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부터 희귀한 어종으로 행운을 몰고 온다는 '황금 미꾸라지'가 한 지역에서 두차례나 잡혀 화제다.

16일 오전 8시05분께 경남 창녕군 장마면 봉화마을 앞 농수로에서 미꾸라지를 잡던 박상훈(36)씨에게 18cm가량의 황금 미꾸라지가 잡혀 눈길을 끌고 있다.

이날 박씨는 장맛비가 거치자 마을 인근 농수로로 미꾸라지를 잡으러 나갔다 통발질로 이 미꾸라지를 잡았다.

길이18㎝가량의 몸통은 어른 엄지손가락만 한 크기의 뼈와 내장이 다 들여다보이는 투명한 진한 황금 빛깔이다.

 

난생처음 황금 미꾸라지를 잡은 박씨는 "20여 년 동안 미꾸라지를 잡았지만, 색깔이 너무나 달라 이상하기도 하고 희귀한 황금 미꾸라지인 만큼 잡은 곳에 방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2007년 7월30일 부곡하와이 직원 정순자(47·여)씨가 식물원 안쪽 수생관에서 열대어 먹이를 주던 중 길이가 20여cm의 황금 미꾸라지를 발견해 보금자리로 다시 방생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황금 미꾸라지는 황쏘가리나 백사처럼 피부색소 결핍에 따른 알비노 현상으로 매우 특이한 돌연변이 개체라고 말했다.

한편 보통의 흑갈색 미꾸라지와 다르게 황금빛을 두른 이 미꾸라지는 평생에 한번 잡기도 어려운 희귀종으로 황금색이 길(吉)하다는 이유로 '행운의 물고기'로도 불린다.

창녕,뉴시스:안지율 기자(alk9935@newsis.com)

385602 기사의  이미지

갈라파고스 제도의 상징인 핀타섬의 마지막 코끼리거북 `외로운 조지`가 24일 숨졌다.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국립공원은 코끼리거북 아종 가운데 하나인 `켈로노이디스 니그라 아빙도니`의 마지막 개체로 추정되는 조지가 이날 아침 숨진 채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이날 조지는 같은 아종에 속하는 다른 개체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숨져 조지가 속한 아종은 공식적으로 멸종했다.

조지의 나이는 100세가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코끼리거북은 일반적으로 최대 200세 넘게 살기 때문에 조지는 생각보다 일찍 숨진 것으로 보인다.

1972년 핀타섬에서 발견된 조지는 이후 사육장에서 보호를 받았고 갈라파고스 공원 측은 조지의 후손을 얻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왔다.

조지는 인근 울프 화산에서 데려온 유사 아종의 암컷과 15년간 한 울타리에서 살며 짝짓기까지 성공했으나 암컷은 무정란을 낳고 말았다.

그 뒤 조지는 에스파뇰라섬 출신 암컷과 함께 살았으나 짝짓기에는 끝내 실패했다.

갈라파고스 공원 측은 조지를 부검해 사망 원인을 밝혀낸 뒤 박제해 영구 보존할 계획이다. 

| 매일경제 | 미디어다음 [김규식 기자]

바닷속 '거대 쥐며느리'가 상어를 관찰하는 2500m 심해 속 무인카메라를 공격했다고 8일 영국 데일리메일이 보도했다.

바하마 케이프 엘류세라 연구소의 에드 브룩스 박사는 최근 상어 생태를 관찰하기 위한 수중 카메라에 이상이 나타나 확인한 결과 케이블에서 쥐며느리가 갉아 먹은 듯한 '이빨 자국'을 발견했다.

브룩스 박사에 따르면 이 자국은 상어가 물어뜯은 것이 아니라 바다 쥐며느리로 알려진 거대 갑각류가 먹이로 오인해 케이블의 고무를 갉아 먹은 것이다.

↑ 거대 쥐며느리 공격

↑ 거대 쥐며느리 공격(사진=데일리메일 캡처)

 

범인은 배시노무스 기간테스(Bathynomus Giganteus).

거대 등각류에 속하는 배시노무스는 주로 대서양과 태평양 일대의 차가운 심해 속에 살며 이번 공격이 일어난 멕시코 만에서도 흔히 발견되곤 한다.

특히 배시노무스는 평균 30cm까지 자라 다소 위험해 보이기도 하지만 주로 죽은 물고기를 먹기 때문에 '바다의 청소부'로 불릴 정도로 공격력이 없으며 카메라를 공격하는 사례도 드물다.

한편 이 거대 등각류는 지상 위의 작은 쥐며느리와 먼 친척뻘로 밝혀져 바다쥐며느리로도 불리며,

동종의 생물이 바닷물에 서식하게 되면 몸집이 커진다는 '심해 거대증'의 좋은 예로 알려졌다.

[서울신문 나우뉴스]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