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렌즈(Zoom Lens)는 하나의 렌즈로 초점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는 렌즈를 말합니다.

 

줌 렌즈는 광각에서 망원까지 초점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손쉽게 원하는 화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대부분 줌 렌즈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요즘 디지털카메라의 광고를 보면 몇 배 줌이라는 선전 문구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선전은 디지털카메라 판매업체에서 광고를 할 때 좀 더 성능이 좋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디지털 줌과 광학 줌의 배율을 합쳐서 선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선전대로 성능을 그대로 믿었다간 실망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디지털카메라에서 줌을 사용하면 광학 줌과 디지털 줌 영역이 LCD에 보통 다음 (그림 1)과 같이 표시됩니다.

 

(그림 1)

 

광학 줌

 

렌즈를 통해서 이미지를 확대하는 것을 광학 줌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줌(Zoom)의 개념이 바로 광학 줌입니다.

돋보기로 책을 볼 때 돋보기를 당기거나 눈에서 멀리 떼면 배율이 변하는 것과 같이 카메라 속에서 렌즈가 모터에 의해 렌즈의 배열을 바꾸어 초점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화각이 변하게 되며 변화된 화각에 따라 배율이 변하게 되는 것입니다.

 

광학 줌으로 확대하면 카메라를 의도적으로 흔들지 않는 한 이미지 상의 경계선 부분이 부드럽게 표현되며 깨끗하고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런 고성능 렌즈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흔히들 렌즈의 앞면을 살펴보면

7.0-21mm, f1:3.5등으로 표시된 것이 있는데,

7.0-21mm은 그 렌즈의 초점거리를 말하고,

f1:3.5라고 되어 있는 부분은 렌즈의 밝기를 말합니다.

 

여기서 실 초점거리가 f=7.0-21.0mm이고 35mm 환산 초점거리가 f=35mm-105mm인 디지털 카메라라면,

최대 광각의 초점거리 35mm, 최대 망원의 초점거리가 105mm라는 것으로

105를 35로 나누어 보면 3배의 줌 배율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렌즈의 이동에 따라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기능을 광학 줌이라고 하며

실 초점거리로 표기되는 f=7.0-21.0mm 등은 광학 줌의 성능을 표시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광학 줌은 직접 렌즈의 움직임으로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 망원의 사용 시에도 화질의 손상이 전혀 없습니다.

 

(그림 2. 광학 3배 줌)

 

디지털 줌

 

디지털 줌은 광학 줌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확대하는 방식입니다.

이미 결정된 이미지를 고무줄 늘이듯 늘이는 방식이며,

이 때 이미지 상의 경계는 소프트웨어에서 중간색으로 계산하여 화소에 삽입하기 때문에 디지털 줌으로 확대한 상은 이미지의 화질이 탁해지고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 디지털 줌은 촬영한 사진을 포토샵 등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

(모니터 화면상에서 그림이나 사진을 확대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말합니다.

 

(그림 3. 디지털 3배 줌)

 

그렇기 때문에 광학 줌과는 달리, 화질의 손상이 크며 줌 배율이 커질수록 화질의 손상 또한 커집니다.

 

위 (그림 3)의 디지털 3배 줌을 보면 (그림 2)의 광학에서보다 훨씬 화각도 좁고 크기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그림 2) 광학 3배 줌에 비해 (그림 3) 디지털 3배 줌은  3배의 광학 줌에 3배의 디지털 줌을 사용한 것으로 광학 줌 3배X디지털 줌 3배=총 9배의 줌으로 촬영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광학 줌과 디지털 줌의 촬영 이미지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 (그림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림 4)

 

위 (그림 4)에서 보듯이 광학 줌은 확대를 해도 원본 이미지의 손상을 가져오지 않고 경계면이 또렷한 반면,

디지털 줌은 확대를 하면 할수록 이미지 경계면이 흐릿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작정 디지털 줌이 5배, 10배가 된다고 좋아할 것만 아니라는 사실을 알 필요가 있습니다.

 

 

출처: 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안영주

필름 카메라든 DSLR 카메라든 렌즈에 보면 다양한 숫자들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캐논 10-20, 캐논 35-70, 니콘 18-200, 시그마 17-70 등으로 표시된 것은 그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냅니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렌즈화각이라고도 합니다.

 

(그림 1)

 

위의 (그림1)에서 50mm 렌즈와 200mm 렌즈로 같은 거리에서 사람과 사람 뒤쪽에 있는 새를 찍는다고 하면 50mm 렌즈로는 사람의 전체 부분과 뒤쪽의 새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반면,

200mm  렌즈로는 사람의 전체를 모두 찍을 수 없을 뿐더러 뒤쪽의 새도 흐릿하게 촬영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위 그림에서 처럼 DSLR 카메라에 영상이 맺혀지는 CCD(필름 카메라의 필름)로부터 렌즈까지의 거리가 50mm 렌즈는 짧고, 200mm는 이에 비해 훨씬 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CCD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초점거리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필름 카메라의 경우 50mm 렌즈를 표준 렌즈라고 하는데,

이는 우리의 눈으로 사물을 보는 것과 거의 비슷한 화각으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아주 고가인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 크롭바디(crop body)로 되어 있어 기종에 따라 렌즈 사이즈에 1.5배 혹은 1.6배를 곱한 값이 필름 카메라의 화각이 됩니다.

