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미와 넙치는 어떻게 다를까 ? | ||||||||||
| ||||||||||
가장 큰 민물고기와 가장 작은 민물고기 | ||||||||||
| ||||||||||
걸어 다니는 물고기(walking fish) | ||||||||||
| ||||||||||
눈이 없는 물고기(Blind fish) | ||||||||||
| ||||||||||
담수어 | ||||||||||
| ||||||||||
러시아산 상어 “캐비어”로 각광을 받고 있는 물고기는? | ||||||||||
| ||||||||||
메기의 지진 예보는 사실일까? | ||||||||||
| ||||||||||
물고기도 귀가 있을까? | ||||||||||
| ||||||||||
물고기도 배탈이 날까? | ||||||||||
| ||||||||||
물고기도 성전환을 할까? | ||||||||||
| ||||||||||
물고기도 잠을 잘 때 눈을 감을까? | ||||||||||
| ||||||||||
물고기도 하품을 할까? | ||||||||||
|
||||||||||
물고기의 뇌는 5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시각과 후각을 지배하는 뇌가 특히 발달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물고기의 뇌는 다른 척추동물에 비하면 작은 편입니다. 또, 소리를 듣는 귀는 보통 머리뼈에 붙어 있는데 구조가 매우 간단해서 가운데귀와 겉귀는 없고, 얇은 막으로 된 주머니 모양의 속귀만 있습니다. 물고기가 물 속에서 소리를 듣는 것은 몸 양쪽에 있는 옆줄에서 속귀로 전달되어 듣는 것입니다. 냄새를 맡는 코는 눈 앞의 좌우에 한 개씩 있는데, 콧구멍으로 물이 들어오면 감각 세포가 냄새를 뇌에 전달합니다. 혀는 대부분의 물고기가 먹이를 통째로 삼키기 때문에 별로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맛은 수염과 입술에 있는 미뢰라고 하는 특별한 기관으로 느낍니다. | |
물고기도 대부분 혀에 미각세포가 있어 맛을 느끼며 머리나 지느러미등에 있는 종도 있다. 단맛, 짠맛, 쓴맛, 신맛등을 느끼며 사람보다 더 잘 느끼는 종도 있다. | |
물고기는 대부분 부레라는 공기주머니를 1~2개 갖고 있다. 이 부레는 주로 물위로 뜨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보조호흡, 청각기능, 소리를 내는 기능이 있는 종도 있다. 상어류는 부레가 없다. | |
대부분의 물고기는 비늘로 온몸을 싸고 있는데 물고기의 비늘은 외부의 병균이나 변화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비늘이 없는 메기등은 미끈미끈한 점액질로 비늘의 역할을 대신한다. 비늘이 어종에 따라 가시등으로 변하는 종도 있다. 비늘은 빠져도 일정기간이 지나면 거의 재생하나 원래와 같이 규칙적인 모양보다는 약간 불규칙적인 모양이 되기도 한다. 종에 따라서는 재생이 되지 않고 떨어진 부분의 물고기 피부가 딱딱하게 굳어 각질층이 되어 비늘을 대신하기도 한다. | |
물고기도 잠을 잔다. 어종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대부분의 물고기는 밤에 잠을 자고 야행성 물고기는 대부분 낮에 잠을 잔다. 쏘가리 등과 내수성 어종등은 겨울을 동면과 비슷한 가수면 상태로 지내는 종도 있다. | |
물고기의 수명은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나이테같이 물고기 비늘의 무늬로 나이를 파악하기도 하나 일반인들은 상당히 어렵다. 많은 어종이 2~3년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은어,빙어,뱅어,학공치,피라미 : 1~2년 연어 : 5~6년 황어,미꾸라지 : 20년 망둑어류 : 1~4년 숭어류 : 4~5년 붕어 : 30년 정도 잉어,메기,뱀장어 : 50년 정도 자라류 : 100년 정도 | |
