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에서 잠수복을 이야기 하였을 때 누누히 이야기 하였듯이,

물은 공기보다 열전도도4배나 높기 때문에  물속에서는 열을 쉽게 빼앗기게 되므로  체온을 유지키 위해서 잠수복을 입게 됩니다.

 

그런데 잠수복은 "네오프렌"이라는 발포고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온이 잘 되겠지만,

많은 부력을 잠수인에게 안겨 주게 되지요.

 

그런데 사람의 몸자체는 물에서는 중성부력을 유지하게 되지만,

잠수복을 착용케 되면 그 만큼의 부력을 상쇄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물속으로 하강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상응하는 납을 착용해야 만이

이런 부력을 상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납덩이를 체결한 벨트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그래서 이 장비는 가득이나 공기통과 그밖에 여러가지 장비로 인해

무겁게 착용된 잠수인에게는 무거움을 더 할 뿐 아니라

거추장스러운 장비이기도 합니다.

 

현재 부력을 상쇄키 위한 납들은 대부분이 벨트에 끼울수 있게 형상이 되어 있고

이것을 허리에 착용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것을 "웨이트벨트"또는 "납벨트"라고 합니다..

 

 

웨이트 벨트이것도 장착 요령이 있읍니다.

 

이는 비상시를 위해서 쉽고 빠르게 풀를 수 있어야 하며,

잠수 중에 풀리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 무게가 무거움으로 인해 파손이나,

안전하게 운반하는 방법을 제시하므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키 위함 입니다.

 

 

첫번째로 자신에게 적정한 웨이트를 선정하여서 좌우 균형을 이루도록 착용을 하여야 하며, 

 

버클 둘번째로 비상시에는 이 웨이트벨트를 빨리 풀어 버릴 수 있도록 버클이 채워지고 난 끝이 한 뼘 정도 남겨 놓게하여,

 

참고:

다이빙샵에서 지급되는 벨트는 여러 사람이 사용하기 때문에 의외로 긴 것이 많읍니다.

그래서 거추장스럽기 까지 할 때가 있는데,

그렇타고 남는 부위를 착용한 벨트에 꼬아서 말아 넣자니 긴급시 풀어 버려야 하는"안전규칙"에 어긋나고,

내것도 아닌데 잘라 버리기도 그렇고 남감한 때가 있을 겁니다.

 

이때는 버클 반대편부터 기준점을 정하여 기장을 맞추어서  자신에게 필요한 납을 하나씩 배치하여 끼우고

남는 기장은 버클을 풀러서 안쪽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쓰게 되면,

남는 기장은 벨트를 착용할 때 안쪽으로 접어 넣게 되므로

거추장스러움을 면할 수가 있읍니다. 

 

자신이 빨리 갈 수 있는 손이나 어설프지 않는 손이

벨트 끝을 빨리 잡아서 푸를 수있도록 착용하여야 합니다.

(예: 오른손잡이는 벨트 끝이 왼쪽으로 가도록 착용)

 

세번째로 보관시에나 운반시에는 항상 벨트버클을 채워 놓아야 만이

운반 시에는 어깨에 걸친다든지 하여

운반이 편리 할 뿐 더러

혹시나 납덩어리가  미끄러져 빠져 나가서

자신의 발등을 찍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읍니다.

 

웨이트 키퍼네번째로 잠수를 마치고 배위로 승선시에 우선 자신의 장비 무게를 덜기 위해

제일 먼저 웨이트벨트를 풀어서

물밖에 있는 사람에게 건네 줄 때

버클 반대편의 벨트 끝을 잡고 건네 주어야 하며,

받는 사람 역시 그곳을 잡아야 만이

혹시나 납덩어리가 미끄러져 물속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방법입니다.

 

물론 요새는  납을 벨트에 착용시에 이런 미끄러짐을 방지키 위해 중간에 "스토퍼(Weigth-Keeper)"를 같이 체결하는 경우도 있읍니다.

 

다이빙샵에서는 꼭스토퍼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읍니다.

