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틀란티스 대륙의 상상도
 

아틀란티스는 기원전 360년 전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이 언급한 곳으로,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수준 높은 문명, 풍요로움을 자랑하던 아틀란티스 대륙이 거대한 쓰나미에 의해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훼멸되었다고 주장했지만,

아직까지 사실로 확인되지는 않고 있는 전설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 비밀의 도시를 찾기 위해 전 세계의 연구자들이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아틀란티스와 관련된 학설과 주장은 20세기 들어서도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지난 2009년에는 구글 어스를 통해 카나리아 제도 서쪽 600마일 떨어진 곳에 아틀란티스가 존재한다는 루머가 돌기도 했다.


구글 어스로 추정한 아틀란티스 대륙의 위치

[사진=구글 어스 캡처]

 

그러나 2000년 넘게 베일에 가려진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의 실존 가능성을 놓고 새로운 발견 가능성이 제기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전설의 아틀란티스 대륙 상상도
 

미국 하트포드 대학의 리처드 프룬드(Richard Freund) 교수와 지질학자·고고학자들로 이뤄진 연구팀은 지난 13일 내셔널지오그래픽을 통해 '아틀란티스를 찾아서'(Finding Atlantis)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어  “과거에는 한 번도 공개된 적 없는 새로운 사실이 발견됐다”면서 아틀란티스 추정지역을 공개했다.

 

이 연구팀은 2009년과 2010년에 2009년부터 디지털 매핑, 위성 레이더, 심해연구 기술 등 다양한 장비와 기술을 동원해 수색한 결과 “잃어버린 전설의 대륙 아틀란티스가 스페인 남부 카디즈 북부의 도나나 국립공원 진흙 아래 묻혀 있다”고 주장했다.

 

 

플라톤은 아틀란티스가 약 9,000년 전 거대한 쓰나미에 의해 훼멸되었다고 지적한 적이 있다.

이에 대해 프룬드 교수는 “이것이 바로 쓰나미의 위력이다. 내륙 60마일(약 100km)까지 파괴했다는 것을 상상하기는 어렵지만 사실이 그렇다.”라고 했다.

 

프룬드에 따르면 지난 수백년간 이 지역에서는 쓰나미가 자주 발생했으며 1755년에는 10층 높이의 거대한 쓰나미가 스페인의 수도 리스본까지 침습한 적이 있다고 한다.

그는 또 당시 아틀란티스에 살았던 일부 주민들이 쓰나미를 피해 살아 남았고 유사한 ‘기념도시’를 건립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자신의 연구팀이 스페인 중부에 관련 유적을 발견했다고 한다.

이중에는 아틀란티스의 표지가 기록된 돌비석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이 주장하는 아틀란티스 유적지에 대한 발굴과 지질구조 연구를 통해 출토된 문물의 연대를 확정지을 계획이라고 한다.

 

그러나 2,600여 년 전 플라톤의 주장에서 부터 아틀란티스에 대한 모든 것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 다큐멘터리에 대해서,스페인 학자들은 믿을 만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면서,

이미 저명한 스페인 과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의 일부 조사결과를 오해한 것이라고 비판했는데,

아므튼 이 전설의 도시 발견 여부를 놓고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출처: zhengjian.or.kr/new/bbs/char_j/char_view.php?bbs=circum&seq... 

올린이:사람과환경

"낮 기온은 서울 22도, 광주 24도로 오늘보다 높아 포근하겠습니다.

바다의 물결은 서해 먼바다에서 2.5미터로 다소 높게 일겠고......"

 

뉴스에서 스포츠 뉴스 다음으로 가장 기다리고 반가운 시간입니다.

예쁜 기상캐스터분들도 보고, 옷차림에 대한 정보도 얻는....

바로 '오늘의 날씨'인데요.

 

 저는 이 날씨 예보를 들으면서 늘 궁금한 게 있었습니다.

바로 바다 날씨인데요.

육지의 날씨는 기온과 비가 오는지 여부만 알려 주는데요.

바다는 물결, 즉 파도의 높이까지 이야기를 해주더군요.

 

매일 이야기를 하니 바다에선 중요한가 봅니다.

궁금함은 또 못 참는 성격에 저희 방송국의 오현주 캐스터와 기상청에 물어 봤습니다.

 

파도가 왜 중요하지?

