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는 겨울철에 최고의 맛을 내는 대표적인 붉은살 어류로 일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생선횟감이다.

자연산 보다 양식산이...,

그리고 등살보다는 뱃살 쪽이 지방질 함량이 높다.

 

특히 기능성 물질 DHA(1,784mg%)와 EPA(1,165mg%), 타우린(672mg%) 함량이 많아 혈액중의 중성지질과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반대로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켜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의 순환기 계통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많다.

 

대부분의 어종들이 일정 크기를 넘으면 맛과 향기가 떨어지므로 중간 크기를 최고로 치는 것이 보통이지만,

방어와 삼치는 크면 클수록 영양소가 많아지고 맛이 좋아지는 어종이다.

그리고 초밥 원료로 사용할 경우 참치에 필적하는 맛을 지니고 있다.


일본에서는 방어를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이처럼 크기에 따라 다른 이름이 붙는 어종을 출세했다는 의미를 부여,

출세어(出世魚)라 부른다.

 

일본 관동지방과 관서지방에서는 체장을 기준으로

15cm 전후를 와카시(わかし)와 츠바스(つばす),

40cm 전후를 이나다(いなた)와 하마치(はまち),

60cm 전후를 와라사(わらさ)와 메지로(めじろ)로 각각 달리 부른다.

하지만 80cm 전후는 부리(ぶり)라는 이름을 쓴다.

 

방어는 크기 및 지방에 따라 20가지 이상 다른 이름을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세어란 용어는 방어 외에도 전어 농어 참돔 숭어 참다랑어 등에도 쓰인다.

방어는 한문으로 사주(師走)라고 쓴다.

일본말로는 부리(ぶり)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방어를 히라스라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히라스는 방어와 비슷한 부시리(히라마사)의 사투리다.


음식맛은 인간이 갖고 있는 오감(五感)을 통해 결정된다.

이 중 텍스처(texture)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물론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맛의 50% 이상이 텍스처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텍스처란 음식을 입에 넣었을 때 단단함, 탄력성, 씹힘, 짙은 맛, 미끄러운 맛의 종합적인 자극이다.

그런데 참치, 가다랑어, 방어 등 붉은살 생선회는 육질이 연해 텍스쳐가 떨어진다.

따라서 얇게 썰면 충분히 씹었다는 촉감을 느끼기 이전에 끊어져 버리므로 씹힘을 강조해 회 맛을 좋게 느끼도록 하기 위해 두껍게 써는 것이다.

