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적에게 자신을 방어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만,

그 중 가장 공격적인 것이라면 바로 천적이 자신을 먹지 못하도록 독으로 톡~ 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것들 가운데 자포동물이라 불리는 히드라충이나 말미잘의 공격무기가 바로 그러한 범주에 들어가겠군요.

자포동물이라하면 자포 세포를 지닌 동물의 한 분류인데 자포는 말 그대로 생물학적 대포입니다.

 


자포의 구조, 자극을 받으면 자침을 쏘아낸다(출처 : 야후! 백과사전)

 

가는 자침이 돌돌 말린 형태로 세포내에 있다가 외부의 자극을 받으면 침을 쏘아서 적에게 상처를 입힙니다.

가끔 물속에서 따끔거리며 쏘인 듯한 상처를 입는게 이러한 자포 동물의 공격을 받아서 입니다.

그 가운데 자침 끝에 독성 물질이 들어가 있어서,

단순히 쏜는 것 뿐 아니라 상대를 마비시키거나 심하면 죽음에 이르게까지 만드는 것들도 있지요.

그런데 이런 자포동물을 잡아 먹고 그 먹이의 자포세포를 체내로 흡수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동물이 있습니다.

하늘소갯민숭이가 바로 그 주인공이지요.

 


이 녀석의 주 먹이감은 자로 자포동물입니다.

자포를 가지고 있는 것들을 잡아 먹고 그 먹이감의 자포세포를 체내로 흡수, 등에 난 촉수로 이동시킵니다.

그래서 자신은 자포세포가 없지만,

마치 자포동물인양 촉수 끝에 자포를 '장착'하는 것이지요.

한마디로 탱크같은 걸 잡아먹고 그 탱크의 대포를 등에 장착하는 꼴이라고 해야할 것 같네요.

한가지 재미있는 점이라면 이러한 하나의 체계화된 시스템(흡수, 운반, 재장착)이 어떻게 진화의 과정 속에서 나타날 수 있었나 하는 점입니다.

우선 자포동물의 독에 대해 내성이 없으면 먹자 마자 바로 죽어버릴테고,

설령 내성이 있다 하더라도 운반하여 촉수 끝에 재장착하지 않는다면 하등 쓸모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런 과정이 동시에 나타났어야 한다는 점에서 진화론만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부분이라고 얘기 합니다.

그래서 창조론의 증거로 많이 언급된다고 합니다.

 



어쨌든 자연의 생존방식은 정말 신비로운 것이 많은 것 같습니다.

 

출처:http://kr.blog.yahoo.com/fanddegi  글쓴이:공룡세상

  

담치홍합의 경상도 사투리입니다.


남해안에서는 `담치'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홍합은 물 속의 바위에 붙어사는 조개다.

홍합은 물 속에서도 접착성이 강한 `폴리페놀릭'이라는 접착성 단백질을 분비해 몸을 바위에 고정시킨 채 바닷물 속에 있는 미생물을 걸러 먹고 사는 전형적인 필터 피더(Filter Feeder)'다.


홍합을 삶으면 투명하면서도 뽀얀 국물이 우러나고 노란 속살은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홍합은 그 생김새로 인해 예로부터 여성을 상징하는 조개로 불려왔는데,

한창훈의 소설 `홍합'을 비롯해 많은 글 속에서 홍합은 여성의 성기를 상징하는 조개로 등장하고 있다.


중국 사람들은 옛날부터 홍합을 동해부인(東海夫人)이라 불렀는데,

이는 홍합을 많이 먹으면 속살이 예뻐진다,

즉 성적인 매력이 더해진다고 믿는데서 따른 것이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도 `음부에 상처가 생길 경우 홍합의 수염을 불로 따뜻하게 해 바르면 효험이 있다'고 했다.

규합총서에서도 `바다에서 나는 것은 다 짜지만 유독 홍합만 싱거워 담채(淡菜)라고 하고 동해부인이라고도 한다'고 기록했다.


홍합은 자라면서 필요에 의해 성전환을 하는데,

암컷은 적황색을 띠고 수컷은 유백색을 띠는데 암컷이 더 맛이 좋다.

