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원장 임광수)은 우리나라에서 매년 8월초에 발생하여 수산 피해를 일으키는 코클로디니움(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아직까지 발생하지 않은 이유가 유례없이 계속된 장마와 최근 태풍의 간접영향으로 해양이 불안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올해는 예년보다 한달 정도 늦게 발생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최근 4차례(6.22~26, 7.9~15, 7.20~24, 8. 3~9)에 걸쳐 실시한 남해안 광역해역(부산~완도) 적조 조사결과에 따르면,

코클로디니움 유영세포는 예년과 비슷한 시기인 6월말에 출현하였으나,

6월말~7월말까지는 낮은 수온(17~22℃, 전년대비 2℃ 저온)과 8월 초순 이후는 낮은 염분(26~31)으로 인해 환경이 조성되지 않아 코클로디니움의 성장이 억제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8월 초순부터는 코클로디니움의 성장에 적합한 수온(23~25℃)이 조성되었으나,

6월 하순 이후 계속된 장마와 제 8호 태풍 모라꼿의 강우 등 간접적인 영향으로 남해안 연안의 염분이 급격히 낮아져,

저염분에 약한 코클로디니움의 성장은 억제되고 대신 저염분에서 성장이 양호한 무해성 적조생물인 고니아울락스(Gonyaulax polygramma) 종이 증식하여 남해안 일부 연안(진도, 통영)에서 적조를 일으키고 있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남해안 광역해역의 염분이 전반적으로 33 psu 내외로 회복되고 일사량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8월 하순부터는 적조생물이 정상적으로 증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현재 연안역에서 높은 밀도로 우점하고 있는 고니아울락스 종으로 인해 코클로디니움의 성장이 제한되어 올해 적조발생시기가 예년보다 한달 여 정도 늦어 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예년에는 볼 수 없었던 특이한 해황이 적조생물의 성장과 적조발생시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8월 이후에도 남해안 광역해역에 대한 적조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

해황의 변화와 적조생물의 증식상황을 신속히 탐색하여 적조발생시기를 사전에 예측하고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적조발생상황(2009. 8. 16)보고서

 

1. 조사일시 : 2009. 08. 16

 

2. 적조발생현황 (발생 해역도 참조) 

 

조사해역

원인생물

생물밀도(cell/㎖)

수온(℃)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 동남측

Gonyaulax polygramma

500 ~ 2000

25.7

전남 여수시 금오도 서측 ~ 돌산 두문포

Gonyaulax polygramma

500 ~ 3000

25.0 ~ 25.6

 

3. 진행상황


외나로도 동남측, 금오도 서측 및 돌산도 두문포에 무해성 적조가 발생하고 있으며, 현재 적조발생해역의 염분이 29.5-30.3으로 낮았음.

 

4. 특보사항


없음

 

5. 예보발령


없음

 

6. 금후전망


현재 표층염분이 29-30을 유지하고 있고, 일사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적조생물밀도 및 발생 범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7. 기타


없음

 

8. 당부사항


없음

 


* 적조 발생 해역도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www.fsis.g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