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는 한국계 귀신고래는 현재 약 130여 마리가 생존하고 있으며,

매년 3% 가량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고래연구소는 지난달 21~24일까지 4일간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주관으로 일본 국립과학박물관에서 개최된 북서태평양(한국계) 귀신고래 워크숍에 참가해 이같이 밝히고 귀신고래의 국제적 보존 대책을 논의했다.

국제자연보전연맹은 국제 멸종위기종 등급을 분류하는 기구로 북서태평양 귀신고래의 현황과 위협요인 식별 및 복원 등을 관리하는 기구다.

 

이번 워크숍에는 한국(고래연구소 2명)과 일본, 중국, 러시아 등 국제포경위원회 관계자와 세계 각국의 고래과학자 20여 명이 초청됐다.

위크숍에서 고래 과학자들은 최근 3년간 태평양 연안에서 암컷 귀신고래 5마리가 어구에 혼획된 것과 관련해 앞으로 혼획 등 비자연 사망이 지속될 경우 귀신고래의 자원회복이 보장될 수 없다며,

국제기구를 통해 귀신고래가 회유하는 국가에 대해 어구 혼획 및 좌초시 즉각적인 회생조치,

신고자에 미화 2만5000달러 의 포상금 지급,

지속적인 회유 조사노력,

선박충돌 방지,

위성추적 조사 등을 권고키로 했다.

이들은 또 한국에서 수행하고 있는 귀신고래 조사와 홍보, 혼획 신고자 포상금 지급, 보호종 지정, 구조팀 설치 등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특히 고래연구소 김현우 연구원의 '북태평양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귀신고래의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공동연구를 제안하기도 했다.

귀신고래는 평균 몸 길이가 약 16m, 무게 45t인 대형 수염고래류로,

수심이 50m보다 얕은 연안을 따라 이동하며

해안 바위들 사이에 머리를 세우고 있다 사람이 다가가면 귀신같이 사라진다고 해서 이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국내 연안으로 회유하는 귀신고래는 11~ 2월 우리나라 동해연안을 따라 이동하며,

새끼를 낳는 곳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과거에는 우리나라 연안의 큰 내만이 번식장인 것으로 학계에서는 추측하고 있다. 


하경민기자 yulnetphoto@newsis.com
<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일본NNN]                               출처: 스팟TV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해안 북부에 있는 세계 최대의 대 산호 보초(堡礁)로 세계 유산으로 등록돼 있다.

 

이'환상적인 열대섬에서 6개월간 놀기만 해도 미화 10만달러(약 1억3000만원)가 생긴다?'

지난 13일 이l곳을 관리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주 관광공사가 내용으로 '전 세계 최고의 직장에서 사람을 찾는다'는 구인 광고를 냈다. 

 

퀸즐랜드 관광청이 제시한 조건은 파격적이다.

세계 최대의 산호초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Great Barrier Reef)에 있는 해밀턴 섬에서 6개월간 섬 관리인으로 지내기만 하면, 15만호주달러(미화 약 10만달러)를 손에 쥘 수 있다.

더구나 지원자의 모국에서 해밀턴 섬까지 왕복 항공료도 관광청이 부담한다.

관리인이 되면 수영장이 딸린 방 3개짜리 호화스러운 트로피컬 리조트에서 머무르게 된다.

근로 조건은 더욱 매력적이다.

이곳 해밀튼 섬의 관리인으로 섬을 탐험하고,

백사장을 거닐고 뛰어 놀다가 산호섬 인근 바다 속을 잠수하는 게 주된 일이다.

어쩌다 수영장을 청소하는 게 그나마 힘든 일로 꼽힌다.

단, 관광촉진을 위해 섬에서 일어나는 일을 매주 블로그에 써야 하고 사진과 동영상도 인터넷에 올려 섬의 매력을 전 세계에 알려야 한다. 

 

섬 관리인이 되기 위한 필요 조건은 영어로 글을 쓰고 말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며,

연령이나 경력 등에는 상관없고,

일을 하겠다는 의지가 더 중요하다고.....

 

그러자 웹사이트(☜크릭)www.islandreefjob.com에 전 세계 수십만 명의 지원자가 구름 떼처럼 몰려 들고 있다.

AFP통신은 14일 "시간당 2만5000명의 지원자가 몰려 사이트가 마비될 정도"라고 보도했다.

퀸즐랜드 관광청은 "13일 하루 동안에만 30만 명이 홈페이지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지원 희망자는 다음 달 22일까지 신청 사이트에 1분 이내의 자기 소개 동영상을 올리면 된다.

퀸즐랜드 관광청은 네티즌 투표로 11명의 후보를 추린 뒤 최종 인터뷰를 거쳐 오는 5월 1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글쓴이: 방현철 기자 banghc@chosun.com  

한 해양고고학자가 바하마제도의 영국령 카이코스 동쪽 바다(East Caicos)에서

일명 ‘블랙락 난파선(Black Rock Wreck)’으로 알려진

스페인 국적의 난파선의 잔해를 조사하고 있다.

 

미국의 자금 지원을 받고 있는 고고학자들은

24일 카이코스 동쪽 바닷속 9피트 지점(약 3미터)에서 발견된 이 난파선이

1841년 현재 영국령 터크스앤드카이코스제도 흑인들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아프리카 노예들을 태우고 가던 중

바하마 제도 남부에서 침몰한 ‘트로우바도레(Trouvadore)’호로 보인다고 밝혔다.

 

사진은 25일(현지 시간) 미국해양대기관리처(NOAA)가 공개했다.

 

<동아닷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