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을 대표하는 패션 중 가장 파격적인 히트 상품이 바로 비키니 수영복일 것이다.

 

바닷가나 휴양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비키니는 1946년 7월 5일 프랑스 파리 모리토르 수영장에서 열린 수영복 대회에서 첫 선을 보였다.

푸조 자동차에서 근무하던 루이 레아르가 자신이 디자인한 수영복을 출품했으나,

어느 모델도 입으려 하지 않았다.

 

배꼽과 허벅지를 노출한다는 것은 당시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전문 모델을 대신해 무대에 선 스트립 댄서 미셸린 베르나르디니는 관객들의 충격 속에 사진 작가들의 플래시 세례를 한 몸에 받았다.

 

속옷을 연상시키는 이 수영복은 즉각 여론의 도마에 올랐고,

교황청의 비난까지 받았지만,

모델로 나선 베르나르디는 수 많은 팬 레터를 받으며 스타로 떠 올랐다.

 

논란 속의 이 수영복은 46년부터 남태평양의 비키니 섬에서 진행된 미국의 핵폭탄 실험만큼 충격적인 사건이라는 의미에서 '비키니'라 이름 지어졌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45년 8월6일, 9일)의 뒤를 잇는 작전명 '교차로'로 불리는 비키니 섬 원폭 실험은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줬다.

 

↑ 비키니 섬의 미 원폭실험,

영화에서 비키니를 입은 브리지트 바르도,

1946년 최초의 비키니 모델 미셸린 베르나르디니.

(위 사진부터 시계방향으로)

 

교황청의 성명 발표와 함께 심사위원들의 정신을 산만하게 한다는 이유로 51년까지 미스월드 콘테스트에서도 착용이 금지됐던 비키니는 당시의 톱스타들과 각종 미인대회에서 선을 보이며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50년대 후반 <그리고 신은 여자를 창조했다 >에서 수영복 차림의 관능적인 모습을 보인 영화배우 브리지트 바르도는 비키니 열풍을 불렀고,

69년엔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이 비키니를 들고 달에 가서 뉴스가 되기도 했다.

70년대 들어 일반인에게 익숙해진 비키니는 이제 스포츠 선수들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공기 저항을 최대로 줄인 스포츠 비키니는 여자 육상 선수들의 패션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패션 저널리스트들이 종종 여성 해방의 상징이라고 주장하는 이 비키니가 얼마나 더 작아지고 화려해질지 궁금하다.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한국아이닷컴

손용석기자 stones@hk.co.kr 

 

 

사진: 엉터리

 

조류나 해류가 흐르다가 수중의 언덕이나 절벽에서 하향류(down current)로 변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는 일이지만,

깊은 수심의 외해에서도 하향류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은 다이버를 더욱 겁먹게 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외해에서 생기는 하향류는 매우 드물고 세력도 약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하향류의 원인은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수평수류가 서로 만날 때:

수평수류가 서로 만나면(수렴현상) 물이 축소될 수 없으므로 밑으로 흐르게 된다.

가까운 연안에서 잘 발생하는데 해저지형이 조류의 흐름을 서로 부닥치게 하는 경우이다.

수면에 두드러진 띠를 형성시키며 나타날 때가 많다.

이 하향류의 유속은 1초당 25Cm로 강할 때가 있다.

2.해수면의 급속냉각:

냉각된 물은 밀도가 높아서 아래로 가라 앉는다(대류현상).

이 물은 기둥형태로 길을 만들어 밑으로 흐른다.

어떤 바다에는 겨울에 냉각된 물이 1,500m 수심까지 내려간다.

3.내부의 파도:

해양의 파도에는 수직운동도 있다.

수면과 해저면 사이에 여러가지로 밀도가 다른 수괴가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내부파도가 해안쪽으로 전진하는 모습은 가끔 해변과 나란한 방향의 미끈한 선들로 나타난다.
하향류를 발견하려면 다이빙하기 전에 해수면에 어떤 모양의 띠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부유물체들이 띠를 이루고 있거나 미끈한 수면이 선을 만들고 있을 때 등이다.

이런 표시들은 수류(또는 조류)가 수렵되는 것이므로 하향류가 존재할 수 있다.
하향류를 만나면 수평으로 헤엄쳐 영향지역을 벗어나야 한다.

그래도 안되면 웨이트 등 무거운 것들을 벗어버리고 BC를 부풀려 비상상승을 해야 한다.

 

자료 : 스쿠바다이버지 1999/03/04호

"낮 기온은 서울 22도, 광주 24도로 오늘보다 높아 포근하겠습니다.

바다의 물결은 서해 먼바다에서 2.5미터로 다소 높게 일겠고......"

 

뉴스에서 스포츠 뉴스 다음으로 가장 기다리고 반가운 시간입니다.

예쁜 기상캐스터분들도 보고, 옷차림에 대한 정보도 얻는....

바로 '오늘의 날씨'인데요.

 

 저는 이 날씨 예보를 들으면서 늘 궁금한 게 있었습니다.

바로 바다 날씨인데요.

육지의 날씨는 기온과 비가 오는지 여부만 알려 주는데요.

바다는 물결, 즉 파도의 높이까지 이야기를 해주더군요.

 

매일 이야기를 하니 바다에선 중요한가 봅니다.

궁금함은 또 못 참는 성격에 저희 방송국의 오현주 캐스터와 기상청에 물어 봤습니다.

 

파도가 왜 중요하지?

 

이젠 기상캐스터가 아무 것도 없는 블루 스크린 앞에서 말을 하고,

나머지는 CG로 처리된 다는 건 상식이지요^^

 

이 바다의 물결, 파도의 높이는 배의 출항과 관련이 있습니다.

파도가 높으면 선박이 전복될 수 있고, 파손의 위험도 크다고 합니다.

 

보통 날씨에선 물결의 높이가 3m부턴 높다고 이야기하는데요.

3m부터 작은 배(어선, 여객선)의 출항이 힘들어지지요.

3m를 초과하는 파도가 3시간 이상 예상될 때 풍랑주의보가 발효되는데,

이때부턴 거의 모든 배들의 출항이 금지 됩니다.

이런 뉴스 들어 보신적 있으시죠.

'풍랑주의보로 인천과 도서 지역을 잇는 12개 항로 가운데 9개 항로의 여객선 운항이 통제됐습니다.'

 

 

먼바다가 어디여?  

 

날씨 얘기를 하는 김에 한가지 궁금증을 더 풀어 볼까요?

기상캐스터가 이런 이야기도 하지요.

'서해 먼바다에선 4m, 동해 앞바다에선 3m로 높게 일겠습니다.'

 

먼바다, 앞바다 이건 또 어떻게 구분할까요?

서해남해40km를 기준으로 안쪽은 앞바다...

바깥쪽은 먼바다라고 하지요...^^

 

동해제주도20km를 기준으로

안쪽은 앞바다...

바깥쪽은 먼바다이고요...

 

 

아쉬운 점  

 

그런데 이렇게 앞바다와 먼바다를 명확히 구분해서 날씨를 전하는 방송국이 많지 않습니다.

유일하게 KBS만 CG처리를 해주고 있는데요.

 

어민들의 불만이 크다고 합니다.

먼바다의 파도가 높다고 해도 앞바다는 잔잔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낚시 선주들 같은 경우는 먼바다 예보만 보고 낚시꾼들이 안 오는 경우가 빈번해 기상청에 항의를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또 제주 같은 경우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날씨가 정반대인 경우가 많은데,

제주시의 날씨를 제주 전체의 날씨로 방송에 내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출처: cafe.daum.net/dogog19/6stV/176   글쓴이: 연리지(신영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