하지만, 잡지에 소개되는 멋진 작품을 촬영하고자 하지는 않는다.

우리가 육상에서 휴대폰이나 콤팩트 카메라로 촬영하듯 수중에서 편안한 마음으로 즐거운 상황을 영상에 담는다.

그리고는 선상에서 카메라를 돌려보며 다이빙 이야기를 즐겁게 나누곤 한다.

또한 로그북을 쓰는 그들 곁에는 항상 카메라가 있어, 수중에서의 기억을 되새기게 해 준다.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와 하우징 세트를 마련하는 비용은 적지는 않다.

그러나 다이빙 장비나 투어비와 비교하면 비싸다고만 할 수는 없다.

적지 않은 비용으로 즐기는 다이빙에서 수중사진을 추가하면 즐거움과 효율성을 훨씬 더 높일 수 있다.

수중에서의 즐거운 추억을 사진으로 남길 수 있으며, 내가 본 수중생물을 기록하여 로그북을 풍성하게 만들 수 있으며, 같이 다이빙을 한 많은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

여행을 다녀 온 후 사진을 정리하면서 다시 한 번 여행을 되새겨본 경험이 있으리라.

 

 

 

전문적인 수중사진은 어렵다.그러나 콤팩트 디지털 사진은 그리 어렵지 않다.

카메라의 기초를 모르는 사람도 똑딱이 카메라나 휴대폰으로 사진을 잘 찍는다.

우리가 여행을 갈 때면 어떤 종류이든지 카메라 한 대는 꼭 챙긴다.

수중에서 자신의 몸을 어느 정도 가눌 수 있는 여유가 생긴 중급 다이버라면 수중여행을 할 때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를 챙겨보면 어떨까?

그러면 다이빙이 훨씬 풍요롭고 재미있을 것이며, 나아가 다이빙을 하는 새로운 동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스쿠버 세트보다 다이브 컴퓨터 구입을 먼저 권한다는 강사의 이야기가 설득력이 있었다.

그러나 나는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의 하우징 구입을 먼저 권하고 싶다.

시작은 어렵지 않다.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에 맞는 하우징만 마련하면 된다.

 

 

 

 

 

 

 

 

출   처: 스쿠버넷 

글쓴이:  정상근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교수

             BSAC Instructor Trainer,

             U/W Photography instructor

             http://redinblue.org

 

Sony-p150 (포타블사진기) 내장프래쉬 사용

 

수중에서는 태양 빛이 흡수되어 깊은 수심으로까지 들어 오질 않아서,

수심 10m 이상 이란다면 촛점을 맞추기도 어려울 정도로 어둡기 때문에 빛을 보충해 주지 않으면 안됩니다.

그래서 플래쉬나 보조라이트를 사용하여 촬영하여야 만이 원하는 칼라풀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플래쉬나 라이트를 비추고 사진을 찍고 나서 보면,

마치 함박눈이 내린 것 같이 하얀 점들이 찍혀 나오는 경우가 있읍니다.

 

이는 수중에는 수 많은 부유물들로  인해 백 스캐터(back-scatter) 현상이 나타난 경우라 할 수 있읍니다.
이 현상은 라이트가 피사체를 정면으로 비추게 되면 수중의 부유물이 그 빛을 받아 반사하게 되고,

이 반사된 빛이 카메라로 되돌아와 찍히게 되는 현상으로 

라이트의 거리가 렌즈와 가깝게 하여 찍을 경우 자주 일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카메라 중에 포타블 사진기(일명: 똑딱이)와 같이 카메라 내에 장착된 내장 플래쉬를 사용 할 경우,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포타블 하우징에도 외장프렛쉬를 장착하고 찍어야 하며,

이런 경우에 내장플렛쉬의 불빛을 막아주는 라이트 디퓨져가 장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물론 똑딱이라고 해도 피사체와 카메라 각도를 정면으로 오지 않게 하고 찍는 것도 기술입니다.

그리고 외장스트로브라고 해도 가능한 카메라와 멀리 장착해서 정면에서 보다는 측면에서 스트로브를 작동시켜야만,

백 스캐터 ( back-scatter ) 현상이 많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론!!!  엉터리 수중 이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