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전 울산 남구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 앞 광장. 지난 6월13일 체험관의 암컷 돌고래 ‘장꽃분’(18살)과 수컷 ‘고아롱’(15살) 사이에서 태어난 아기 수컷 돌고래 ‘고장수’의 100일 잔치가 열렸다.


고장수는 ‘고래 고’의 성씨에 오래 살라고 ‘장수’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고장수는 지금까지 1m40㎝ 길이에 무게 40㎏으로 자랐다.


인간들의 100일 잔칫상처럼 고장수의 잔칫상에도 떡과 꽃, 사과 등이 놓였다.

서동욱 울산 남구청장은 인사말에서 “혹시 고장수가 잘못되면 어쩌나 정말 노심초사했다”면서,

고래생태체험관에서 근무하는 사육사 6명, 남구도시관리공단 직원들과 일일이 악수하며 격려했다.

주변에 몰린 손님들도 “축하 할 일”, “고래의 100일 잔치는 처음 본다”며, 호기심 어린 눈으로 잔치를 지켜봤다.

하지만 돌고래 100일 잔치를 보는 시선이 꼭 곱지만은 않았다.

노인단체에서 이날 문화여행을 온 박모씨(68·경북 포항)는 “드넓은 바다에서 살지 못하고 좁은 수족관에서 살아야만 하는 고장수가 정말 축하받을 만큼 기분이 좋을지 글쎄…”라고 말했다.

동물보호단체는 100일 잔치를 신랄히 비판했다.

고래보호단체인 ‘핫핑크돌핀스’는 이날 낸 성명에서 “감옥에 갇힌 노예의 삶을 살지 않도록 울산 남구는 돌고래쇼장을 폐쇄하고, 현재 남아 있는 돌고래를 모두 바다로 돌려보내라”고 촉구했다.

이런 요구에는 울산 남구가 2009년 처음 일본으로 부터 고래 4마리를 들여 온 후 지금까지 잇따라 수입됐거나 수족관에서 태어난 돌고래 11마리 중 폐사한 고래가 아기 돌고래 2마리를 포함해 모두 6마리나 되는 현실이 깔려 있다.

<백승목 기자 smbaek@kyunghyang.com>

아라비아해 연안의 작은 나라 오만의 평범한 허부가 28억원짜리 ‘고래 똥’을 낚아올려 화제가 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온라인 미디어 월드오브버즈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에 사는 어부 칼리드 알 시나니는 작은 통통배 하나로 20년째 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잇고 있었다.

여느 때처럼 물고기를 잡던 어느 날, 유독 고기가 잡히지 않아 마지막으로 한 번 더 그물을 던지고 집으로 돌아갈 채비를 하던 중 그물에서 묵직한 손맛이 느껴졌다.

월척을 직감하고 힘겹게 글어올린 그물에는 심한 악취를 뿜어내는 커다란 기름덩어리가 있었다.

일단 배에 실어 뭍에 온 그는 자기가 건져 올린 게 ‘용연향’이라는 값비싼 ‘바다의 보석’이란 걸 알게 됐다.


'용연향'은 향유고래 수컷의 창자에 생기는 값비싼 향수의 원료.

[월드오브버즈]


용연향은 향유고래 수컷의 창자 속에 생기는  배설물로 향수의 원료가 된다.
향이 뛰어나고 지속성이 좋아 침향, 사향과 함께 세계 3대 향으로도 꼽힌다.

칼리드가 건진 용연향의 무게는 60㎏이고, 값어치가 28억4000만원에 달했다.

그는 “20년 동안 망망대해에서 고기를 잡으며 힘들게 살아왔는데 드디어 내게 행운이 찾아왔다”며 “고기 잡는 일을 그만두고 호화로운 삶을 살겠다”고 기뻐했다.

출처: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유길용 기자 yu.gilyong@joongang.co.kr





몸이 마치 수세미처럼 생겨 실제 이름도 스폰지(sponge)로 불리는 생물이 있다.

바로 물을 쭉 빨아 들인 후 플랑크톤이나 유기물을 걸러먹는 해면동물인 바다수세미(sea sponges)다.


최근 미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역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바다수세미가 '파파하노모쿠아키아 해양국립기념물'(하와이 제도에 있는 열 개의 섬을 둘러싼 바다) 심해에서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수심 약 2,100m 아래에서 발견된 이 바다수세미는 길이가 무려 3.7m, 넓이는 2.1m로 작은 미니밴 만한 크기다. 이번 발견은 NOAA의 수중무인탐사기(ROV)로 이곳 심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사실 이번 발견이 흥미로운 점은 바다수세미의 커다란 크기가 아니다.

깊은 바닷 속에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을 뿐, 이보다 더 큰 바다수세미가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연구를 이끈 다니엘 바그너 박사는 "바다수세미는 놀랍게도 수백~수천 년을 사는 생물"이라면서, "이번에 발견된 바다수세미는 크기로 짐작해 대략 1,000년은 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심해에 사는 바다수세미와 산호류는 생명을 위협할 특별한 환경과 존재가 없어 매우 느리지만 안정적으로 계속 몸집이 커진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월 미국 MIT 대학 연구팀은 바다수세미가 지구상에 등장한 최초 동물로 그 출현 시기가 6억 4000만년 전 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당초 기록을 1억 년 이상이나 앞 당긴 이번 연구는 6억 4000만년 된 암석에서 발견된 독특한 분자화석(molecular fossil)을 분석해 얻어졌다.


[서울신문 나우뉴스]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