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선으로 관심 받고 있는 러시아 순양함 돈스코이호.>>


 러일전쟁 당시 울릉도 앞바다에서 자침한 구 러시아 제국 순양함 돈스코이호가 과연 보물선일까?

MBC 시사교양프로그램 '시사메거진 2580'은 1905년 러일전쟁 당시 울릉도 앞바다에서 스스로 침몰한 구 러시아 제국 순양함 돈스코이호와 보물선 관련 여부를 추적한다.


'시사매거진 2580' 제작진에 따르면, 최근 한 주식 종목 토론방에서 울릉도 보물선 이야기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옛 동아건설 임원들이 주축이 돼 드미트리 돈스코이호라는 러시아 전함의 인양을 추진하고 나섰다는 소문이 번졌기 때문이다.


<<돈스코이호가 보물선? 혹은 단순한 순양함인지를 파헤친 MBC '시사매거진 2580'>>


몽고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킨 러시아 영웅 이름을 딴 러시아 순양함 돈스코이호는 지난 1905년 러일전쟁 당시 일본 전함에 쫓겨 수세에 몰리자 울릉도 앞바다에서 스스로 배를 침몰시켰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울릉도 주민 사이에는 구전으로 러시아 전함과 보물선 관련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당시 살아 남은 러시아 수병들이 울릉도로 와서 주민들에게 도움을 받고 금화를 주고 갔다는 말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울릉도 보물선으로 알려진 돈스코이호에 대한 소문은 다음과 같다.

러시아 제국과 일본 제국의 육상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러시아 발틱함대가 유럽에서 아시아로 출동했다.

러시아 황제는 120조 원 가치의 금괴, 금화와 당시 제조한 보드카를 가득 실렸어 전비와 사기 진작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며 해당 화물을 돈스코이함에 실었다고 해서 큰 화제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금괴, 금화, 보드카 수량과 어떤 화물이 정확하게 얼마나 실렸는지에 대한 견해는 학자마다 다르다.


10여년 전 당시 한국해양연구원과 옛 동아건설 측은 돈스코이호로 추정되는 선체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지만,

100% 확실하게 검증되지는 않았다.

기록에는 러시아 순양함 돈스코이호에 보물을 실었다는 기록은 없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돈스코이호 화물에 실린 금괴 유무보다 전함 자체가 역사적 가치가 있다는 견해도 있다.

 

러일전쟁 당시 돈스코이호는 일본 해군에 대항해 싸운 후 울릉도 앞바다에서 수병 570명을 하선시킨 후 스스로 자침했다.

지금도 러시아에는 돈스코이호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며, 최대 핵잠수함에도 돈스코이호를 명명하고 있다. 

 

과거 돈스코이호 수중 발굴 작업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보물선 이야기는 실체가 없다. 침몰된 군함의 위치는 수심이 매우 깊고 조류도 빨라 인양이 어렵다.

자칫 인양이 어려운 작업인데 보물선이라고 판단해 투자를 했다가 낭패를 볼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잊을 만 하면 터져나오는 울릉도 보물선 돈스코이호에 대한 실체와 진실이 밝혀질지 이번 주 방송을 통해 지켜봐야 할 것이다.


<최노진 이코노미톡뉴스 기자  nojin7@economytalk.kr>

~~~~~~~~~~~~~~~~~~~~~~~~~~~~~~~~~

상기  기사는 이코노미톡뉴스 최노진 기자의 글인데,

이 돈스코이호를 인양하려는 기업체가 있어서 같이 올립니다..


<<탐사를 마무리한 유럽인양컨소시엄과 최첨단 유인잠수정>>


돈스코이호 유물과 잔해가 전 세계 최초 공개될 예정이다.

~~~~~~~~~~~~~~~~~~~~~~~~~~~~~~~

서울에 본사를 둔 건설·해운기업인 신일그룹(회장 유지범)은 탐사를 통해 보물선 돈스코이호라는 증거를 확인한 상태이며, 보물선 돈스코이호의 유물과 잔해를 7월 30일 싱가포르에서 전 세계 최초 공개한다고 23일 밝혔다.

그동안 유럽컨소시엄 인양업체를 선정하고 비공개 탐사를 진행했으며, 러시아 측에서 요구했던 전사한 돈스코이호 승조원들의 영혼을 위로하는 추모제를 5월 29일 울릉도 주민들과 함께 개최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신일그룹은 추모제에서 발굴되는 150조 금괴, 금화, 보물의 10%인 15조원을 울릉도 돈스코이호 추모관, 영화세트장, 크루즈 관광상품 개발사업에 투자하여 세계적인 관광지로 육성한다는 계획을 밝히고 그동안 협조해준 울릉도 주민들에게 고마움의 표시로 기부금도 전달하기로 했다.

