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의 귀를 본 적이 있으신가요?

있으시다고요?

에이~ 거짓말!

 

물고기는 외관상 보이는 귀를 가지고 있지 않거든요.

그렇다면 물고기는 과연 어떻게 소리를 들을까,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답은 바로 물고기의 비늘에 있답니다.

대부분의 물고기는 비늘을 통해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지요. 

뿐만 아니라 비늘은 외부의 병균이나 온도변화 등으로부터 물고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늘이 없는 메기나 장어는 미끈미끈한 피부의 점액질이 비늘의 역할을 대신하지요.

 

 

물고기의 피부는 바깥층의 표피와 안층의 진피로 나누어집니다.

비늘은 진피 안에 있는 피부! 각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투명한 것이 특징이지요.

 

물고기는 성장과 함께 비늘 역시 자라납니다.

여름에는 먹이가 많기 때문에 비늘이 많이 자라고, 겨울에는 비늘이 덜 자라기 때문에 비늘 표면에 그루터기와 같은 둥근테가 생기지요.

여기서 생긴 비늘의 또 다른 놀라운 기능!

바로 물고기의 나이를 측정할 수 있게 해준 답니다.

나무의 나이테에서 나이를 측정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인 셈이죠,,,

 

또한 비늘은 결코 소금에 절여지지 않습니다.

염분으로부터 물고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죠.

물고기를 소금에 절일 때 비늘을 벗기지 않으면 잘 절여지지 않는 것에는 이런 이유가 숨어 있답니다.

강물에 사는 물고기의 경우,

물고기의 비늘은 오염된 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네요.

 

뿐만 아니라 물고기의 비늘은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몸속의 물이 밖으로 새나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도 합니다.

 

복어처럼 비늘이 바늘처럼 변해 적에게 겁을 주는 용도로 사용되는 물고기도 있고,

비늘로 먹이를 유인하는 물고기도 있지요.

소리뿐 아니라 외부환경으로부터 물고기를 보호하는 비늘의 역할.

 

놀랍지 않으신가요?

물고기의 비늘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다들 아시겠죠?

 

가져온 곳 : 해양경찰의 바다이야기  글쓴이 : 바다지킴이| 원글보기

 

홍어목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

 한자어로는 분어(擥魚)·가불어(加不魚)·가올어(加兀魚)·가화어(加火魚) 등으로 표기하였다.

**************************************

 

 

'앗싸! 가오리'

왜 하필 가오리일까?

 

살다보면 가끔 예상치 못한 행운이나 기분 좋은 일을 겪기도 한다.

이럴 때 내뱉는 흔한 언어 중의 하나가 바로 '앗싸! 가오리'이다.

하고 많은 물고기 중에 왜 하필이면 가오리일까?

 

주낙이라는 어구가 있다.

한 가닥의 긴 줄(모릿줄)에 여러 개의 낚시를 매달아 이를 물속에 드리웠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차례로 들어 올려 낚는 방법을 말한다.

가오리는 주낙으로 잡는데 미끼도 없어 수백 개의 낚시 바늘을 깔아 바닥 생활을 하는 가오리를 걸어 잡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십 마리를 한꺼번에 잡는 것이 아니므로 수차례 이런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더군다나 우리나라에서는 가오리가 그다지 잘 잡히지 않는 어획권에 속해 한번 출어하면 망망대해에서 사나흘을 조업을 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가뭄에 콩 나듯' 드문드문 올라오는 가오리가 어부들은 '가뭄에 단비를 만난 듯' 오죽 기쁘고 반가웠을까?

때문에 유유히 바닥을 유영하던 가오리의 날개가 누워있는 낚시에 철커덩 걸리면 어부들은 저도 모르는사이에 '앗싸!' 라는 감탄사에 '가오리'를 붙여 '앗싸! 가오리' 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낸 것이라 한다.

 

망망대해에서 가오리를 만나 기뻐하는 어부들의 모습을 그려 보자.

얼마나 즐거운 일일까.

자 우리 모두 외쳐 보자. '

앗싸! 가오리'

 

출처: http://blog.daum.net/maf2006

사진·편집 : 농림수산식품부 홍보담당관실 고성혁

자료제공 :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안전연구팀,  어원자원팀 황학진박사

딱딱한 껍질 가진 ‘게’도 고통 느낄까?

 


갑각류인 게(Crab)도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영국 퀸즈 대학의 밥 엘우드(Bob Elwood)박사 연구팀이 소라게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고통을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기억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빈 소라 껍데기를 집으로 삼는 소라게에게 전기 충격을 가한 결과 게들은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며 황급히 집을 떠나는 현상을 보였다.

이에 반해 어떤 자극도 가하지 않은 소라게들은 자신의 소라 껍데기 집에 그대로 머물러 있었다.

또 약한 전기 충격을 가한 뒤 새 소라 껍데기를 제공하자 충격을 경험한 소라게들은 새 집으로 이동하는 반응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게들이 고통을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반사적으로 기억하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준다.

 

엘우드 박사는 “게를 포함한 바다가재, 새우 등 갑각류가 고통을 느끼는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면서 “그러나 이번 실험을 통해 이들 동물이 자극을 받으면 통증을 느끼며 이를 기억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소라게들이 양질의 소라껍데기를 찾는 것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자극을 피하기 위한 것임을 추가로 밝혀냈다.”면서 “게들에게서 자신의 소중한 집을 버리고 다른 집으로 이동하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하나의 목표를 위해 다른 하나를 희생시키는 것)현상이 발견되기는 처음”이라고 덧붙였다.

엘우드 박사는 동물행동 저널(Journal of Animal Behavior)을 통해 “수 백 만의 갑각류 동물들이 매일 식탁위로 올라오지만 그들을 고통으로부터 구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적다.”며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실을 간과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한편 게와 함께 갑각류에 속하며 뇌가 없는 바다가재도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사진=BBC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 기자 huimin@seoul.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