물론 스토퍼가 없을 때는 벨트에 납을 장착 시에 맨 마지막 납을 체결시에 벨트를 한번 꼬아서 장착하면 미끌어져 빠지는 것을 막을 수가 있읍니다 만....,

 

*******웨이트용 납 종류***********

 

벨트용납

코팅납

맨 좌측의 그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용 납"또는 "누드납"이라고 하고,

두번째의 그림은 충격에 의해 모양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납에다가 고무코팅을 하여 놓은 "코팅납"입니다.

이것은 코팅에 의해 크기는 약간 크지만,

벨트를 장착시에 고무와의 마찰력의 증대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이 방지가 되며,

또한 발등 떨어진다 든지하여

타박상이나 골절을 방지하는 완충역활을 하기 때문에 요즘에는 많이 보급이 되고 있읍니다.

 

이들 모두는 Kg단위로 또는 Pound 단위로 생산 되어 지는데.

국내에서는 Kg단위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1Kg ,2Kg,4Kg단위의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2Kg단위의 것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1Kg단위의 것은 중량을 맞추기 위해 추가하는 정도로 사용하게 됩니다.

 

참고: 열대지방에서는 웨이트를 많이 차지 않기 때문에

        주로 1Kg,또는 2Pound 짜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음,

        혹시 외국으로 따빙 가시면  2Pound는 1Kg과 무게가 비슷하니깐 헷갈리지 마시기를...

        (1lb=0.4536kg,1kg=2.2046lb.)

 

구슬납 벨트용 구슬납그밖에 개인이 구입하여 가지고 다니는 것으로는,

 

납벨트의 무거움을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구슬납"이 나오는데,

이런 것들은 주로 "부레자켓"의 주머니에 넣거나,

이미 "부레자켓"이 생산되어 질 때 부터 넣을수 있는

"포켓"이 만들어져 있는 곳에 넣을 수 있으나 ,

자신의 적정무게 전부 다를 "부레자켓"의 "포켓"에 넣게 되면,

위급 할 때 급부상을 위하여 납을 버려야 할 경우에 빼내서 버리는데 많은 시간이 지체되기 때문에

일부 만을 "포켓"에 넣고 "웨이트벨트"를 따로 차야 합니다.

 

그리고 우측에 그림과 같이 웨이트 벨트 대신에 구슬납 팩의 수량을 조절하여 넣을 수 있도록 "구슬납 포켓벨트"도  있읍니다.

***********************************************************************

 

납벨트 착용 시에 납의 위치를 균형에 맞게 장착하여야 물속에서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읍니다.

그런데 "구슬납포켓벨트"는 넣는 위치가 애초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인해 한쪽으로 쏠리는 예는 드물지만,

그래도 벨트 길이가 맞지 않는다거나, 벨트를 홀수로 차게 될 경우에는

그 또한 이 문제에서 벗어나기 힘듭니다.

 

그래서 이 엉터리가 구상 중에 있는 종이형납벨트는 

벨트 자체를 종이형 납에 천을 뛰워서 벨트형으로 만들면 허리 전체에 둘러지게 되어 무게가 한쪽으로 쏠리는 경향을 줄일 수 있고,

자신이 착용하고자 하는 만큼 장수를 더하고 빼고 착용하므로써 얼마든지 무게 조정이 가능하며,

허리에 어느 부분만 집중적으로 무게가 실리는게 아니라 허리 전체로 무게가 분산되기 때문에

무게로 인한 허리에 데메지가 적다고 생각되는데....

함 맹글어 보까요??? 

 

************************************************************************

 

발목 납그리고 "건식잠수복"을 착용하시는 분이라면,

누구나가 "발목납"(주로 500g정도 되는 길쭉한 팩으로 그 속에는 구슬납이 들어 있으며, 양쪽을 체결할 수 있도록 버클이 장착되어 있읍니다.) 을 착용하게 되는데,

이는 "건식잠수복"에 붙어 있는 "장화"사이에 공기층에 의해

발부위가 뜨게 되어 거꾸로 인 상태라면,

그쪽의 공기를 뺄 수가 없읍니다.