물고기의 수염에는 맛을 알아 내는 특별한 기관이 발달되어 있어서 먹이를 찾는 데 아주 중요한 구실을 한다. 그냥 보기엔 장식품처럼 보이지만 흙 속을 파거나 바위 틈을 뒤져서 먹이를 찾아내기 때문에 생활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후각 기관 구실을 한다. 그러나 수염이 없는 물고기들은 제각기 몸에 있는 다른 후각 기관을 이용해서 먹이를 찾거나 냄새를 맡는다. | |
물고기는 포유류와 같이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는게 아니고 주위의 수온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변온동물이다. 아가미를 통해 수온이 물고기의 체내에 영향을 주며 주위 수온과 같이 변하는 것이다. 그러나 갑자기 온도가 크게 바뀌면 적응하지 못하고 쇼크사하기도 하니 부분물갈이시 30%이상은 하지 않는게 좋다. | |
물고기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적절한 특징을 갖추어야 한다. 1. 물 속에서 산다. 2. 등뼈가 있다. 3. 아가미로 숨을 쉰다. 4. 비늘이 있다. 5. 체온이 변한다. 6. 알로 태어난다. 말뚝망둥어는 6가지 특징에 있진 않지만 예외로 물고기의 무리에 속한다. | |
물이 너무 맑고 깨끗하면 물고기의 먹이인 플랑크톤이 없다는 말이다. 즉, 플랑크톤 조차도 먹을 부유물이나 유기물이 없다는 말이 되므로 먹이사슬이 형성이 되지않기 때문에 물고기가 살 수 없다. | |
미꾸라지는 장호흡(복식호흡)을 한다. 그래서 물 속에 산소가 없어도 살 수 있는데 가끔 물위로 쑥쑥 올라오는 이유는 공기를 마시기 위해서이다. 유사어종인 미꾸리 역시 장호흡을 한다. | |
비린내의 원인은 단백질에 미생물이 번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살아있는 생선에서는 비린내가 나지 않는다. 민물고기가 바닷물고기보다 비린내가 심한 이유는 이 미생물의 번식 속도 때문인데 우리가 식품을 오래 보관하는 방법중 하나가 소금에 절이는 것이다. 바닷물고기는 자연스럽게 바닷물로 어느정도 소금에 절인 상태가 되어있기 때문에 미생물의 번식이 어느정도 억제되지만, 민물고기는 그런 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비린내가 나는 것이다. | |
민물고기는 흙내가 난다고 싫어하는 사람이 있지만 그것은 진흙을 토하게 하는 방법이 나빴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민물고기를 소량의 식초가 들어있는 물속에서 산채로 헤엄치게 한다. 그러면 식초가 민물고기의 식도를 자극하여 빨리 진흙을 토하게 하고 게다가 민물고기의 비린내의 원인이 되는 성분인 지방산을 식초가 적당히 분해하여 아주 맛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다. | |
민물고기에는 지방산 성분인 도코헥산(DHA)이 다량 함유되어 인간의 뇌 활동을 촉진시키며 허약한 체질을 보강해 주는 보약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붕어나 잉어, 가물치는 우리나라 민물고기중 식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인체 구성에 필수적인 아미노산, 알기닌, 히스티딘, 라이신 등의 함유량이 많고 육상동물에는 없는 EPA, DHA성분의 함유로 단백질, 지방, 재성분, 칼슘, 인, 철, 비타민이 함유되어 기와 혈을 보하며 특히 강장, 심장성 및 콩팥성 부종, 복수, 배뇨장애, 위, 장, 간을 보호하여 황달, 고혈압, 당뇨병, 뇌기능강화, 심근경색, 협심증, 성인병 등을 예방한다고 한다. | |
