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선에 대한 자세한 이해와 해석
거북선에 대한 반응은 다양하다.
하지만 거북선은 어떤 기적같은 것에 의한 것이 아니고 신화도 아니며,
당시 조선 수군의 주력전함의 하나이던 판옥선을 개조한 전함으로 판옥선과는 형제지간과 같은 배이다.
거북선은 순수한 우리고유의 조선방식에 의해 건조된 국산전함이다.
일제시대 때에는 어떻게 해서든지 그 공적을 격하 시키려는 모습을 보였지만,
그러나 그 기술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국에서는 넬슨장군에 비교해서 뛰어남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지금부터 약 400년전 충무공에 의해 탄생한 거북선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큰 자랑거리로 알고 있으며 외국인들도 격찬하는 전함 이다.
그러나 유명한 이 배는 또한 많은 오해를 가지고 있다.
그예로는
1. 주로 우리 거북선에 대한 옛날 방식의 기록 습관과 이를 잘못 이해 한 외국인에 의해 시작된 초기 연구 때문이기도 하다.
2. 일제가 일부러 거북선이나 조선 해군을 폄하하려 한 때문이다.
특히, 많은 외국인들이나 일본의 경우 우리 군선이 별볼일 없으나
어떤 기적 같은 것에 의해 거북선이 임진란 동안 잠시 쓰였다고 평가 하는 것이
바로 가장 큰 오해인 것이다.
거북선은 많은 숫자가 만들어지지 않았는데,
이는 임진란 이후 거북선을 오직 함대의 선봉이 되는 돌격선으로 사용 했기 때문이다.
1. 임진왜란 당시에는 3척
2. 영조때에는 14척이 배치되었다.
3. 영조이후 점차 각 수영 뿐만 아니라 모든 전초에 배치하기 시작하여 정조 6년에는 40척에 달하는 거북선이 취역하고 있었다.
|
|
|
|
문제의 "타이타닉 열쇠"가 경매로..2009. 10. 12. 05:43
타이타닉은 이 열쇠만 있었어도 침몰 막았다
사진은 평범한 열쇠로 보이지만 1912년 1,522명의 희생자를 낸 타이타닉 침몰 사고를 막을 수 있었던 ‘생명의 키’이다.
선원들이 망루에서 사용할 망원경들이 들어 있던 로커의 열쇠이다.
타이타닉의 이등항해사였던 데이비드 블레어가 갖고 있었던 것인데, 출항 직전 교체되면서 깜빡 잊고 열쇠를 후임자에게 전해주지 않았다.
망원경이 없어 선원들은 맨 눈으로 앞을 살펴야 했고, 그 결과 빙산을 뒤늦게 발견해 비극적인 사고가 일어났다는 분석이 있다.
29일 영국 언론들은 이 문제의 열쇠가 9월 한 경매에 붙여질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유족이 소유하고 있는 열쇠의 예상 최고 낙찰가는 7만 파운드.
타이타닉 출항이 있기 며칠 전 데이비드 블레어는 선원에서 제외되었고, 그 결정 덕분에 그는 생명을 구했다. 그런데 블레어는 배를 급히 떠나면서 문제의 열쇠를 주머니에 넣고 있었으며, 후임자에게 전해 주지 못했다는 것이 경매소 측의 설명이다.
출처: 팝뉴스 '물안 내시경 > ┏ 물안 알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는 11월 제주도에 ‘요트학교’ 생긴다2009. 10. 3. 06:48
제주특별자치도는 요트산업을 제주의 해양관광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오는 11월부터 제주시 김녕리에 '제주특별자치도 요트학교'를 개설·운영한다고 밝혔다.
제주 요트학교에는 한라대 산학협력단, 김녕리, 김녕어촌계, 도두어촌계, 도 요트협회, (주)김녕요트투어, 제주조종면허시험장 등 유관 기관 및 관련 단체가 참여한다.
요트학교에서는 요트이론 및 실기 등 기술교육과 해상안전교육, 체험활동, 초·중·고 요트팀 육성 등 전문가 양성교육, 수상레저안전법에 따른 조종면허 관련 교육 등이 이뤄진다.
조직은 사무국 등 1위원회, 1국 3부 18명으로 구성되는데, 학교운영위원회에서는 학교운영계획 등 심의·의결하며, 사무국은 행정사무와 홍보기획, 대외협력 업무를 맡는다. 훈련부는 교육프로그램 운영, 요트체험, 해상안전교육을 실시하며, 조종면허부는 일반조종면허, 요트조종면허 등 전문인력 양성과 경기부는 국내외 요트대회 유치와 요트팀 운영을 담당한다.
이와 함께 제주특별자치도는 내년부터 요트계류에 필요한 공공 마리나 시설에 10억원을 투자해 요트계류장 2개소를 시범적으로 시설할 계획이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는 요트관광산업 등 해양관광 특성화 개발을 위해 지난 7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의뢰한 용역결과에 따라 5~6개소 정도의 제주 동·서·남부 권역별 요트계류장 시설을 갖춰 해양 마리나 산업을 통한 미래 신성장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해 나가기로 했다.
출처: 제주특별자치도 '물안 내시경 > ┏ 물안 알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