 

(건식잠수복내의 공기를 뺄 수 있는 "배기밸브"

주로 어깨부위에 있기 때문에

어깨 부위보다 발이 높으면 발쪽의 공기는 위로 뜨려는 현상에 의해 발부분으로 공기가 몰려 있다면 에어를 뺄수가 없으며,

이때 상승을 하게 되면 그공기는 주변 압력하강으로 팽창이 되어 급상승의 우려도 생길 수가 있읍니다.) 

 

그래서 발목부위에 웨이트를 착용하므로서 "배기밸브"보다 낮출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무게를 분산시켜 주는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  발목에 착용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있읍니다.

 

엉터리

아래 글에서도 언급하였듯이 피부 보호를 위한 슈트와 체온 유지까지도 생각한 잠수복은 얇은 네오프렌기지의 것이 좋지만,

열대지방에서 장기체류를 하면서 반복된 잠수에 임하는 것이 아니라면, 

아래에 열거된 잠수복이 도리혀  사용하기가 적당한 잠수복이 아닐까 하여,
여기서는 몇 가지 설명 드리도록 하겠읍니다.


스프링슈트(Body suit)

 

해마X-Ray이 제품들은  가볍고, 편안하여

보온을 위한 제품이라기 보다,

피부보호를 주목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제품들 입니다.

 

이것들은 보온 효과가 전혀 없지만,

잠수복에 의한 부력 증가 또한 없기 때문에

잠수시에 부력이 증가한 만큼  웨이트를 착용해야 하는데,

그 웨이트는  타 장비에 의한 부력분 만 착용하면 될 정도로 매우 편한 다이빙을 할수 있읍니다.
(대략 1~2Kg정도는 차지만 전혀 착용을 않고도 입수가 가능하죠...)


 


1.라이크라 스킨 슈트

 

X-Ray, 가리비주로 열대지방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개발 된 것입니다.


형상은 마치 에어로빅 복과도 유사하며,

일반 잠수복과는 다르게 홑겹나일론으로 만들어진 것 같은 스포츠웨어입니다.

 

등쪽이나,앞 가슴 쪽으로 지퍼가 달려 있으며,

바지끝은 발바닥에 걸칠수 있도록 고리(고리바지와 유사)가 있어서,

 

발바닥으로 고리를 걸어서 바지 가랑이가 위로 올라오지 않도록 제작 된 것입니다.

 

옷감의 재질은 일반 습식잠수복에 "발포네오프렌"에 접합된 겉 부분의 천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될 겁니다.  

스프링슈트수영복이나 에어로빅 웨어로 많이 사용하는 고급 나일론 기지의 일종인 라이크라(lycra) 기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또 그에 유사한 원단인 오펠론(Opelon),다렉스(Darlexx),폴라텍(Polatec),웹텍스(Web Tex),메가 플렉스(Mega Plex) 다양한 기지 종류로 제작되고 있읍니다.

 

가볍고,부력이 없으므로 해서,

과중한 웨이트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 뿐 만 아니라,

무더운 열대지방의 수상에서 작열하는 태양의 자외선으로 부터 몸전체를 피부보호 내지는 더위를 먹지 않게 할 뿐 아니라,

수중에서 바다환경이나 바다생물에 의해 끍히거나 쏘이는 것 등을 방지하여 주겠지요. 

또 찬물 다이빙시에는 언더웨어로서 습식잠수복에 받혀 입을 수 있읍니다.

 

그리고 이 잠수복은 타이트하게 입지 않는 다는것 외에도,

기지자체의 신축성이 뛰어나고,

부드러움으로 인해

매우 편한 다이빙이 될 수 있으므로

잠수를 위해 열대지방으로 잠수를 자주 가시는데,

여행기간이 짧아 장기간의 반복된 잠수를 하지 않는 분에게는 권장해 드리고 싶은 잠수복입니다.

 

 

2.우레탄코팅 라이크라


조개X-Ray그리고 이들 기지에 CSC Coating(폴리 우레탄)이라고 하는 얇은 고무막 필름을 코팅하여 방수기능을 첨가한 제품이 있는데,
이를 "우레탄코팅 라이크라"또는 "우레탄코팅 폴라텍"등이라고 하겠죠....


