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중성부력 조절에 능숙해야 한다.

2.웨이트는 약간 무겁게하라.

3.자신의 장비를 소유하라.

4.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은 도수 렌즈를 사용하라.

5.끌리거나 늘어지는 장비는 정리하라.

6.다이빙컴퓨터를 이용하라.

7.핀킥 요령(힘 안들이고 부유물 안일으키도록 주의)

8.착지 방법(모래바닥에 부유물 안일으키도록 주의)

9.기구식 이륙 방법

10.이동시 카메라를 잡는 방법

11.조용한 호흡법을 익히자.

12.표류다이빙에서의 기술

13.피사체에 가까이 접근하라.

14.욕심내지 말고 피사체를 정리하라.

15.화면의 빈공간을 모델로 활용해 보자.

16.태양광선을 이용해 보자.

17.상향 촬영.

18.가로사진이 전부는 아니다.

19.스트로브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20.타이틀을 생각하면서 촬영한다.

21.왼쪽팔은 가장 효율적인 만능 스트로브 암이다.

22.손가락 끝으로 카메라의 조작법을 숙달 시킨다.

23.평소에 눈짐작으로 거리를 재어 본다.

24.반드시 브라켓팅 촬영을 하자.

25.적절한 배경을 찾아라.

26.광각사진은 스트로브를 수동으로 촬영해야 만 하는 것은 아니다.

27.연속촬영을 선호 한다면 니카드 배터리를 사용하라.

28.바다의 상태에 따라 촬영장비를 바꾼다.

29.보통때와 다른 각도로 촬영해 보자.

30.물고기에게 먹이를 줄때는 먹이를 얼굴에서 떨어진 곳에 들고 있게 한다.

31.좋은 사진을 망치게 하는 반사광.

32.결정적인 순간에 사진을 졸작으로 만드는 손떨림.

33.수중 스트로브는 디퓨저를 사용해야 한다.

34.스트로브의 와이드어댑터(디퓨저)는 미리 장치해 두자.

35.스트로브의 위치를 점검하라.

36.마크로 렌즈의 특성인 낮은 심도를 이용하여 촬영해 보자.

37.해양 생물 도감을 가지고 다니자.

38.수중생물을 촬영하는 다이버들의 촬영방법을 관찰하라.

39.본것,촬영한 것은 끝까지 추적 연구한다.

40.물고기의 성격에 따라서 접근 방법이 변한다.

41.따라가지 말고 기다리자.

42.주제의 눈을 명확하게 찍어라.

43.주제가 되는 물고기뿐 만 아니라,배경도 생각하자.

44.좋은 피사체는 반드시 5컷 이상 찍는다.

45.특색있는 색을 가진 주제를 찾아야 한다.

46.사소한 실수를 조심하자.

47.카메라와 스트로브의 파워를 on시켜서 입수하라.

48.수중에 입수하기 전에 구름의 상태를 확인하자.

49.촬영후 촬영에 대한 내용을 메모하자.

50.수중촬영은 몸이 안정되어야 한다.

51.회유어는 따라가지 말고,한 곳에서 기다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52.기회가 포착되면 해양생물의 생태를 촬영하라.

53.해양생물을 몰래 추적하라.

54.물고기 촬영은 숨어서 접근한다.

55.야간다이빙에서는 야간에만 볼수 있는 특유의 생물을 찾아라.

56.야간촬영시 붉은 불빛은 수중동물들에게 보이지 않는다.

57.한눈에 보아서 아무 것도 발견할 수없는 모래바닥일지라도 피사체의 보고가 될수 있다.

58.광각렌즈의 경우 초점 조절이 용이하다.

 

출처: 범고래 수쿠버 다이빙  글쓴이: Evan 

일반적으로 광각 촬영시에 많은 수중 촬영자들은 스트로브를 강하게 하고, 화각은 넓게 써서,

전체적인 배경까지  라이팅하는 촬영기법을 많이 쓰고 있읍니다.

그러나 최근들어 많은 수중작가들은 자신이 찍으려고 하는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라이팅하는 기법을 자주 쓰는 경우를 볼 수 있읍니다.

 

그래서 경우에 따라서 넓은 조사각이나 부분조사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이런 여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스트로브 셋팅은 몇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만일 double strobe로 셋팅한 경우는 single strobe일 경우보다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예를들어, 니토노스104 와 씨엔씨의 YS 30을 조합하였을 경우라면,

화각이 좁은 사진을 찍을 경우는 조사각이 좁은 YS 30 만을 사용하기 위해서,

대부분이 설치시에 한쪽은 조사각이 넓은 스트로브를 설치하고,다른 한쪽은 좁은 스트로브를 장착하여,

양쪽 다 싱크로 케이블을 연결해서 어느 한쪽을 켜고 끄거나 전부를 다 키므로서, 

자기가 원하는 조사각도를 좁게 혹은 아주 넓게 조정 할 수 있는 등...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그러나 싱글 스트로브일 경우에도 수중 전용 스트로브일 경우에는 조사각 조절을 위해서는 확산판을 탈착하여 (확산판을 내리면 광각으로 셋팅 됨) 방법이 외는 별 방법이 없으나,

최근에는 스트로브 전용 하우징을 이용하여 육상용 스트로브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니콘 SB 800같은 것은  자유자재로 조사각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촬영자의 의도에 따라 수중에서도 화각을 촬영조건에 맞게 셋팅할 수 있게 되어있읍니다.

