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쿠바 잠수 중인 SSU 대원들

 

우주만큼 힘들고 어려운 환경인 심해,

그런 심해에서 작전하는 특수부대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바로 해군의 SSU입니다 ^^

SSU는 Ship Salvage Unit의 약자인데요
우리말로 해군해난구조대 입니다.

각종 해난사고에 대응하는 해군의 부대죠 ^^

 

 

사실 SSU는 ‘BLUE’로 영화화되어, 
역할이 많이 알려지게 되었는데요.

저도 이 영화를 보면서 '와~ 해군이 참 멋진 곳이구나~' 하고 생각했던 기억이 남는군요

 

 

반잠수정 인양

 

SSU는 실제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데요.
잘 알려진 임무로는 반잠수정 인양이 있습니다.

1998년 12월 18일 전남 여수 앞바다로 침투한 북한의 반잠수정을 포착해
남원함이 함포로 3발을 명중시켜 침몰시켰는데,
이 반잠수정은 수심이 무려 150m인 곳에 가라앉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SSU 대원이 직접 잠수를 하여
반잠수정 선체에 와이어를 묶는 작업을 통해 인양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 SSU는 몇 미터나 잠수가 가능할까요?

 

 

잠수할 수 있는 깊이는 장비에 따라서 달라지는데요
SSU의 다양한 잠수 장비를 소개하겠습니다 ^^

한눈에 척~ 보기에도 익숙한 이 장비는 SCUBA 인데,
요즘 레저로 인기를 끌면서 예전에 비해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이 SCUBA는 130ft까지 잠수가 가능하며, 미터로 환산하면 약 40m정도 되는군요 ^^;;

40m의 수중에 있을 때에 인체에 가해지는 압력은 지상에 있을 때의 5배에 달하는데,

이런 압력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원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강도 높은 훈련이 필요하답니다 ^^

 

 

SCUBA로 들어갈 수 없는 더 깊은 곳에서의 임무는 어떻게 할까요?
답은 바로 심해 잠수장비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 장비를 이용하면 압축공기로는 58m까지 내려가고,
헬륨과 산소를 섞은 혼합기체로 호흡할 경우 91m까지 잠수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포화잠수라는 방법이 있는데,
포화잠수란 구조함의 갑판에 설치된 고압챔버를 이용하여 잠수하고자 하는 목표수심에 잠수사의 신체를
완전히 적응시킨 상태로 잠수하는 방식인데,
이 방식으로 최대 300m까지 잠수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수중 용접

 

더 대단한 점은 높은 압력과 각종 장비로 몸을 움직이기 조차 어려운 환경에서 인명구조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죠 ^^

 

그렇지만, 바다는 깊어서 위와 같은 장비로도 들어갈 수 없는 더 깊은 곳에서의 임무가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수중원격탐사기(ROV)를 이용해서 수색 임무를 수행할 수도 있고,

 

 

심해구조잠수정(DSRV)를 이용해서 수중 500m에서도 작업이 가능합니다 ^^

 

해양 수중 선진국인 미국,영국 그리고 일본에서도 놀랐던 150m에서 선체를 인양한 세계기록을 보유한 해군의 SSU가 정말 멋지지 않으신가요? ^^

 

기사제공 : 해군 블로그

출처 :캘리포니아 다이빙클럽 원문보기   글쓴이 : SGHAN

↑ [조선일보]포항해양경찰서 강구파출소 제공

 

포항 앞바다에서 우리나라에서 좀처럼 찾아볼 수 없는 식인상어인 청상아리가 죽은 채 발견됐다.

이틀 전 제주 앞바다에 공격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청새리상어의 출현에 이은 연이은 상어 출몰에 해양경찰은 주의를 당부했다.

포항해양경찰서는 20일 오전 5시쯤 경북 영덕군 남정면 구계리 남동쪽 2마일 해상에서 청상아리 1마리가 그물에 걸려 죽은 채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 상어는 길이 2.5m, 둘레 1m 크기의 악상어과에 속하는 청상아리로 어선이 바다에 쳐놓은 그물에 걸려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포항해경 관계자는 "청상아리가 이곳 앞바다에서 포획된 것은 처음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근해의 수온이 따뜻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이어 "청상아리는 상당히 공격적이고 활동폭도 넓다"면서 "해수욕장을 이용하는 피서객이나 해녀 등에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청상아리는 식인상어로 잘 알려진 백상아리보다 약간 몸집이 작을 뿐 성격이 급하고 포악해 눈에 띄는 대로 날카로운 이빨을 이용해 사냥하는 습성이 있다.

한편, 지난 18일 제주시 우도면 서빈백사 해수욕장에서도 길이 2m 크기의 상어 1마리가 출현한 것을 피서객이 발견, 해경에 신고했다.

당시 포착된 동영상에 따르면 이 상어는 청새리상어로 추정되는데,

청상아리와 비슷하게 보트나 사람을 공격할 정도로 공격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chosun.com 양승식 기자

사진: 뉴시스 유영수 기자 (yu0014@newsis.com)

 

전어는 집나간 며느리전어 굽는 냄새를 맡고 반해서 다시 시집으로 돌아 올 정도로 고기 맛이 좋다는 생선이다.

그중에서도 가을에 잡히는 가을 전어 잡이가 시작됐다.

 

군산 지역에서 전어가 잡히고 예년보다 시기적으로 보름 정도 빠르다.

전북도는 최근 서해바다의 수온이 내려 가면서 17일 고군산연안과 부안 위도 격포 등 앞 바다에서 이미 전어 잡이가 시작됐으며,

도내에서 전어 잡을 수 있는 어업허가 건수는 29건(양조망 20건, 소형선망 9건)으로 이 배들이 하루 3t 정도의 전어를 잡아들이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전어는 본래 수심 30m이내의 연안에 주로 서식하며,

11월에는 먼바다로 나갔다가 8월 초순부터 10월까지 연안으로 들어 오기에 가을 전어라고 하는데,

이때 적정수온은 10∼26℃이다.

올해는 잦은 태풍·폭우 등으로 이달 중순부터 바다 수온이 20도 안팎을 기록하자 때 이르게 전어 떼가 출몰하고 있어서 어민들도 서둘러 전어잡이에 나서고 있다.

 

전어는 크기가 15~31㎝로 기름지고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대부분 굽거나 회를 쳐서 먹는데,

지금 잡히는 전어는 아직 지방성분이 덜차 고소한 맛이 떨어진다.

하지만 현재 산지에서 활어차량에 판매되는 가격은 1㎏당 3,000~4,000원씩 팔려 나가고,

소비자 가격이라 할 수 있는 현지 음식점에서는 15,000원을 줘야 먹을 수 있다.

 

현재는 전어잡이 초창기로서 일부 어선이 전어 잡이에 나서고 있고,

앞으로 본격적인 전어 잡이는 다음달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 되며,

그때부터 어획량이 증가 돼 어업소득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전북 부안·군산지역의 어민들은 해마다 300여t의 전어를 잡아 10억원 소득을 올리고 있다고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