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수십 밀리볼트의 극소량이지만...

모든 살아있는 동식물은 전기를 생산한다는데,

이는 생물 세포의 안쪽은 음전하의 농도가 높고 바깥쪽은 양전하의 농도가 높은데,

이렇게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전위차가 나타나는 것을 막전위(membrane potential)라고 한다. 그리고 이 전위차에 의해 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보통은 안정적인 막전위를 나타내지만 흥분성 세포, 즉 신경세포나 근육세포가 흥분을 하면 빠르게 일시적으로 막전위가 확 바뀌며,

이때 생긴 전기신호로 생물체는 자신이 경험한 자극을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모든 생물은 전기를 생산해서 일종의 전기신호체제를 확보하고 있죠...

그리고 충전을 하고도 남을 만큼, 아니 충전하다 감전돼 죽을 만큼 강한 전기를 만들어내는 동물도 있읍니다.

발전어(發電魚) 혹은 전기물고기라고 불리는 것들인데,

전기뱀장어, 전기메기, 전기가오리 등이 대표적인 발전어랍니다. 

전기뱀장어 경우는 600~800V(볼트), 전기메기는 400~500V, 전기가오리는 8~400V 정도 되는데,

물론 전압이 높다고 다 충격이 큰 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정전기 전압은 2만 볼트가 넘는데도 따끔할 정도로 미약하죠..

이것은 전압도 중요하지만 전류량이 높아야 하는 것입니다.

발전어들은 높은 전압에 전류량도 상당하기 때문에 전기뱀장어 같은 경우엔 말처럼 큰 동물도 기절시키거나 죽일 수 있답니다.

발전어들은 이렇게 센 전기를 이용해 먹이를 기절시켜 잡기도 하고,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도 합니다.

이런 발전어들은 어떻게 전기를 만드는지 궁금하겠죠???

전기를 만드는 특정 기관이 따로 있는데,

전기뱀장어를 예로 들어 설명해 보면,

이 녀석들은 큰 경우 2m까지 자라는데,

몸 전체의 90%인 180cm가 꼬리입니다.

그 엄청난 길이의 꼬리에 전기판이라고 하는 발전기관을 5,000개도 넘게 직렬구조로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순간적으로 엄청난 양의 전기를 방출할 수 있고,

전기판 한 개의 전압이 0.15V라고 가정하면 5,000×0.15V = 750V의 전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런데 그 정도로 센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기뱀장어 스스로도 감전되지 않을까요?”

결론은 아니랍니다.

전기뱀장어의 몸속에는 5,000개 넘는 직렬구조의 전기판이 무려 140개나 있지만,

이 전기판들이 병렬로 나란히 연결돼 꼬리근육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밖에서 들어오는 전기 충격을 1/140 수준 정도로만 받아들이게 되어 있답니다.


전기뱀장어와 전기메기는 주로 남아메리카 나일강 근처나 적도 근처 아프리카의 강에서 많이 사는데, 맛이 상당히 좋고 잡는 방법도 간단하답니디다.

전기어들이 위협을 느껴 전기를 마구 방출하도록 물 위를 막대기로 막 친 다음,

방전된 전기어가 정신을 못 차리고 있을 때 건져 올린다는 거죠.. 참 쉽죠잉~~.”


출처: KISTI의 과학의 향기  글 :김희정 과학칼럼니스트

 

세계 멸종 위기 동물

장수거북이!!

 

 

세계멸종위기동물중에 하나인 장수거북은 현존하는 거북 중에서 가장 큰 종으로 열대지방에서 주로 발견되는 바다거북이 입니다.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력과 먹이를 위한 이동 때문에 바다거북 중에서는 분포범위가 가장 넓은편 인데요.

 

 

장수거북은 대부분 바다거북과 같이 두쌍의 다리와 큰 머리,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고,

발은 다른 바다거북의 발과 비교하여 상당히 큰편으로,

앞발의 길이가 도합 270센티미터까지 자란 것이 목격된 적이 있을 정도로

큰편이랍니다.

그리고 발톱 없어서 수영하기에 적합한 형태랍니다

 

장수거북이 다른 바다거북과 다른 특이한 점은 딱딱한 등딱지가 없고,

대신에 가죽과 같은 피부로 덮여 있으며,

그 피부 밑에 아주 작은 뼈조직이 존재한다는 것 입니다.

이 뼈조직은 장수거북이가 심해로 잠수할 때 수압에 의해 납작해 지기도 한답니다.

장수거북이의 피부는 어두운 회색이고 흰색 점들이 산재 해 있는 형태입니다..

 

 

장수거북은 지구상에 있는 파충류 중에서 4번째로 크다고 합니다.

보통 크기는 1~2m정도이고, 무게는 250~270kg정도 이지만,

북대서양 해안에서 발견된 장수거북의 표본은 무려 3m에 무게는 900kg까지 자랐다고 합니다.