물론 이때 화각에 따라 최대 발광 광도와 GN 치가 변화된다는 것을 유의하고 미리 그 값을 알아야 합니다.

 

strobe 조사 각도 

 

아래의 자료는 "김광복"님의 홈피에서 옮겨온 것으로 

'strobe조사각도'의 여러 경우를 보여 주고 있읍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이 처음 수중사진을 찍게 되면,

초점이 잘 맞아서 선명하고, 노출이 적절하게 표현된 사진이 잘 나온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읍니다.

물론 초점이나 노출은 중요하며 사진에 있아서 기본이 되겠지만,

그래도 먼가 다른 그리고 사진이 보는 이로 하여금 느낌이 다가 올 수 있는 사진이라면 보다 좋은 사진이라 할수 있겠읍니다.

그러타면 보는 이로 하여금 사진에 시선을 끌게 하는 것은 사진에 구도가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 입니다. 

 

하지만 사진을 찍는 초보 입장이라면 구도를 잡는 것도 그리 쉽지가 않을 겁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사진의 구도를 잘 잡기 위한  몇가지의 원칙을 제시 해 드리니,

초보 사진이라고 해도  이 단순한 원칙만 지켜도 사진은 확 달라 질 수 있다고 생각 됩니다.

■ 사진의 구도
사진의 구도는 촬영대상을 어떻게 배치하여 찍을 것인가 하는 것인데,

사진을 찍는 사람이 의도하는 주제를 보는이에게 보다 더 잘 표현하기 위한 연출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같은 장소 같은 시간에 찍은 사진이라 해도 아이디어에 따라서는 공감대를 형성하거나,

흥미있고 색다른 분위기를  만들어 낼 수 있읍니다.


□ 좋은 구도의 6원칙

구도라는 것은 상당히 주관적인 것입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좋게 보이더라도 다른 사람에게는 나쁘게 보일 수도 있죠.

그러나, 일반적으로 좀 더 좋은 구도를 얻기 위해서는 6가지 기본기술이 있습니다.

1. 영상화면에 주제가 짤리지 않도록 한다.

물론 어느 부분을 짤라서 크로즈업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촬영 주제의 어떤 부분이 잘리면 사진을 보는 사람은 부족감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물고기의 꼬리나 머리가 잘린 사진의 경우를 들 수 있읍니다.

2. 배경을 정리한다

주제 이외의 것도 다 보여 주려는 욕심에 의해 시선이 분산되기 쉽다.

주제의 주변이 복잡하면 산만해지므로,

그런 욕심을 버리고 과감히 주변을 간단하게 정리를 하여, 

주제가 다른 것과 경합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3. 자연스런 표정을 찍도록 한다.
찍으려는 상대가 모르게 찍던지, 아니면 자연스런 표정을 찍는게 좋으며,

주변 배경에 어울어지지 않은 곳으로 일부로 주제를 옮긴다던지 주변에 배경을 치워서 가식적인 인상을 주지않게 한다..

특히 바다생물은 주변환경에 잘 어우러져 생활하기 때문에 주변환경에서도 많을 이야기가 내포되어 있답니다. 

4. 주제의 방향
주제는 가능한한 카메라 쪽을 향하도록
한다.

특히 동물이나 어류같은 경우는 눈에다가 초점을 맞추어서 찍도록 한다.


5. 주제의 위치
주제는 화면 중심에 있어야 만 가장 좋은 위치는 아닙니다.
주제를 황금분할법에 의해 중앙보다 1/3정도 옆으로 배치시키는게 좋으며,

주제의 진행방향에 공백을 할애해 주는게 자연스럽게 보이게 되므로

한자리에서 자주 움직이는 크라운 피쉬같은 경우에는 가장 좋은 위치가 포착 될 때까지 뷰파인더를 끝까지 확인하고 샷팅을 하시길...

6. 대비되는 색상
어두운 배경 속에 밝은 주제를 두는 것이나,

또,배경의 색상이 주제 색상과  대비되는 콘트라스트라면 주제를 훨씬 돋보이게 하는 사진이 될 것 입니다.. 

 

 

엉터리 찍사 올림

'영상 물안경 > ┗ 수중촬영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중사진 촬영시 주의점들  (0) 2008.09.30
스트로브 조사 방법  (0) 2008.09.27
자동 초점 모드 사용법  (0) 2008.07.01
물고기 촬영 요령  (0) 2008.05.13
수중영상 제작의 이해5  (0) 2008.02.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