 

이젠 기상캐스터가 아무 것도 없는 블루 스크린 앞에서 말을 하고,

나머지는 CG로 처리된 다는 건 상식이지요^^

 

이 바다의 물결, 파도의 높이는 배의 출항과 관련이 있습니다.

파도가 높으면 선박이 전복될 수 있고, 파손의 위험도 크다고 합니다.

 

보통 날씨에선 물결의 높이가 3m부턴 높다고 이야기하는데요.

3m부터 작은 배(어선, 여객선)의 출항이 힘들어지지요.

3m를 초과하는 파도가 3시간 이상 예상될 때 풍랑주의보가 발효되는데,

이때부턴 거의 모든 배들의 출항이 금지 됩니다.

이런 뉴스 들어 보신적 있으시죠.

'풍랑주의보로 인천과 도서 지역을 잇는 12개 항로 가운데 9개 항로의 여객선 운항이 통제됐습니다.'

 

 

먼바다가 어디여?  

 

날씨 얘기를 하는 김에 한가지 궁금증을 더 풀어 볼까요?

기상캐스터가 이런 이야기도 하지요.

'서해 먼바다에선 4m, 동해 앞바다에선 3m로 높게 일겠습니다.'

 

먼바다, 앞바다 이건 또 어떻게 구분할까요?

서해남해40km를 기준으로 안쪽은 앞바다...

바깥쪽은 먼바다라고 하지요...^^

 

동해제주도20km를 기준으로

안쪽은 앞바다...

바깥쪽은 먼바다이고요...

 

 

아쉬운 점  

 

그런데 이렇게 앞바다와 먼바다를 명확히 구분해서 날씨를 전하는 방송국이 많지 않습니다.

유일하게 KBS만 CG처리를 해주고 있는데요.

 

어민들의 불만이 크다고 합니다.

먼바다의 파도가 높다고 해도 앞바다는 잔잔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낚시 선주들 같은 경우는 먼바다 예보만 보고 낚시꾼들이 안 오는 경우가 빈번해 기상청에 항의를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또 제주 같은 경우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날씨가 정반대인 경우가 많은데,

제주시의 날씨를 제주 전체의 날씨로 방송에 내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출처: cafe.daum.net/dogog19/6stV/176   글쓴이: 연리지(신영미) 

19살의 어린 나이와 빼어난 미모로 해녀에 데뷔하여,

일본은 물론 한국과 중국 네티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일본의 ‘미소녀 해녀’가 데뷔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일을 그만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그녀가 돌연 은퇴를 선언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본 주간지 프라이데이 최신호에 따르면,

‘미소녀 해녀’인 오무카이미사키(20)씨가 데뷔 1년을 채우지 못하고  지난 7월말 해녀에서 전격 은퇴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오무카이씨는 지난해 8월 이와테현 쿠지시에서 열린 ‘북쪽 끝 해녀 페스티벌’에서 신인 해녀로 데뷔한 뒤 NHK에 소개되면서 예쁜 외모 덕에 `미소녀 해녀`로 일약 스타로 뜨거운 관심을 받아 왔다.

 

일본 네티즌들은 특히 그녀가 아름다운 외모 뿐만 아니라 전통을 지키려는 착한 마음씨를 가졌다며 환호했다.

 

그러나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그녀는 “여기저기서 (내가) 컨디션이 나빠 일을 나오지 않는다고 하는데, 난 거짓말은 싫다. 컨디션 불량이 아니라 아예 해녀일을 그만 둔 것”이라고 밝혔다.


프라이데이는 이번 은퇴가 지나치게 높아진 인기에 따른 스트레스와 관광수입 배분 문제 등이 그녀를 괴롭혀 온 것으로 알리고 있는데,

그것보다도 가장 큰 이유는 선배 해녀들과 갈등을 이기지 못한 것 이라고 한다.

그녀의 말에 의하면 “선배 해녀들이 관광객을 대하는 태도에 문제가 있었다.

이를 몇 번이나 고쳐달라고 부탁했지만,

받아 들여지지 않아 지난달 27일 그만두었다”고 말했다.

 

오무카이씨는 지난해 8월 자신과 함께 해녀에 데뷔한 친구 2명도 함께 그만뒀다고 전했다.

[http://news.mk.co.kr/  mk 뉴스속보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