 

홍합은 예부터 우리 바다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조개였던 만큼 여러 고서와 한방서에도 자세하게 소개돼 있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몸은 앞이 둥글고 뒤쪽이 날카롭다. 큰 놈은 길이가 1자정도이고, 예봉(銳峯)밑에 더부룩한 털이 있으며, 수백수천마리가 돌에 달라 붙어 무리를 이루며, 조수가 밀려오면 입을 열고, 밀려가면 입을 다문다.살의 빛깔은 붉은 것도 있고 흰 것도 있다'고 자세하게 묘사했다.


또 `맛이 감미로와 국을 끓여도 좋고 젓갈을 담가도 좋으나, 말린 것이 가장 사람 몸에 좋다.콧수염을 뽑을 때 피가 나는 사람은 지혈시킬 다른 약이었으니, 홍합의 수염을 태워 재를 바르면 효험이 있다"고 했다.

활필수의 방약합편에서는 `오래된 치질을 다스리며, 허(虛)를 보(補)하고, 음식을 소화시키며, 부인에게 아주 유익하다'고 했고,

다른 한방고서들에도 `간과 신장을 보하고 허약과 피로로 인한 어지럼증,원인불명의 요통에 좋은 약이다'고 적혀 있다.


홍합을 이용한 토속음식 중 대표적인 것이 `섭죽'인데,

강원도 북부지역 사람들이 즐겨 먹는다.

물에 한시간 정도 불린 쌀과 홍합,감자에 고추장을 풀고 물을 넉넉하게 저어 1시간 정도 끓이면 쌀알과 감자가 퍼진다.

이 때 풋고추와 양파를 넣고 다시 끓여 내는데 맵싸한 맛이 입맛을 돋구고 쫄깃하게 씹히는 홍합의 살이 감자와 어우러지는 맛이 일품이다.

감자가 푹 퍼져야 깊은 맛이 나서 좋고,

여름철 더울 때 이열치열로 먹으면 더 좋다.

 

홍합의 제철은 알을 낳기 전인 늦겨울부터 봄까지(2월~4월)다.

 

날카로운 가시로 둘러싸여 마치 밤송이와 같이 생긴 성게는 불가사리와 친척 관계인 극피동물에 속합니다.

성게마다 길고 짧은 다양한 모양의 가시가 있는데,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오직 몸을 보호하는 기구일 뿐이고,

실제로 가시 사이에 ‘관족’이라 불리는 머리카락 굵기의 가는 줄에 오징어 빨판 같은 것이있는데,

이것이 자신이 이동하거나 주 먹이인 해조류를 잡을 때 사용하게 됩니다.  

 

성게는 암수가 따로 있지만 눈으로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산란시기에는 서로가 유인물질(페로몬)을 뿌려서 일정 장소에 집단으로 모이게 한 후에 알과 정자를 뿌려 수정을 하는데,

이렇게 하는 것은 알이 수정 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성게는 입이 아래쪽에 있고,

항문이 위쪽으로 향해 있으며,

입 주위에는 바위를 갉아서 구멍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한 이빨이 있읍니다.

 

성게는 주로 해조류만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바위 표면을 긁어서 각종 철분이나 영양분을 먹기도 합니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바위 밑에 몰려 있다가 해질 녘에 기어 나와 해조류를 먹고,

다시 집으로 돌아 갑니다.  

 

매우 느리게 움직이는 것 같지만 하룻밤에 15m 이상을 움직입니다.

성게는 ‘운단’이라 불리는 알이 잘 알려져 있는데,

날것으로 먹기도 하고, 제주지방에서는 미역국에 넣기도 하지요.

 

운단은 원래 소금물에 알콜을 조금 넣어 만드는데,

날로 먹게 되며, 운단의 고소함에 남겨진 쌉쌀한 맛은 인삼에 담겨진 ‘사포닌’이라는 물질 때문으로 술안주나 피로회복에 좋은 이유가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지역마다 알의 색이 다른데,

이것은 성숙하기 직전이나, 탁한 물에서 색이 어둡게 됩니다.

성게는 아직 양식이 이루어지지 않아 최근 들어 일어나는 남획은 매우 우려할 사항이고,

특히 연안에 해조류가 없어지는 백화현상은 성게가 가지는 알의 양을 줄이고,

맛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읍니다.       

다음에 다이빙을 하게 되면 그냥 지나치지 말고,

성게가 어떻게 움직이는 지를 자세히 관찰해 보세요..
특히 밤송이 모양 속에 관족의 하늘거림을...

 

글쓴이: 박흥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