그렇게 보았을 때 필름 카메라 50mm 표준렌즈의 화각은 디지털 카메라 크롭바디의 35mm 렌즈(실제는 필름 카메라 렌즈의 56mm에 해당됨)와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즉 크롭바디 디지털 카메라 35mm 렌즈의 화각과 필름 카메라 50mm 렌즈의 화각이 거의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비싼 디지탈 카메라 기종에서나 볼 수 있는 풀바디일 경우는 필름 카메라의 화각이 같으므로 필름 카메라와 화각이 비슷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필름 카메라의 50mm 렌즈로 피사체의 이미지를 보았을 때와 비교해서 이 렌즈를 크롭바디 디지털 카메라에 끼워서 들여다 봤을 때 좀 답답하다는 느낌을 받는 경우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실제로는 필름 카메라보다 디지털 카메라의 화각이 훨씬 좁기 때문입니다.

렌즈의 초점거리와 화각과의 관계를 알아보면 다음 도표와 같습니다.

 

(그림 2)

 

위의 그림과 도표의 렌즈와 초점거리와의 상관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요즘 흔히들 나오는 디지털 카메라 렌즈 중에는 캐논 18-55mm, 탐론 17-50mm, 시그마 17-70mm, 캐논 24-70mm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 렌즈들의 공통점은 모두 표준화각이라고 하는 50mm 초점거리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더구나 광각과 망원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풍경이나 인물 등 어느 장르의 사진이든 가장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렌즈들을 자주 사용하여 그 렌즈가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빨리 익히는 것입니다.

적정한 장르의 사진에 어떤 렌즈를 골라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능력을 기를 필요가 있다는 것이지요.

이런 점에서 렌즈의 초점거리와 화각과의 관계를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출처: 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 안영주

화소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을 하면 이미지의 크기는 CCD에 의해 좌우됩니다.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300만 화소, 500만 화소는 CCD의 구성단위를 말합니다.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은 작은 네모난 점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각각의 점들을 픽셀(Pixel) 또는 화소라고 합니다.

즉 디지털 카메라의 감광소자가 몇 개의 입자로 채워져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25개의 화소(5×5)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파일은 5kb의 용량을,

100개의 화소(10×10)로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 파일은 10kb의 용량을 갖게 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화소수(화소값)가 많으면 많을수록 실제와 가까운 이미지를 만들어내지만,

그만큼 파일의 용량은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보다 많은 화소수로 촬영한 디지털 이미지를 “해상도가 높다”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다음 (그림1)은 CCD에 맺힌 이미지를 화소로 나타낸 그림입니다.

 

(그림1)

 

 

해상도(Resolution)

 

해상도란 일정한 길이 안에 들어가는 가로 픽셀수(화소수)x세로 픽셀수(화소수)를 나타내는 말로 디지털 이미지의 세밀함의 정도를 말하며,

컴퓨터 그래픽 화면이나 TV, 휴대폰, 카메라 등 그래픽을 표시하는 장치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해상도는 2048×1536(3백만 화소), 2560×1920 (5백만 화소)와 같이 나타냅니다. 

 

화소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고품질의 화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x6' 사이즈의 사진을 인화하려고 한다면,

500만 화소수의 2560x1920의 해상도로 촬영한 사진은 200만 화소수의 1600x1200으로 촬영한 사진보다 약 300만개 정도 더 많은 점들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4'x6'의 사이즈의 인화지 안에 약 300만개 정도 더 많은 점들을 표시하므로 그만큼 섬세하게 표현되는 고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럼 화소수에 따라 얼마나 큰 사진을 인화할 수 있을까요?

 

500만 화소의 카메라는 가로와 세로의 화소수(픽셀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가로(2592)x세로(1944)=503만8848, 약 500만개의 화소수(값)가 나옵니다.

즉, 500만 화소 카메라는 500만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사진을 만들어낸다는 뜻입니다.

 

 

이 해상도를 바탕으로 사진을 인화했을 경우 인화 품질의 관계는 다음 도표를 통해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한국사진>, 2010년 2월호, Vol 355, P.45. 김덕태 글 인용)

 

픽셀수와 이미지 크기와의 관계 

화소수

2×3"

4×6"

5×7"

8×10"

11×14"

16×20"

320×240

×

×

×

×

640×480(30만 화소)

×

×

×

×

800×600

×

×

×

1024×768

×

×

1280×960(100만 화소)

×

1536×1180

×

1600×1200(200만 화소)

2048×1536(300만 화소)

2240×1680(400만 화소)

2560×1920(500만 화소)

3032×2008(600만 화소)

사진품질(필름인화수준): ★>완벽☆>매우좋음◎>좋음○>어느정도△>나쁨×

 

실제로 사진을 인화해 보면 위 화소수에 따른 사진 규격이 나타내는 것보다 더 큰 사이즈의 사진을 인화해도 별 무리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위 도표의 수치는 어느 정도 참고사항으로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화질을 좌우하는 것은 위의 도표에서 나타내는 화소수에 의한 해상도 이외에 압축률도 상당히 좌우됩니다.

(압축방식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시 설명 드리겠습니다).

 

압축을 덜하면 할수록 화질은 좋아지긴 하지만 대신 파일의 용량이 늘어나 카메라에 이미지 저장 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사진을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가에 따라서 저장할 압축 파일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할 것입니다.

 

출처:http://www.nodongnews.or.kr/ 글쓴이: 안영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