러시아는 당시 전사한 승조원들을 위로하는 추모제 개최를 꾸준히 요구해 왔으며, 현재는 돈스코이호가 하루빨리 인양되기를 손꼽아 기다리며 최대한 협조한다는 입장이다.

인양되는 유물과 잔해는 산화를 방지하는 약품처리와 진공 보존된 특수 강화 유리상자에 보관하여 7월 30일 신일그룹 싱가포르 법인을 통해 마리나베이샌드 호텔(Marina Bay Sands Hotel)에서 전 세계에 최초 공개된다.

본체 인양은 9월~10월 마무리 될 예정으로 세계 최고 인양업체인 중국 알타이 셀비지가 합류하여 돈스코이호를 원형 그대로 통째로 인양하며, 인양금액은 800억 원으로 협의가 끝난 상태이다.

인양을 총괄하여 이끌고 있는 인양전문가 진교중 전 UDT 해난구조대장은 “이미 돈스코이호가 100% 확실하다는 증거를 확인한 상태이며, 탄소연대 측정법 등을 사용하여 과학적으로도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증거들을 유물, 잔해들과 함께 공개하여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만들 것이다”며 강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113년을 바닷속에 잠들어 있던 보물선 돈스코이호가 7월 30일 전 세계에 공개된다는 소식에 울릉도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 경북일보 & kyongbuk.co.kr, 박재형 기자>


대하 철을 맞아 '흰다리새우' 많이 사 드시죠? 왜 대하 철인데 흰다리새우를 사 먹어야 할까요. 

대하는 안 잡히는데 축제는 해야겠고,

일부이긴 하나....호갱

아니 사람들은 축제하면 "어차피 돈 쓰러 가는 거지"라는 생각으로 대하를 찾으러 오니 이 기간에 대하가 안 잡히면 새우를 만들어서라도(?) 팔아야 합니다.


실제로 새우를 만들어 팔고 있죠.

대하가 잡히지 않자 축제 기간 대량으로 출하한 양식 흰다리새우(우리 바다에는 서식하지 않는 외래종)가 대하를 대체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양식 새우라도 싱싱하고 맛있게 먹을 수 있어서 다행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흰다리새우가 '양식 대하'나 '국산 대하'란 이름으로 팔고, 소비자도 그렇게 알고 사 먹는다는 것입니다.

 

이렇듯 우리의 토착성 새우인 '대하(학명 : Fenneropenaeus chinensis)'가 외래산인 '흰다리새우(학명 : Litopenaues vannamei)'와 구분이 흐려지면서 상거래에 혼선이 빚어지고 이로 인한 상술도 기승을 부리게 됩니다.

싱싱하게 살아있는 대하(양식산 흰다리새우)를 1kg에 6만원을 주고 샀다는 어느 블로거의 글이 안타까운 이유이기도 하지요.

 

가장 큰 문제는 정량을 지키지 않는 것입니다.

축제장을 비롯해 소래포구 같은 수산시장에서는 정량을 지키는 상인보다 지키지 않는 상인이 더 많을 정도입니다.

1kg에 감이 없는 소비자를 상대로 저울 눈속임이 많음을 시사합니다.

그렇다면 왕새우(대하, 흰다리새우) 1kg의 실제 양은 몇 마리나 될까요?

아래 예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형 마트에서 판매하는 에콰도르산 흰다리새우입니다.

원산지만 다를 뿐, 국내 양식산 흰다리새우와 같은 종입니다.

무게는 1,139g, 가격은 22,540원이었습니다.

1kg이 조금 넘는 이 새우는 몇 마리나 될까요?

 

도마 위에 펼쳐 보았더니 총 41마리입니다.

새우가 작아서 이렇게 많이 나온 걸까요?

 


보시다시피 이 새우는 왕새우란 말에 걸맞은 크기이며,

축제장과 수산시장에서 흔히 보는 흰다리새우의 평균 크기와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새우 머리에서 꼬리까지 길이를 쟀더니 어림짐작으로도 15cm를 훌쩍 넘깁니다.

물론, 새우를 계측하는 정확한 방법은 따로 있습니다.

사진에 표시한 a)는 눈알 뒤쪽부터 갑장이 끝나는 지점으로 이를 '두흉갑'이라고 합니다.

새우는 기본적으로 구부러져 있어서 몸길이를 재는 것이 의미 없습니다.

그러므로 두흉갑의 길이로 새우 크기를 계측하는 것이 정확하기는 합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정도 크기는 축제장에서 볼 수 있는 흰다리새우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한 마리당 무게는 얼마나 나올까요?




전자저울로 실험해 보았습니다.