 

~~~~~~~~~~~~~~~~~~~~~~~~~~~~~~~~~~~~~~~~~~~~


△방어
방어(부리)는 전갱이과로 자연산과 양식산이 형태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다.

자연산은 양식산보다 꼬리 곡선이 날카롭고 육색이 핑크빛이다.

방어는 겨울철에 최고의 맛을 내는 생선이며,대표적인 붉은살 어류의 하나로 지방질 함량이 높다.


△부시리
부시리(히라마사)는 열대성으로 스마트한 체형을 하고 있다.

잿방어와 같이 큰 것도 있지만 1m 전후의 것이 많다.

방어보다 혈합육이 적고 육질이 단단하며,몸통에 있는 황색줄이 방어보다 진하다.

방어가 가장 맛있는 제철은 겨울이지만 부시리는 여름철이 가장 맛있다.

일본관서지방에서는 히라스라고 부른다.


△잿방어
잿방어(간파치)도 열대성이지만 부시리와 방어의 중간인 가을철에 가장 맛이 좋다.

체형은 방어와 비슷하나 체색은 방어보다 황색이 진하고 차색(茶色)을 띠므로 체색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방어는 대형이라도 1m 정도에 불과하지만 잿방어는 2m가 되는 것도 있다.

그러나 큰 것은 맛이 떨어지며,80cm(4~5kg) 정도가 가장 맛이 좋다.

산란 후에는 풋 냄새와 같은 악취를 낸다.

우리 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생선 횟감은 넙치(광어)와 조피볼락(우럭)이지만 일본인들은 우리와 달리 참돔을 비롯,방어와 참치를 좋아한다.

일본의 경우 옛날에는 방어 양식을 많이 했으나 최근에는 잿방어 양식을 주로 하고 있다.


 

<趙永濟 부경대교수. 생선회협회 이사장>

'물안 내시경 > ┃ 물안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어 이야기  (0) 2011.10.02
어느 스쿠버 다이버의 회 이야기  (0) 2011.09.28
상어의 사냥방법 및 상식  (0) 2011.01.18
[스크랩] 다슬기의 효능  (0) 2011.01.07
참치의 해동법  (0) 2010.03.23

태국의 다이빙 명소가 산호 보호를 위해 폐쇄된다.

 

태국 국립공원과 야생 동식물 보호국은 다이빙 지역에서 80% 정도의 산호가 탈색되거나,흰색으로 변해가고 있어 18개 지역에 대해 향후 14개월 동안 다이빙을 폐쇄키로 했다.
태국 산호가 이처럼 백화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으며,
태국 남부의 곳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잠정 폐쇄되는 지역은 뜨랑의 핫 차오 마이 국립공원을 비롯해서 크라비의 피피 국립공원, 팡아의 시밀란 국립공원 등 익히 알려져 있는 곳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와 함께 관련지역의 해상 국립공원도 몬순시즌에는 문을 닫을 예정이다.

 

상어의 사냥방법


상어가 먹이감을 사냥할때 사용되는 상어의 각 신체기관


a.
청각으로 먹이의 대략적 위치를 파악한다.

    (일부 상어는 1km이상이나 떨어진 거리의 소리도 들을수 있다고 한다.)
b. 후각으로 수백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먹이 위치 파악.

   (상어의 후각은 매우 민감해서 1백만분의 1로 희석한 피 한방울도 감지 할 정도다.)
c. 100m까지 접근하면 옆줄(측선)로 먹이의 움직임과 진동을 감지한다.

d. 10m이내 눈을 사용하여 먹잇감의 크기 등을 파악한다.
e. 2m이내에선 로렌치니기관을 이용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공격한다.

 ※ 옆줄이란 무엇일까? 

상어의 몸 옆에는 옆줄이란 액체가 들어있는 관이 있는데,

안쪽엔 외부의 자극을 감지하는 세포가 있어 부근에 있는 먹이가 일으키는 작은 움직임과 진동을 감지하거나 몸의 균형 유지하는데 이용된다.

상어가 물이 탁해서 보이지 않거나 소리를 내지 않는 먹이를 찾아내기 위해서 사용한다.


이게 상어의 사냥방법인데,

특별히 어둡거나 물이 탁하지 않으면 상어 역시 눈을 이용한다.

상어의 눈은 구조상으론 기본적으로 인간과 같으며 사람보다 색을 희미하게 구분하지만 상어의 눈은 빛의 세기나 움직임엔 매우 민감한 편이라 꽤 유용하다고 할수 있다.

즉, 상어의 눈이 나쁜건 아니다.

다만 문제가 되는건 상어의 눈이 아무리 좋다고 해도 바닷물에선 중요한 감지기관이 되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바닷물이 탁한 곳도 있고, 깊은곳은 어둡기 때문에 시력이 좋든 나쁘든 별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상어는 후각이나 청각, 진동감지 등에 승부수를 걸어야 하는 것이다.


※상어의 청각은 얼마나 유용할까?

- 물속에선 소리가 더욱 빨리 나아가므로 물속에서 청각은 매우 유용한 기관이다.

