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가 피사체의 밝기를 어떻게 측정할까요?

 

사진의 밝기와 관계되는 노출은 한마디로 빛의 양을 조절해 주는 것으로 카메라가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그방식을 측광방식이라고 하며 여기에는 몇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촬영상황에 따라 적절한 측광방식을 선택해야 적절한 노출의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측광 방식의 종류는 다분할평균측광(멀티측광 혹은 패턴측광), 스팟측광, 중앙중점평균측광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위의 측광방식을 모두 지원하고 있으며,

피사체의 조건에 따라 올바른 측광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선명한 사진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다분할평균측광(멀티측광 혹은 패턴측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측광 방식으로 렌즈에 투영된 피사체를 일정한 구획으로 분할해 평균밝기를 구하는 방식입니다.

화면을 전체적으로 측광해 자동적으로 노출을 결정해 준다는 것입니다.

패턴측광은 피사체와 배경의 대비가 크지 않는 일반적인 촬영조건에서 많이 사용하며,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의 측광 방식도 기본적으로 다분할 평균측광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다분할평균측광은 니콘은 3D 메트릭스측광, 올림푸스는 디지털 ESP측광, 소니는 멀티 패턴 49분할 측광 등 제조사에 따라 적용기술의 차이가 있고 그 명칭도 각기 다릅니다.

다분할평균측광은 분할영역이 많을수록 그만큼 세밀하게 노출을 얻는 데 유리합니다.

최근 출시되는 고급 기종의 경우 측광 포인트가 수십 개 이르는 것도 있어 아주 세밀한 측광을 해 주기도 합니다.

 

(그림1: 다분할 평균측광)

(그림1-1: 다분할 평균측광에 의한 촬영)

 

 

스팟측광(SPOT 측광)

 

스팟측광은 카메라가 피사체 중심부의 3~5% 영역만 측광해 전체 노출을 이에 맞추는 측광방식입니다.

스팟측광은 특정영역에 노출을 맞출 수 있기 때문에 밝은 지점에 스팟을 맞추면 노출은 더 어두워지고, 어두운 지점에 스팟을 맞추면 더 밝게 측광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 시간의 노출 보정에서 설명 드린 바 있습니다.

 

아래 (그림2)에서 처럼 스팟측광은 아주 세밀한 측광을 나타내기 때문에  주변부와는 노출 차이가 심해 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측광 방식은 어느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그 부분을 꼭 살려 내고 싶을 때 사용하는 측광 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림2: 스팟측광 방식) 

(그림2-1: 붉은 꽃잎에 스팟측광 촬영한 예)

 

역광이 비추는 인물의 경우 얼굴 부분이 상당히 어둡게 나오고 배경은 밝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피사체인 얼굴과 피사체의 배경 간에 명암차가 큰 이런 경우에는 주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 부분(특정지점)을 스팟측광해 사용하면 피사체에 대한 적절한 노출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림3: 역광에서 다분할평균측광 촬영 예)

(그림4: 역광에서 잎에 스팟측광 촬영한 예)


스팟측광은 <특정영역>의 아주 작은 부분에 노출을 맞추는 것이기 때문에 어디에 노출을 맞추느냐에 따라 노출이 급격히 변합니다.

 

 

중앙중점평균측광

 

중앙중점평균측광은 구획화해 동등한 비중으로 밝기의 평균을 구하는 다분할 평균측광방식(멀티측광)과 비슷하지만,

대부분 중요한 피사체는 가운데에 놓이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 피사체 중앙부분의 20~30% 영역의 밝기를 중점에 두고 가중치를 적용하는 측광방식입니다.  

 

 

(그림5: 중앙중점평균측광)

(그림5-1: 붉은꽃을 중심으로 중앙중점평균측광)


다음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위 세 가지 서로 다른 측광 방식에 따라 촬영한 모습입니다.

(그림1-1: 다분할 평균측광)  

(그림2-1: 스팟측광) 

(그림5-1: 중앙중점평균측광)

 

다분할평균측광에 의한 (그림1-1)은 전체적으로 어둡게 촬영되었습니다.

(그림2-1)의 스팟측광은 꽃 부분만 측광을 했기 때문에 꽃이 훨씬 밝게 보입니다.

(그림5-1)의 피사체의 중앙부인 꽃과 초록색 잎 부분의 20~30% 정도의 밝기를 중심으로 측광했기 때문에 스팟측광보다는 어둡고, 평균측광보다는 밝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사체의 측광 방식에 따라 사진의 밝기가 다르고, 그에 따라 사진의 분위기도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 안영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