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작 디지털 카메라 하우징


 

 


2002 년에 디지털카메라는 500만화소가 나오기 시작 할 때 새로운 디카를 장만하면서,

가지고 있던  200만화소의 디카(살 때는 85만원이란 거금 주고 산건데...)를 버리는 셈치고,

방수용 하우징을 만들었답니다.


 

(참 유별나죠???

그때도 나는 취미로 이런 것을 만들기 시작했었답니다.

물론 그전에도 다이빙악세사리를 만들어서 가지고 다녔지만...)

 

 


암튼수심 40M에서 필드테스트에서 하우징은 물이 새지를 않았으며,

스위치는강한 스프링 채택으로 수압에 눌려 복원이 안되는 현상은 없었읍니다.


 

 

재질은 두께가 10mm인 폴리카보네이트(강화프라스틱)를 재단해서 수용성 접착제로 붙여 만들었읍니다.

카메라는 앞으로 넣고,카메라 하단에 삼발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만들어져 있는 나사 부분을 이용하여,

하단에 카메라 고정용 나사를 채우고, 

우측 그림에 있는 앞판을 체결해서 나비형 넛트로 채웁니다.

화질을 감안해서 렌즈 쪽에는 P.C로 나사형 링을 만들어 접합 시킨 후에 UV 필터용를 방수처리해서 장착했읍니다. (방수는 액상 실리콘 고무로 씰링)


 

<조작용 풋쉬 보튼 스위치>


 

<스위치 부품>


기밀유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푸쉬보튼 부분으로

이 부분은 수중에서도 상하작용을 하므로 누수에 자유로울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제 나름으로 아이디어를 짜내는 데에 많은 노력을 했던 부분입니다.


 

상기 부품 그림과 같이 무두렌치 볼트에 구멍을 뚫어 양쪽에 나사를 낸 봉을 삽입하고,

오링을 넣고 넛트로 체결하였지만,


 

하우징에 삽입 시에는 손잡이 쪽 봉이 약간 만 체결 된 채로 육각렌치로 돌려서 조아서 방수가 되도록 하였습니다.

그런 후에 봉을 밀어 올려서 스프링을 끼우고,

손잡이를 나사 체결하였습니다.


셔터보튼은 지렛대 역활을 하는 막대보튼을 설치하여 적은 힘으로 크릭 할 수 있읍니다.



엉터리 하우징 공작소 소장 

 

별 궤적을 찍기 위해서는 하늘이 맑고 구름이 없는 가을이나 겨울 밤하늘에 별을 찍어야 깨끗한 화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특히 온도변화가 심한 환절기 뿐 아니라, 

깊은 산속에서는 낮과 온도 변화가 심한 심야에는 별궤적 사진에 여지없이 성애가 끼어 있어, 

하루밤을 꼬박 새우고 고생한 사진을 버리는 수가 많습니다.

그래서 고안해 낸 것이 아래 카메라 렌즈 히터입니다.

 

 

카메라 렌즈 히터

 

 

말 그대로 렌즈에 히터를 부착해서 렌즈를 따뜻하게 유지시키는 장치입니다..

 

전기는 리튬이온 밧데리를 사용하였고,

열선을 가늘게 뽑아서 7연선으로 꼬아서 실리콘 고무 코팅한 히터선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밧데리 하나 (리튬이온 4.2V- 안전기 회로 내장 된것 사용-)를 사용하게 만들었는데,

스페어 밧데리를 장탈착하기 쉽게 충전기용 짹을 사용하였습니다.

 

 

<<카메라 렌즈히터>> 

 

 

 

<< 광각 렌즈 히터 >>

 

 

기종:

 

니콘 14~24 (AF-S NIKKOR 14-24 mm 1:2.8G ED)


 

요구사항:

 

1.렌즈히터: 폭:70 mm, 총길이: 450 mm,히터 파트: 300 mm

2.밧데리 팩: 밧데리 6개 장착(약 6시간 사용) , 코드선은 1.5 M

 

 

 

요구사항에 대한 문제점 및 변경 사항 :

 

1.렌즈가 원뿔 상태이므로 기존 방식대로 평면으로 만들면,

  열이 전달되지 못하고 대기중으로 열을 빼았겨서,히터로서의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함.

  고로 렌즈 모양대로 깔대기 모양으로 제작하였음.

 

 

2. 폭 70 mm를 요구한 것을 어안렌즈라서 조금만 튀어 나오면 화면에 나오기에 폭을 좁게 요구한 것 같은데.

  막상 만들어 보니, 설계된 열선이 다 들어가지 못하여 열이 높게 발생하고,

  그로인해 밧데리 소모가 많게 되어,

  요구 폭을 무시하고 화면에 간섭을 받지 안도록 폭을 85 mm로 키웠음.