장수거북이의 수명은 대체로 50년 정도라고 하네요.

 

 

장수거북은 다른 거북과 다르게 장거리 이동에 매우 유리한 몸구조를 가지고 잇는데요.

몸은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되어 있고 큰 앞발로 인해 효율적으로 헤엄칠수 있다고 합니다.

 

 

장수거북은 전 세계에 분포하는 종으로 알레스카와 노르웨이 부터 아프리카의 희망봉과 뉴질랜드까지 발견되며, 주로 열대지방과 아열대 지방을 선호하지만,

한국에서도 난류를 따라 올라오는 무리가 있을 정도로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다고 합니다.

 

 

장수거북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기 시작된 건 1982년부터라고 하는데,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건 2000년 부터라고 합니다. 

10년동안 20% 이상 개체수가 감소 했으며, 인간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 명확하다고 합니다.

 

주로 참치조업중 그물에 걸려 일어난 익사와 알의 남획이 주원인이고,

해안가 파괴로 인한 서식지 파괴, 기후변화, 바다쓰레기로 인한 비닐봉지와 같은 이물질을 삼켜서 익사하거나, 선박에 충돌해서 죽는 경우도 많고, 일부지역에서는 식용으로 포획하기도 해서,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출처:http://blog.naver.com/joonghyukyim/80173090076  글쓴이: joonghyukyim

영원히 사는 생물

영원히 사는 생물 죽지 않거나 오래 사는 생물들
대박 영원히 사는 생물 이거 연구해서 인간에게 적용하면??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 올라온 영원히 사는 생물
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이슈입니다.
불사하거나 오래사는 생물들..



아래 영원히 사는 생물 보시죠

영원한 삶이란 모든 인간의 궁극적인 희망일지도 모른다.
얼마나 사느냐보다 어떻게 사느냐가 중요하다지만,

그런 말도 불로불사 앞에선 다 무의미하리라.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생명체들에게 있어 죽음이란 피할 수 없는 공통적인 운명인 것일까?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의 종 중, 인간이 발견한 종의 수는 체 20%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
아직까지 발견하지 못한 미지의 생명체가 훨씬 많은 지구에, 영원히 사는 생명체는 정말 없을까?
여기, 인간이 발견해 낸 두 가지 생명체에 그 해답이 있을지도 모른다.
바로 투리토프시스 누트리쿨라와 베니크라게라는 해파리이다.
이 두 해파리는 인간이 발견해 낸 영원히 사는 생명체로 알려져 있다.

토리토프시스 누트리쿨라


보통의 해파리들은 번식 후 죽는다.
그러나 투리토프시스는 번식 후 나이를 거꾸로 먹는다.

원형의 몸통 모양을 한 체, 바위에 붙어 폴립(태아)상태로 되돌아가 다시 태어난다.

이러한 나이 역전 과정을, 무한히 반복할 수 있는

이 5mm크기의 특별한 해파리는 무한히 젊음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것이다.

카리브 해가 고향인 이 해파리는 지역을 가리지 않고 번식하며,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베니크라게


한편, 투리토프시스 이외에도 영원히 사는 것으로 알려진 해파리가 하나 더 있는데,
 바로 베니크라게다.

다른 말로는 홍해파리라고도 부른다.  

Salento 반도의 해저동굴에 살고 있으며,
5억년 전부터 살아온, 1cm크기의 이 해파리 또한

탄생과 노화 죽음의 과정에서 죽음만을 무시한체,

탄생과 노화를 반복한다.

노화가 일어난 후엔 역시 폴립(태아)상태로 되돌아가 세포를 축소시켜,

다시 젊어진 뒤 재탄생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48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이 외에도 인간의 수명보다 훨씬 많은 수명을 사는 생물들이 굉장히 많다.

투아타라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크기 60cm, 몸무게 1kg정도의 투아타라라고 하는 이 도마뱀은

사실은 파충류로, 2억년 전 공룡시대에 많은 종이 있었으나,
그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종이다.

척추동물로는 최장수에 속하는 100~200년을 산다고 한다.

붉은 성게


미국 서태평양의 얕은 바다나 바위에 붙어 사는
이 붉은 성게는 최소 200년을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관충


라멜리브라시아 튜브 웜이라 불리며,

서관충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이 동물은
심해의 뜨거운 물이 분출되는 분출공 주변에서 서식한다.
평균적으로 170년 정도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많은 과학자들은 250년 이상 사는 것으로 생각한다.

남극의 해면동물


자기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해면동물들 중에서도,
남극에 서식하는 것은 해수온도가 낮은 관계로 성장이 늦어
최고 1550년 이상 사는 개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인간의 시간이란, 이들에게 찰나의 순간일지도 모른다.

 

출처goodting.tistory.com/2889   여름이오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