민물고기와 바닷물고기는 많은 차이가 있다. 제일 큰 차이는 체액(몸 속에 들어 있는 물)의 조절 방법이다. 민물고기는 민물보다 체액의 농도가 더 높다. 즉, 민물보다 피가 더 진하다. 그래서 삼투압 때문에 우리가 물 속에 오래 있으면 몸이 물에 불 듯이 물이 계속 몸 속으로 들어간다. 민물고기들은 들어온 물을 계속 배설기관을 통해 내 보낸다. 바닷물고기들은 체액보다 바닷물이 더 진하다. 즉, 피보다 바닷물이 더 진하다. 그래서 배추가 소금에 절 듯이 몸에서 계속 수분이 빠져 나간다. 부족한 수분을 보충하기 위해서 바닷물고기들은 바닷물을 계속 먹고 장에서 역삼투로 물을 뽑아내서 보충하고 농축된 염분은 배설기관에서 밖으로 내보낸다. 민물과 바닷물에서 같이 살 수 있는 어종이 있다. 위의 두 가지 기능이 같이 있다고 보면 된다. 이러한 어종을 기수어라고 한다. 식용으로 쓰는 어종중에도 은어, 숭어, 전어 등 많은 종류들이 같이 살 수 있다. 그러나 담수에 있던 것을 갑자기 바닷물에 넣으면 죽지는 않지만 몸의 수분이 빠져나가 홀쭉해진다. 적응을 하고나면 괜찮다. 이런 적응 과정을 순치라고 한다. 보관은 완전 민물보다 염분이 어느 정도 있는 물이 좋다. 활어의 영업이나 유통에 응용해 보면 재미있을 것이다. | |
바닷물고기의 몸도 민물고기와 마찬가지로 수 많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를 구성하는 세포질의 성분도 같다. 바닷물고기는 삼투압이 높은 바닷물속에서 살고 있으므로 세포는 끊임없이 물을 빼앗길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나 살아있는 세포는 에너지를 소모하여 삼투압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짠물에서도 절지 않고 살 수 있다. 즉, 세포 스스로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절하기 때문에 물고기의 살이 짜지 않다. | |
일부 어류는 생식소나 특정기관에 독을 함유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독어는 복어로 대부분의 복어에는 톄트로도톡신(Tetrodotoxin)이라는 강력한 독이 있는데, 산란기일 수록 독성이 강해져 복어 한 마리의 독이 사람 33명, 쥐 20만 마리를 치사 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독은 어체에서 스스로 만드는 것은 아니고 먹이에 포함된 독이 체내에 축적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
용오름 등에 의해 물과 함께 운반되어 떨어지는 현상이 가능할 수는 있지만 미꾸라지가 하늘을 날 수는 없으므로 틀린 말이다, 미꾸라지는 아가미 호흡외에도 피부호흡과 장호흡을 할 수 있는 생명력이 강한 물고기이며, 비오는 날 좁은 물길을 따라 이동하던 미꾸라지가 물길이 끊겨 물 밖에서 돌아다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말이 생겨난 것 같다. | |
정수압(靜水壓)이라고도 하며, 흐름에 의한 압력, 즉 동압(動壓)에 대응하는 말이다. 물속의 한 점에는 전후·좌우·상하의 모든 방향에서 같은 세기의 힘이 미치게 된다. 그 크기는 물의 깊이에 의해 정해지며, 대기압을 생각하지 않을 때 깊이가 10cm 증가할 때마다 10g 중의 비율로 늘어나, 수심 10m인 곳에서는 1kg 중(약 1atm)의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수심 1만 m의 해저라면 약 1,000atm, 즉 1㎢당 1만 t의 수압을 받게 된다. | |
대부분의 담수어는 4~7월 사이 산란 부화한다. 봄.여름이 아닌 다른 계절에 산란 부화하는 어종. 1.초봄: 빙어.황어.둑중개.꺽정이.사백어.날망둑.미끈망둑 등,망둑어류 일부. 2.가을: 은어.납지리.연어.송어.곤들매기.국수뱅어.철갑상어.박대. 3.겨울: 수수미꾸리.농어.은연어.붕퉁뱅어.돌가자미.강도다리. | |
어류의 기원 어류는 약 2만여종에 달하는 다양한 종이 있으며 현존하는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보다 훨씬 앞서 발생, 진화하고 바다에서 번성하기 시작하였다. 약 5억 7000만년전 고생대, 캄브리아기에는 삼엽충, 갑각류, 해파리, 완족류, 극피동물이 살고있었다. 이 시기에 생물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대부분의 무척추동물이 존재하게 되었다. 이시기 삼엽충 등의 껍질은 지금의 조개 껍데기처럼 석회질이 아니라 곤충의 껍질과 같은 단백질이 굳은 형태이다. 