그러기에 돌고래 역시 초음파를 이용한다.

그러나 상어는 초음파를 이용하진 않는다.

다만 먹이가 멀리서 파닥거리는 소리나 첨벙첨벙하는 소리를 듣고 먹이의 대략적 위치를 파악하고 찾아나서는 것이다.

물론 상어는 피 냄새를 맡고 먹이를 파악하는데 후각으로 감지되는 거리보다 먼 거리는 청각을 이용한다.

그러니 바다에서 상어를 피하고 싶다면 잡음을 내지를 말라.

그리고 상어를 만나더라도 겁먹지 말고 침착하라.

상어는 당신의 뛰는 심장소리를 듣고 먹이로 알지도 모른다.


 

2.상어 주위에 건전지를 가져다 놓으면 큰 동물이 나타난줄 알아 도망친다?

- 상어는 로렌치니기관이라는 미세한 전류도 감지하는 기관이 있어서 어두운 물속이나 모래 속에 숨은 먹이도 찾아내는 신기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바로 이것때문에 상어가 건전지를 넣으면 기겁하여 도망치는 것이다.

살아있는 동물들은 자신도 모르게 주위에 자장을 만들어낸다고 한다. 상어의 로렌치니 기관은 이 미약한 자장을 감지해내어 먹이를 먹는데, 만약 큰 전류를 내는 건전지가 나타난다고 생각해보아라. 그건 상어에겐 엄청난 놀라움이 되는 것이다.

이해를 위해 예를 들자면

한 클래식을 듣는 사람의 주위로 전쟁 중에 대포알이 날라가 터졌다고 생각하자 그 폭음에 의해 그 사람이 놀라는 건 당연한 것이다.

상어가 건전지를 넣으면 도망가는 건 큰 동물이 나타난걸로 착각하는건 아니다. 큰 동물이라고 해도 상어에겐 큰 전류를 발하고 그러는건 아니기 때문이다. 로렌치니기관은 먹이 크기를 감지하는 기관이 아닌 먹이의 위치 파악용이다.
(이것은 한국방송(KBS) 프로그램 "스펀지"에 나온 바 있음)


3.상어는 색을 구분하지 못한다?

- 과거엔 색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아니다.

실제 상어에게 습격당한 사람들의 경우 검정 계통의 어두운 옷일 경우 더 공격당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건 잠수복이 어두운게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상어는 색을 구분하지 못하는 걸까?

그건 아니다.

외국의 한 실험 결과에 따르자면 그렇지 않은 것이다.

그 실험은 어린이 모형 3개에다가 각각 노랑,빨강,검정색의 조끼를 입힌후 상어가 어느쪽을 많이 공격하는가에 대한 실험이었는데 청새리상어의 경우는 노랑을 가장 많이 공격하고, 그다음 빨강,검정 순이었다.

한편, 청상아리는 노랑만 공격했다고 한다.

즉 상어는 색을 구분하며, 밝은색을 상당히 선호한다는 것도 알수 있다.

실제 상어에 대한 안전 수칙 중에는 피부색과 대조되는 수영복을 입지 않는게 좋다고 하는데,

흑인은 피부색에 어울리게 어두운색으로 백인은 밝은색 계통으로 입는게 좋다고 한다.


4.상어는 큰 물체를 두려워 한다?


- 다수는 그럴거라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말하긴 어렵다.

일부 크고 힘센 상어들은 자신의 몸보다 큰 보트나 배를 공격하는 걸로 유명하다.

또 상어가 사냥하는 먹이의 크기도 보면 상어 중에는 자신보다 큰 먹이나 엇비슷한 크기의 먹이를 먹는 녀석들이 많다.

그러니 크기가 상어에게 두려움을 가져다주는건 아니라고 할수 있다.

건전지를 가지고 큰 물체를 두려워한다고 하는 일부가 있는데 그건 잘못된 이야기다.

왜냐면 상어의 로렌치니기관은 매우 미약한 전류를 감지하는데 여기다 큰 전류를 넣으면 깜짝 놀라 도망치는건 당연한 이치다.

현존하는 가장 큰 동물인 흰긴수염고래라고 해서 주위에 자장을 크게 형성할진 몰라도 이 역시 미약하다.

물론 상어가 큰 동물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건 아니지만 두려원한다고 하는건 과학적으로 밝혀진바가 아니다.

※로렌치니기관이란 무엇일까?

- 상어의 머리 앞쪽에 수백개의 구멍으로 구성된 것인데,

17c 해부학자인 로렌치니가 발견한 것이라 그의 이름을 따서 로렌치니기관이라고 한다.

이 기관은 물의 흐름과 지구의 자기를 감지해서 장거리 여행에도 이용되지만,

먹이를 사냥할때 먹이의 위치 파악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

이 기관은 자장의 유무와 자력선의 방향을 알수있는 감각세포로 되어 있는데 살아있는 동물은 주위에 자장을 만드므로 상어는 눈과 코에 의존하지 않고도 가까이에 숨어 있는 먹이를 정확하게 공격한다.

다만 동물들이 만드는 자장은 크기를 막론하고 미세하므로 2m이내 가까운 거리에서나 사용한다.

이 기관 덕에 상어는 어두운 바다나 모래 속에 숨은 먹이를 찾아낼수 있으며,

이 기관은 1억분의 1볼트의 아주 미세한 전류도 감지해 낼 수 있다

 

글쓴이: ttttttyoung2 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