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는 언뜻 보기에는 매우 평화로워 보입니다.

푸른 하늘과 푸른 수면이 만나는 수평선을 바라보면 절로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하지만 물 위에서는 보이지 않는 무시무시한 사건이 수면 아래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

혹시 알고 계시나요?

 

바다에 버려지는 쓰레기들은 셀 수 없이 많지만,

그 중에서도 버려진 낚시용 어구들은 해양생태계를 파괴하는 치명적인 킬러입니다.

낚시용 어구가 살아생전(?)에는 물고기를 잡지만,

바다에 버려져 죽어서(?)까지도 물고기를 잡는다는 이야기를 혹시 들어 보셨나요?

 

<바다에 버려진 통발>

 

최근 유엔식량농업기구(FAO)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어업활동이 증가하고 내구성 있는 합성재료가 어구에 널리 쓰이면서 바다에 버려지거나 잃어버린 그물과 통발이 스스로 어획을 하는,

이른바 ‘유령 어획’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보고서에는 매년마다 버려지는 어구가 전체 해양폐기물의 10%인 64만t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물고기와 갑각류, 거북, 새 등이 어구에 걸려서 죽고, 선박이 항행하는데 큰 지장을 주고 있다고 합니다.

 

가장 문제가 심각한 것은 바로 해저에 설치하는 자망통발이라고 합니다.

 

자망은 바다의 밑바닥에 고정하고 꼭대기에 부표를 달아 해중에 가로로 길게 설치하는데,

그 길이가 무려 짧게는 600m에서 길게는 1만m에 이르는, 해저 절벽을 만든다고 합니다.

이러한 자망은 버려진 뒤에도 몇 달 혹은 몇 년에 이르기까지 홀로 ‘유령 어획’을 계속해 수많은 물고기와 바다생물들을 죽음으로 이끄는 저승사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발트해에 설치된 대구 자망의 예를 들면 버려진 뒤에도 석 달 동안 어획 효율이 버려지기 이전의 20% 수준을 유지했고,

그 후 많은 손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27개월 동안이나 5~6% 수준의 안정된 어획 효율을 나타냈다고 합니다.

 

통발의 경우 원래부터 안에 미끼가 들어 있지만,

버려진 뒤에도 통발에 걸린 물고기나 다른 동물들이 미끼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악순환이 계속 되고 있습니다.

통발 속에 갇힌 동물들은 대다수가 굶어 죽거나 서로 잡아먹고, 병들어 죽는다고 합니다.

장시간 바닷속에 방치된 통발은 연안해역의 어족자원의 씨를 말리는 주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폐발통>


그렇다면 이러한 ‘유령 어획’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첫 번째, 유령 어획을 막으려면 바닷속에 버려진 어구를 회수하는 일이 최우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어구들은 내구성이 높은 합성재료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분해되려면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위적인 노력으로 버려진 어구를 회수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해양수산업에 종사하는 분들에게 경제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바다에 버려진 어구를 회수할 수 있도록 적극 장려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두 번째, 바다에 버려진 어구들이 자연분해 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재질을 쓴 어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세 번째, 바다에 버려진 어구를 발견하면 그물에 경보기를 달아서 육상으로 회수하기 전까지 고래나 다른 여타 해양생물들이 그물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자, ‘유령 어획’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바로 바다에 어구를 버리지 않는 것이라는 사실, 

 

 

가져온 곳 :해양경찰의 바다이야기 글쓴이 : 바다지킴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