이것은 직접적인 바닷물과의 피부 접촉에서 방수는 될지 모르나,
잠수복 형상으로 봐서는 방수가 된다고는 볼수가 없어서, 보온효과는 기대하기 어렵고,
"우레탄 고무"의 탄력으로 인해 라이크라 자체의 신축성은 유지되지만,
코팅된 "폴리우레탄"필름이 쉽게 손상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읍니다.


3.트라이 라미네이트 훼브릭(Tri-Lamminate Fabric)


소라X-Ray라이크라지 등의 양면에 다른 두가지 원단을 부착시켜서 만들었다고 하여

"트라이 라미네이트 훼브릭(Tri-Lamminate Fabric)"이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이 잠수복의 원단은 세겹으로 인해 약 3mm정도로 두텁기 때문에

피부 보호에는 더욱 안전하다 할 수 있겠읍니다.


이 잠수복은 지상에서 많은 양의 공기가 잠수복 내에 갇혀 있으므로 해서 따뜻 할지는 모르겠으나,
(이 엉터리는 착용해 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열대지방에서는 도리혀 땀을 뻘뻘 흘리겠지요..ㅋㅋㅋ)
물속에서는 수압에 의해 갇혀 있던 공기는 바로 빠져 나가므로 보온 역활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요.


더구나 세겹이다 보니 신축성은 전혀 없는 관계로 오히려 수중활동을 함에 있어서 잠수복 내부의 체온으로 덥혀진 물은 펌핑작용으로 인해 외부로 방출되어 열을 빼았기는 수가 있읍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굳이 권장하고 싶지가 않네요...

 

엉터리 스포츠 웨어

튜닉이번에 전 필리핀에서 튜닉(팔,다리가 노출되어 있는 잠수복)투피스를 입고 다이빙을 시행하였다.


그런데 왜 이렇게 쏘는 것이 많은지.....
어떤 놈이 날 괴롭히나 싶어 아무리 찾아 보아도 부유물 만이 떠 있을 뿐이지 찾을수가 없다.


그리고 다이빙횟수가 거듭되면서 추위를 느끼게 되어,
마지막 날에는 할 수 없이 부력이 많아 웨이트를 많이 차야 함과

수상에서의 더위를 각오하고

5mm잠수복(혹시나 해서 가지고 감)을 착용 할 수 밖에 없었다.
-----------------------------------------

25열대지방에서는 수영복차림이나 튜닉을 사용하여 잠수를 시행해도 됩니다.

 

그러나, 수중에서 가장 활동이 잦은 신체 부위인 팔과 다리 부분이 노출 되었다면,
쏘는 플랑크톤 뿐 만 아니라

해파리,말미잘,히드라 등의 촉수에 의해 쏘인다든지,
산호조개껍질,따개비등과 같은 패류의 날카로운 부분,
또는 바위의 모서리 등...
여러가지 수중환경에 의해 상해를 입을 수 있읍니다.


그래서 따뜻한 열대지방에서는 전신을 덮을 수 있는 "스프링슈트(바디슈트 또는 스킨슈트) (라이크라와 같은 나일론 재질로 된 일종의 에어로빅 복과 유사함)를 하여야 하는데,
바디슈트는 보온성이 없어서 반복된 잠수를 시행하는 경우에는

자신도 모르게 서서히 체온이 떨어 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키 위해서는 너무 두껍지 않은 네오프렌으로 된 잠수복을 착용하여 보온이 될 수 있는 것을 권장하고 싶습니다. 


이는 추위에 의해 호흡이 가파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자연히 공기를 적게 사용하여 잠수시간을 최대로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저체온형상으로 인해 혈액순환이 느려지면,

질소 배출 또한 늦어지게 되는데,
이런 현상을 방지하므로써 잠수병에 걸릴 확률도 낮 출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무쪼록 모처럼의 시간거금을 투자하여 해외투어를 가서 즐겁지 못한 다이빙이 되지 않으시기 바라는 마음에서 엉터리 같은 괴변을 늘어 놓았읍니다

 

엉터리 잠수복 쎈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