 

 

3. 비 발열부를 150 mm( 450 mm-300 mm)로 길게 요구한 것은 보온을 위해 한번 더 돌리려는 것은 아닐 것 같고,

   보다 큰 다른 렌즈와의 호환을 위한 것으로 추정되나,

   원뿔 모양으로 만들게 되면 다른 렌즈와 호환을 할 수 없기에

   찍찍이를 붙이는 부위만 80~90 mm로 만들었읍니다.

 

 

4.원뿔형이라서 일부분이 밀착이 안되어 열량을 약 20%정도 높였읍니다.

  그래서 밧데리 홀더에 밧데리를 6개 장착하도록 제작하였지만,

  사용시간이 6시간에서 5시간이 약간 못미치게 짧아졌습니다.

 

 

 

 

제작과정:

 

< 작업을 위한 준비물>

 

참고로 다른 기종의 모델을 주문하신 윤상식님의 주문서를 참고하시면 주문시에 도움이 될겁니다.

주문 모델: Carl Ziss 15mm ze



아래 본은 이 렌즈를 A4 용지를 감싸서 손바닥으로 눌러서, 

탁본을 뜨듯이 손 때를 묻히고 난 후에 이것을 펴서 그린 그림입니다.

 

 

A4 용지에 그림을 그려서 보내 준 것으로 제작하기에 충분한 본입니다.

  


1. 제단 본 제작



종이를 렌즈에 돌려서 렌즈에 맞게 재단을 합니다.



2.보드판에 복사



은박지를 놓을 자리를 마킹합니다.



3.양면 테이프 부착




4.양면 테이프 탈피


 

은박지가 고정될 수 있도록 양면 테이프를 붙여 놓습니다.


 

5.은박지 부착




6.은박지에 제단 본 마킹




7.마킹된 부분 칼로 절단




8.분리




9.보호 테이프 분리


열선을 배치 할 알루미늄 피복 테이프가 고정되도록 보드판에 부착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10.열선 배열


설계된 열선을 알루미늄판에 붙이는데 알루미늄 테이프에 접착력이 약해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중간중간에 "순간 접착제"로 고정해야 합니다..



11.알루미늄  테이프 부착


열선이 배열되고 나면 그위에 알루미늄 테이프를 덮어 부착하고 보드판에서 띄어냅니다.

( 이미 붙여 놓은 양면 테이프도 제거)



12.네오프렌 원단 재단

 

재단 본을 원단에 마킹해서 크기에 맞게 절단합니다.



13. 한면 천 제거


히터부위에 부착될 알루미늄 테이프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겉면에 있는 천을 제거해야 하는데,

한꺼번에 탈피를 시키면 안쪽에 네오프렌 고무( 보온을 위한 발포고무로 매우 약함)가 같이 떨어져 나가므로 실오래기 한가닥씩 일일이 제거해야 하므로 무척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14.부착


네오프렌고무 전용접착제를 양면에 바르고 부착합니다.



15.찍찍이 부착



16.


외부및 내부에 찍직이를 부착하고 끝부분에 바느질을 마치고 전기짹을 열선 끝에 부착하면 렌즈히터는 완료됩니다.



17.성형


네오프렌 고무가 신축성이 있어서 동그랗게 감게되면 팽창은 되겠지만,

내부에 히터는 신축성이 없기에 어느정도 원형을 유지하도록 성형을 해야 접합부가 떨어지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18.장착


14~24 렌즈에 부착하여 보았습니다.



19. 밧데리 홀더


Li-ion밧데리 ( 규격: 18650 필히 안전 회로 부착 된 밧데리 사용 )장착용 홀더를  밧데리 6개 장착하도록 제작하였으며,

코드선 길이는 1800 mm로 충분히 길게 제작하였습니다,.

  

제품 가격및 제원: 

얼렁뚱땅 투시경이란 카페고리 중에벼룩 시장이라는 메뉴에 

제목이 렌즈 성애 제거 히터 (가격표 포함) ☜(2014년 6월 23일자 문서)를 참고하세요..


엉터리 공작소 올림


시중품은 무지 커서 거추장스럽죠???


그래서 아래 사진은 간단하게 만들었던 겁니다.

이에 대한 자료는 엉터리 다이빙 릴 (☜크릭하면 바로 감)로 이동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스텐레스 봉을 꺽어서 만들었는데,


이제

상품화를 위해 알루미늄을 깍아서 규격화 했습니다. 

소형 다이빙 릴

 

*제  원*

총 기장: 150mm Bobbin

사이즈: 70mm

재질: 알루미늄(#600계열)

표면: 흑색 하드 아노다이징

Bobbin 색상: 청,황,백 회색등 다양

릴 종류 :1.5mm 핸드폰줄 

릴 기장: 50M

손잡이 핸들: 나사로 된 손잡이를 돌리면 록크 상태가 풀리고 릴을 감기 위한 핸들이 됩니다.

<안전 감압정지를 위한 고정용 볼트 체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