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팔 오징어

지난 2월 28일 새벽4시 경에 경북 영덕군 강구앞바다 동방 1.5마일에 설치된 정치망(대부망)에서 희귀한 오징어가 산채로 잡힌 채 발견되었다. 
강구수협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발견 당시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으며, 
발견자인 이상태(39세)씨는 이를 궁금히 여겨 독도수산연구센터에 연구 자료로 보내왔다. 

 이 오징어를 동정한 결과, 
놀랍게도 그 오징어는 2013년에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종과 같은 종으로써 
긴팔오징어(Chiroteuthis picteti)라는 새로운 이름이 지어졌던 종이였다.
(강등, 한국패류학회) 

이 종이 처음 발견된 때는 2013년 5월 18일로써, 
부산 송정 주변해역의 갯바위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번에는 동해 바다에서 산채로 어구에 어획 된 채 발견되었다. 
그 외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연구자료로 보내온 깨끗한 상태의 긴팔오징어,스트레스 때문에 먹물을 내뿜은 상태


▲ 긴팔오징어 전체 모습 

   지느러미 길이가 몸통의 약50%를 차지하고 있음


 

▲ 긴팔오징어의 팔을 펼쳐 놓은 상태


4 쌍의 팔은 각각 길이와 두께가 차이가 나고, 

특히 네 번째 팔은 유난히 크고 끝부분이 주걱칼모양을 하고 있다. 

촉수는 오른쪽과 왼쪽의 길이가 현저히 차이가 난다. 

일반적으로 오징어 몸통 위에 있는 부분을 머리라고 부르고 있고, 다리는 10개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머리라고 부르는 부분은 지느러미(Fin)이며, 다리라고 부르는 부분은 팔(Arm)이며, 4쌍의 팔과 1쌍의 촉수를 지녔다고 말해야 한다.


▲ 긴팔오징어를 뒤집어서 지느러미를 확인하니,

윗부분에 엷게(?)흔적적인 지느러미가 보이고, 그 밑에 지느러미가 둥근형의 모양으로 있다.


▲ 촉수가 너무 길어 실을 이용하여 길이를 재었고,

   가장 긴 촉수의 길이는 136cm이고,(몸통길이의 5배)

   작은 촉수는 88cm로 오른쪽과 왼쪽의 길이 차이가 났다.


동정 결과, 
이종은 긴팔오징어과로써 일본에서 유령오징어(ユウレイイカ, 幽霊)로 불리것과 같은 종이였으며, 
일반적으로 중형크기의 심해성 오징어이며, 
태평양과 인도양에 널리 분포하는데, 
국내에서는 발견이 어려운 희귀한 종이였다. 

 첫 조사는 외형적 관찰을 통해 종 만을 밝혀내었으나, 
앞으로 더 자세한 연구를 통해 더 많은 궁금증을 풀어 갈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몸길이 16m, 몸무게 45톤의 거대한 몸집.

은행잎 모양의 지느러미 한번 내리치면

온 바다가 출렁였다는 고래.

해안 바위 사이에 머리를 세우고 있다가

사람이 다가가면 귀신같이 사라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귀신고래.

 

   

 

 

 

귀신고래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도 새겨져 있을 정도로

옛날 우리나라 동해에서 아주 흔하게 볼 수 있었답니다.

 

그런데,

1800년대 일본과 러시아의 포경선이 귀신고래를 마구잡이로

1700마리 정도 잡으면서 그 수가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당시 우리나라에 귀신고래 수가 약 2천 마리 정도였다니.

얼마나 많은 귀신고래가 희생됐는지 짐작이 되시죠?

 

특히, 영화 인디아나 존스의 모델로 알려져 있는 미국인 박물학자

앤드루스가 1912년 한국에 왔다가 귀신고래를 발견하고

학계에 최초로 보고하면서 한국계 귀신고래라는 이름을 얻었는데요.

 

그의 기록을 보면 1911년~1964년 우리나라와 사할린 연안에서 1,338마리가

포획됐다고 합니다. 하지만 1964년 5마리를 포획한 이후 포획 기록이 없어

1972년 멸종한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습니다.

 

정부는 1962년 귀신고래 보호를 위해 강원도부터 경남을 잇는 동해안 일대의 귀신고래 회유경로를 천연기념물 제 126호로 지정했지만,

인간들이 만들어내는 소음과 오염에 살 곳을 잃은

귀신고래는 결국, 동해를 떠난 뒤 되돌아오지 않고 있습니다.

 

 

 

고래연구소에서는 우연히 그물에 걸려 잡히거나 혹은 죽은 귀신고래를 발견해 신고하면 천만 원을, 귀신고래가 유영하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 고래연구소에 제공하면 500만원의 지급하는 포상금 이벤트를 벌이고 있습니다.

 

자, 그럼 이쯤에서 현상금이 붙은 귀신고래의 외모를 공개합니다.

 

 

 

 

 

먼저 집채만 한 몸집에 몸에는

따개비 같은 조개를 잔뜩 붙이고 다닙니다.

몸의 1/3을 차지하는 큰 머리는 매우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주둥이가 뾰족한데요.

주로 바다 갯벌 속에 사는 작은 생물 (단각류)들을 먹고 살기 때문에

갯벌을 걸러내기 쉽게 주둥이가 뾰족하게 나와 있죠.

 

자식사랑이 유별나 새끼를 데리고 혹은 등에 업고 다니는데,

이건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 잘 남아 있습니다.

 

이젠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만나볼 수 없는 귀신고래.

그런데 이 귀신고래를 울산시 곳곳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그곳이 어딘고 하니~

 

 

 

 

먼저, 고래박물관 앞입니다.

박물관 앞을 지키고 있는 귀신고래 실물크기 모형입니다.

집채만 한 몸집이라는 표현이 딱 맞죠?

 

 

 

여기는 고래 생태체험관 앞인데요.

여기에도 귀신고래 석상이 귀신고래의 전설을 들려주는 듯 하네요.

 

 

 

심지어 자동차 부품공장 벽면에도

떡 하니 귀신고래가 헤엄을 치고 있네요.

 

이밖에도 울산시 거리 곳곳에서 귀신고래의 모습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한국계귀신고래라는 이름처럼 우리나라와 각별한 인연을 맺고 있는 귀신고래를 어서 빨리 우리 연안에서 만나볼 수 있길 간절히 희망해봅니다. 그러기 위해선 귀신고래가 살수 있는 소음 없고 오염 없는 쾌적한 해양 환경을 먼저 만들어나가야겠죠?

 

출처: http://blog.daum.net/sciensea/59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