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환하는 물고기는 대략 두가지 패턴이 있다.

 

첫 번째는 성장하면서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하는 것인데,

 

이러한 이유는 진화의 비밀이 숨어있다.

수중동물에 있어 수컷은 크기가 작아도 수십억개의 정자를 생산할 수 있지만,

암컷의 경우 상대적으로 생식세포가 크기 때문에 더 큰 몸이 더 많은 난자 생산에 유리하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나 크기에서 성을 전환하는 개체는 수컷이나 암컷으로 계속 남아 있는 개체보다 더 많은 자손을 남길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굴이나 돌조개(영국 남동부에 사는 조개)는 성장하면서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을 한다.

 

 

두 번째는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하는 것

 

이러한 패턴의 물고기들은 주로 하렘을 형성하여 번식하는 종류의 물고기들이다.

양놀래깃과(우리나에도 있음), 그루퍼(농어과의 물고기), 비늘돔(비늘돔과의 물고기), 에인젤피시(관상용 열대어) 등이 좋은 예이다.

 

 

이러한 종류의 젊은 수컷들은 강력한 할렘 소유자(수컷)와 경쟁해서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후손을 남길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오히려 암컷으로 남아 적은 양이나마 후손을 남기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강력한 할렘 소유자(수컷)가 죽었을 때는 상황이 다르다.

암컷들 중 가장 덩치가 크고 호전적인 녀석이 재빨리 수컷으로 성전환을 해서 그 할렘을 지배하는 것이다.

 

 

수컷으로 성전환하면서 얻는 이익은 단 한가지,

 

암컷일때 보다 더 많은 후손을 남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진화적으로 매우 유리한 성전환 패턴은 왜 해양생물 에게서만 나타날까?

 

그건 물이라는 매개가 있어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에서 나와 뭍에서 생활한다는 것은 생식 활동시 생식세포의 건조를 막기 위해 물에서보다 훨씬 더 복잡한 방식으로 알을 감싸야 하기 때문에 암컷은 해부학적으로 더 여성적이 되어야 했다.

그래서 알에 방수껍질을 마련해 주기 위한 특수한 도관과 부비선을 갖추게 되었고,

결국 자궁으로 진화시켰다.

뭍에 오른 생명체는 결국 건널 수 없는 다리를 만들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참고서적 : 존 스파크스 `동물의 사생화`

 

친숙한 수산생물이지만 듣고 나면 무릎을 칠 유래를 가진 이름도 적지 않다.


▷고래 용왕 아들 포뢰가 무서워 소리 질러 두드릴 ‘고’에 포뢰 ‘뢰’ 붙여 고뢰(→고래)
 
Untitled-5 copy.jpg고래와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다의 고래는 뿌리가 같다.

중국 명나라 때 호승지가 쓴 책 <진주선>에 이런 얘기가 나온다.

용왕의 셋째 아들로 포뢰가 있었는데, 겁이 많아 고래를 보면 놀라 큰 소리로 울부짖었다.

용의 아들 포뢰를 공포에 떨게 만드는 무시무시한 동물이란 뜻에서 두드릴 ’고’(叩)에 포뢰의 ’뢰’(牢)를 붙여 ‘고뢰’라 불렀다.
 
‘고뢰’의 자취는 종각에 남아 있다.

종을 매다는 곳에 용의 아들인 포뢰를 조각해 놓고 고래를 조각한 당목으로 친다. 

고래에 놀란 포뢰가 종소리를 크게 울려퍼지게 하라는 의도다.

 
▷참치 1957년 우리나라의 첫 원양어선인 지남호가 인도양에서 크고 맛좋은 시커먼 생선을 처음으로 잡아 왔다.

일본에서 검다고 해서 마구로(眞黑)라고 부르는 물고기였다.

참 진(眞) 자에 물고기 치를 붙여 참치가 탄생했다.

현재 참지는 다랑어와 새치류를 통칭하는 말이다.


 
▷장어 장어도 참치처럼 하나의 종을 가리키지 않는다.

네 가지 장어 가운데 먹장어는 흔히 곰장어 또는 꼼장어라고 부른다.

가죽을 벗겨내도 한동안 살아있고, 불판에서도 꼼지락거려 스태미나식으로 인기가 높지만,

서구에서는 사체에 몰려드는 징그러운 모습을 떠올려 먹지 않는다.

사실 곰장어는 장어도 아니고 아예 물고기도 아닌 턱뼈 없는 원구류에 속한다.

먹장어란 이름은 눈이 퇴화해 눈이 먼 장어라는 뜻이다.


옆구리에 수십개의 옆줄구멍이 나란히 있는 모습이 특징인 붕장어는 속칭 아나고로 불린다.

아나고(穴子)란 구멍에 산다는 뜻으로, 모래속에 숨는 습성에서 온 이름이다.


갯장어는 붕장어 비슷하지만 주둥이가 길고 뾰족하며 이빨이 날카롭다.

바다에서만 살아 ’개’ 자가 붙었다.