우선 그릇을 올리고 영점을 맞춥니다.



흰다리새우는 큰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었습니다.

우선 큰 것을 재니 33g이 나옵니다.




작은 것은 24g이 나옵니다.

평균을 내면 흰다리새우 한 마리당 무게가 약 28g 정도인 셈입니다.




열 마리를 무작위로 골라 측정했더니 평균치인 280g이 나옵니다.

1,000 나누기 28(한 마리 그램 수) = 35.71. 즉, 흰다리새우는 1kg당 적정 마릿수가 크기마다 차이는 있겠으나 대체로 35마리 전후가 나와야 하며, 제가 그간 구입한 경험도 이와 비슷합니다.


자연산 대하는 흰다리새우보다 좀 더 크고 살이 포동포동하게 쪘습니다.

정말로 큰 것은 한 마리 당 50g 이상 나오기도 하지만, 대체로 30~40g 사이입니다.

자연산 대하 한 마리가 40g이 나온다고 가정하더라도 1kg이면 최소 25마리는 나와야 합니다.

천보만보 양보하더라도 흰다리새우를 1kg 구입하면 최소 30마리가 넘어야 하며, 자연산 대하는 20마리 이상이 돼야 정량에 가까운 것입니다.


그런데 막상 구입해 보면 그렇지가 못할 때가 더 많습니다.

"자연산 대하도 아닌 양식산 흰다리새우 1kg을 샀더니 14마리를 주더라.

그래서 너무 적지 않느냐고 따졌더니 선심 쓰는 척하며 8마리를 더 주더라"는 어느 블로거의 글이 남의 일 같지 않은 것이겠지요.





대하 축제 현장에서 대하를 담는 상인

 

왕새우를 담을 때도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새우를 뭉텅이로 잡아 현란한 손놀림으로 담는 상인을 자주 보는데요.

이렇게 하는 이유는 물 무게를 늘리기 위함입니다.


새우와 함께 딸려 들어오는 물의 양이 만만치 않죠,

냉동 꽃게나 새우를 판매할 때는 표면에 붙은 얼음 양이 절반입니다.

집으로 가져와 열어보면 물 반 새우 반. 새우들이 물 속에서 헤엄치는 수준입니다.


담을 때는 물을 빼달라고 부탁하고, 바구니(무게만 700g 이상)로 잴 때는 바구니 무게를 빼달라고 부탁합시다.

'일부' 상인들도 지금까지는 대충대충 재고, 중량을 부풀리면서 이득을 봤는데....

앞으로는 똑똑해진 소비자들로 인해 그러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스스로 자정 능력을 발휘하고 양심껏 판매하기를 간곡히 부탁합니다.


#. 무분별한 남획도 통제해야


대하를 비롯한 새우류는 대부분 1년생입니다.

알에서 깨어난 유생이 먹을 만한 크기로 성장하기까지는 고작 1년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그만큼 생체 순환기가 빠르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무분별한 남획을 막고 어획량을 통제하였더라면 개체 수는 금방 불어났을 것입니다.


매년 대하 축제가 열릴 때면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자연산 대하를 kg당 6만 원에 사야 하고,

그마저도 없어서 양식산 흰다리새우를 kg당 3~4만 원씩 주고 사 먹어야 하는데,

어업 관리만 잘 되었더라면 이 사달이 나지 않았을 것입니다.


'대량 양식'을 함으로써 우리가 받는 실질적인 혜택은 저렴한 가격에 질 좋은 수산물을 공급받는 것입니다.

그러나 축제장과 수산시장에서 사 먹는 양식산 (활)흰다리새우는 이러한 대량 양식의 취지에 어긋나면서 한탕주의 상술에 서민들 지갑만 터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가을에 주로 먹는 대하는 봄에 알에서 깨어나 반년 가까이 자란 개체입니다.

이 개체가 살아서 돌아가면 이듬해 봄에 알을 낳고 죽습니다.

그럼 그 알이 다시 태어나 우리 식탁을 풍요롭게 할 것입니다.


그만큼 자원 회복이 빠른 새우이므로 조금만 관심을 두고 어획량을 통제한다면,

이듬해 가을에 있을 대하 축제가 더욱 풍성해질 것입니다.

그러면 어민도 웃고 소비자도 웃겠지요. 이러한 부분을 해당 군청과 지자체에서 지속적인 관심으로 관리해주길 바라며,


특히, 정량을 준수하지 않는 일부 상인들로 인해 신뢰를 잃고 지역 인심까지 잃어버리는 상황이 반복되지 않도록 노력해 주어야 할 것입니다.




출처: http://slds2.tistory.com/2706?category=600027 [★입질의 추억★]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