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25년 만에 절반의 개펄이 사라진다니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개펄 등 서남해안 습지의 20%가 매립 등으로 사라졌으며,

앞으로 5년 안에 남은 연안습지의 44%가 더 사라진다고 한다.

5천여년 전부터 조성됐다는 우리 개펄이 불과 25년 만에 절반 이상 사라지는 셈이다.

개발 광풍이 끔찍하기만 하다.


서유럽이나 북미의 개펄 정책이 개발에서 보존으로 바뀐 지는 이미 오래됐다.

독일은 자국 안 모든 개펄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했다.

네덜란드는 개펄을 포함한 기존 해안선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는 정책을 1990년부터 실시했다.

덴마크는 자연 야생 보호구역으로...,

영국은 특별보존지역이나 조수보호지역으로 지정해 대부분의 개펄을 보호한다.

일부 국가는 매립지를 원래의 습지로 돌리기 위해 예산을 쓴다.

그런데 우리는 막대한 혈세를 쏟아부어 개펄을 매립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개펄은 크기로는 세계에서 세번째이지만 생태적·경제적 가치로는 최고다.

영국 과학전문지 〈네이처〉는 개펄의 경제적 가치가 1ha(0.01㎢)당 9900달러로 92달러인 농경지의 100배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해양수산부는 경제적 가치에 생태·환경·문화적 가치를 합한 개펄의 연간 가치가 3919만원에 이른다고 봤다.

수산물 1199만원, 동식물 보존 1026만원, 서식지 제공 904만원, 수질 정화 444만원, 여가 174만원, 재해예방 173만원의 가치를 생산한다는 것이다.

수질정화만 보더라도 10㎢의 개펄은 인구 10만명 도시에서 쏟아 붓는 하수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특히 우리 개펄은 생물 다양성의 보고로 꼽힌다.

지금까지 조사된 것만 어류는 200여종, 갑각류 250여종, 연체동물 200여종, 갯지렁이류 100여종 등이 서식한다.

100여종의 바닷새가 개펄에 의지하고 김이나 굴 양식도 사실 개펄에 의지해 이뤄진다.

황복이나 농어, 낙지, 민물뱀장어, 꽃게 등 금값에 팔리는 어류도 개펄을 매개로 살아간다.

정부의 개펄 정책은 천혜의 보석을 잡석으로 바꾸려는 것이나 다름없다.

제 정신이라면 건축자재가 부족하다고 설악산의 기암괴석을 폭파하진 못할 것이다.

그 비옥한 천수만 어장을 매립해 민간 농장으로 바꿔 무엇을 얻었는지 반성해야 한다.

못난 정부 탓에 우리 국민이 세계인의 손가락질을 받을 순 없다.

 

개펄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라.

 

출처: 한겨레

'천체 망원경 > ┏ 바다 상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 적조는 한달 늦게 발생 전망  (0) 2009.08.19
개펄 1ha당 2만7천달러 가치  (0) 2009.08.03
개펄(갯벌) 이야기   (0) 2009.07.30
바다숲 조성 사업  (0) 2009.07.27
심해의 보물을 찾아서....  (0) 2009.07.23

개펄(갯벌) 이야기

 

개펄은 조류(밀물과 썰물 때문에 일어나는 바닷물의 흐름)로 운반되는 모래나 미세 점토가 파도가 잔잔한 지역에 오랫동안 쌓여 생기는 평탄한 지형을 가리켜 말한다.

 

개펄은 밀물과 썰물이 교차함으로써 하루 중에 반은 바다로, 나머지 반은 육지로 드러나게 된다.

과거에는 개펄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질퍽거리고 쓸모없는 바닷가의 땅’ 또는 ‘어민들이 조개잡이를 하는 땅’ 정도로 잘못된 생각을 가진 적이 있었다.

그러나 개펄은 해양과 지상의 두 생태계가 만나는 곳으로 산소가 풍부하고 유기물이 많기 때문에 생물이 다양하게 서식하고 중요한 수산물들이 많이 생산되는 곳이다.

  
개펄은 경사가 완만하고 주변에 강 하구가 발달하여, 육지로부터 민물이 유입되면서 흙의 운반과 침식이 반복되는 지역에 주로 발달한다.

우리 나라는 전 국토의 약 7% 정도의 면적이 개펄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 5대 개펄 국가 중 하나이다.  

 

 

갯벌은 어떤 기능과 가치를 가지고 있을까? 

 

 
생태적 서식지로서의 기능  


개펄은 영양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많은 바다 생물들이 알을 낳고 성장하는 보호 장소이자 생활 터전이 된다.

특히 우리 나라의 서해안 개펄 지대는 철새들이 긴 여행의 중간에 휴식을 취하고 먹이를 얻으며 번식하는 장소가 된다.  
 


자연 정화조의 기능  


개펄은 육지에서 흘러오는 각종 오염 물질을 걸러내는 정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개펄 1km2에 있는 미생물이 오염 물질을 분해하는 능력은 도시 하수처리장 한 개의 처리 능력과 비슷하고, 500마리의 갯지렁이는 하루에 한 사람이 배출하는 2kg의 배설물을 정화시킬 정도라고 한다.  


 
자연 재해와 기후 조절 기능  


개펄은 홍수에 따른 물의 흐름을 완화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태풍이나 해일이 발생하면 이를 일차적으로 흡수하고 완화하여 육지 지역에 대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뿐 만 아니라 대기 온도와 습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기후 조절의 기능까지 한다.  
 


경제적 가치  


개펄은 양식과 염전, 문화적 공간으로 사용되고 농경지와 바다보다 약 3배에서 20배 이상의 생산성을 가진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는 개펄에 대한 연구와 그 중요성에 대해 관심을 갖기보다는 국토가 좁고 인구밀도가 높은 현실 때문에 개펄을 국토 확장의 대상으로만 생각하여 왔다.

따라서 안타깝게도 우리 나라 총 개펄 면적의 절반가량이 간척에 의해 육지로 변해버렸으며 얼마 안 있어 대부분의 개펄을 잃게 될 지경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최근 들어 개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펄 보존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출처: A+과학나라 북부지사(강북, 도봉, 성북)  글쓴이: 과학나라

 

 

백화현상으로 사막화가 진행 중인 동해바다를 막기 위해

바다숲 조성 사업을 벌이고 있는

동해수산연구소 연구원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