약 4억년전 실루리아기 말기에 현대 물고기의 조상이 출현하였는데 척추가 있고 턱뼈가 없는 무악류라는 종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이 무악류는 오래가지 못하고 데본기에는 턱뼈가 있는 갑주어류가 등장하였고 바다에서 번성하였다. 데본기가 끝날 무렵 폐어등이 나타나 공기호흡을 할 수 있었고 이 시기부터 어류는 담수로 상륙하기 시작했다. 1억8천년전인 쥐라기부터 판새강,홍어류등이 나타났고 그후로 상어류,가오리류가 나타났으며 육기류와 조기류가 출현하였다. 육기류는 폐어류와 총기류로 분화하였고 폐어류는 아프리카, 남미, 오세아니아에서 현재까지 분포한다. 총기류는 양서, 파충류로 진화하였고, 조기류는 대부분의 현대 어류의 조상이 된다. 조기류는 철갑상어류, 전골류, 진골류로 분화하여 나갔고 철갑상어류는 지금까지 남아있고 전골류는 일부분만 남고 전멸하였으며 진골류가 최근 5천만년동안 진화와 분화를 거듭하여 아가미와 지느러미 기능을 강화하며 발전하여 현존하는 바다, 담수어류를 이루게 된다. | |
어류는 약 4억5천만년 전 고생대에 출현하여 해수,민물의 다양한 환경에 맞게 진화를 거듭하여 현재에는 약 24,000여종에 달한다. 오랜,기간 각자 다른 기후,지리적 환경에 맞게 적응한 결과, 포유류 3,500여종, 조류 8,600여종, 파충류 6,000여종, 양서류 3,000여종등, 다른 척추동물보다 훨씬 많은 종으로 다양하게 진화한 것이다. 현재 어류는 57목 482과 4,248속 24,618종으로 분류하며 이중 담수어는 9966종이라 한다. 우리나라에는 41목 203과 584속 961종이 있으며 담수어는 고유종 50여종을 포함하여 196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최근에도 신종이 계속 발표되고 있어 더 늘어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외래종이 10여종 들어와 있다. 같은 종이라도 각 수계별로 서식개체를 관찰하면 약간씩 다른 형태나 색깔이 나타나는 종들이 많아서, 이런 상태가 오래 지속하여 각자 환경에 맞게 진화하면 다른 종으로 분화할 가능성도 많다. | |
적조는 미세한 플랑크톤이 대량번성하는 현상을 말한다. 적조가 발생하면 첫째, 다량 발생한 플랑크톤이 어패류의 아가미를 막아서 질식시킬 수 있으며, 둘째, 대량 발생한 적조생물이 먹이 부족 등으로 폐사하여 그 사체가 분해될 때 발생되는 유독물질 때문이고, 셋째, 시체가 분해되거나 살아있을 때 호흡을 위해 수중의 산소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용존 산소의 부족으로 물고기가 일시적으로 대량폐사할 수 있다. | |
납자루과 물고기들은 조개 몸 속에 알을 낳는다. | |
플랑크톤은 스스로의 운동능력이 전혀 없거나 또는 아주 약하고 수동적으로 행동하는 생물을 말하며, 부유생물(浮游生物)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고래 ·어류 등 발달한 행동력을 가진 다른 상태군인 넥톤[游泳生物]과 엄밀한 구분이 곤란한 경우도 많다. 또 서식수역에 따라 해양플랑크톤 ·호소(湖沼)플랑크톤 ·염수플랑크톤 ·기수(汽水)플랑크톤 ·담수플랑크톤 등으로 나뉘고, 그 크기에 따라 거대(巨大) ·대형 ·소형 ·미소 ·극미(極微) 플랑크톤 등의 생태적 ·형태적 구분에 의한 많은 이름이 있다. 식물플랑크톤에는 규조류 ·남조류 ·녹조류 ·편모조류(鞭毛藻類) 등이 있다. 몸의 크기도 몇 μm 또는 그 이하의 원생동물로부터 큰 것은 1 m 이상에 이르는 해파리까지 있어 다양하다
|
'물안 내시경 > ┃ 물안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사노바가 사랑한 "굴" (0) | 2015.11.30 |
---|---|
제주바다의 호랑이 '범돔' (0) | 2015.01.21 |
넙치 회뜨기 (0) | 2014.12.02 |
왜 비 오는 날에는 회를 먹지 않나요??? (0) | 2013.07.22 |
[봄 도다리 진실] 봄 도다리는 애초에 없었다 (0) | 201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