 

뱀장어는 장어 가운데 유일하게 바다와 강을 오가 민물장어로 불린다.
 
Untitled-62 copy 2.jpg

▷꽁치 아가미 근처에 침을 놓은 듯한 구멍이 나 있어 공(空)치로 불린데서 유래했다.
 
▷복어 위협을 느끼면 배를 부풀리는 습성이 있어 배 복(腹)과 관련이 있다.

<본초강목>에서는 고대 중국의 미인 서시의 젖가슴처럼 부드럽고 희다며 서시유(西施乳)라 했다.
 
▷상어 한자 문화권에서 쓰는 사어(沙魚)에서 유래했다.

피부가 모래(沙)처럼 거친데서 온 이름이다.

상어 피부에 난 미세한 돌기는 거칠어 사포 대용으로 쓰기도 했다.
 
▷이면수어 서유구의 <임원경제지>는 관북(함북) 지방에 살던 임연수라는 어부가 수심 100~200m 바닥에 사는 물고기를 잘 잡았는데,

이 생선을 임연수어라 불렀다.
 
▷갈치 몸이 칼처럼 생겨 칼치로 불렸다.

서양에선 꼬리를 보고 머리카락 고기라고 한다.
 
▷미역 고구려에서는 물에서 나는 여뀌를 닮았다 해 매역(물여뀌)이라 불렀다고 <삼국사기>에 나와 있다.

중국 고문헌엔 고래가 새끼를 낳고 상처 아물기 위해 미역을 뜯어먹는 것을 보고 고려 사람들이 산모에게 미역을 먹였다는 기록 있다.
 
▷피조개 꼬막류는 조개류 가운데 유일하게 혈액속에 헤모글로빈이 있어 피가 붉은색이다.

꼬막류 가운데 큰 피조개에서 피가 두드러지게 보인다.
 
▷바지락 바지락은 깊이 20㎝ 안팎의 얕은 개흙 속에 살고 번식력 좋아 흔했다.

개펄에서 이 조개가 ‘바지락 바지락’ 소리를 내며 밟힌 데서 유래했다.
 
▷백합 조개껍데기 무늬가 100가지나 될 정도로 다양하다 해서 붙은 이름이다.
 
▷오징어 중국에서 먹물을 내 ‘까마귀 고기’(烏賊魚)로 불린 데서 유래했다.

 

 

출처: 미련없이 뒤돌아  글쓴이: 샤이 트리니티

자동차나 배에 오르면 머리가 아프기 시작하고 속이 울렁거리는 분들.

애써 눈을 감고 잠을 청하려 하지만 하늘은 뱅뱅, 속은 미식미식 거리곤 하지요.

이쯤 되면 떠오르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멀미입니다.


'지긋지긋한' 멀미는 균형감각 이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자신이 기대하는 움직임과 다른 움직임을 경험하게 되면,

우리의 신경계는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 증상이 멀미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죠.

운전을 하면 멀미를 덜 하는 분들 계시죠?

바로 이런 원리가 숨어있다고 하네요.

자신이 어디로 갈지를 예측하기 때문에 신경계가 미리 준비해 멀미 증상을 덜어주는 것입니다.

 

자. 본론으로 들어가서,

그렇다면 물고기도 멀미를 할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YES'입니다.

수면에 비해 물속은 매우 잔잔하기 때문에 빈번하진 않지만,

생각지 못한 해류에 휩쓸리거나 거친 물결이 일면, 물고기들 역시 '지긋지긋한' 멀미를 한다고 합니다.

갑작스런 해류로 멀미가 느껴지면, 물고기들은 더 깊고, 잔잔한 바닷속으로 들어갑니다.

바위틈으로 몸을 피하기도 하지요.

최근엔 물고기를 직접 비행기와 유사한 기구에 태워 멀미실험을 실행하기도 했습니다.

그 결과 몇몇 물고기들은 눈의 초점을 잃고, 균형감각을 상실해, 제자리를 뱅글뱅글 돌았다고 하네요.

살기 위해선 절대 물속을 떠날 수 없는 물고기들의 멀미는 더욱 괴로울 것 같습니다.

 

물고기들의 이런 속성을 고려해,

물고기를 장시간 옮길 때에는 하루나 이틀정도 먹이를 주지 않기도 합니다.

멀미하는 물고기들이 물속에 먹은 것을 게워낼 경우, 물이 더러워져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죠.

실제 이런 고려를 하지 않고, 장시간 물고기를 운반하다가 물고기가 다 죽어버린 사례도 있답니다.

물고기도 멀미를 한다는 사실.

이젠 확실히 아시겠죠?

혹시나 집에 있는 금붕어를 장시간 이동시킬 일이 있다면,

하루나 이틀정도 먹이를 주지 말아야 하고,

운반할 때 최대한 흔들림을 줄여야 한다는 것.

꼭 기억해야겠습니다.

 

가져온 곳: 해양경찰의 바다이야기 글쓴이 : 바다지킴이| 원글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