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시간 동안 학계의 논쟁을 일으킨 공룡의 멸종 이유에 대한 또 다른 이론이 제기됐다.


최근 미국 미시간 대학과 플로리다 대학 공동연구팀은 공룡이 화산폭발과 이후 이어진 소행성 충돌로 인한 '원 투 펀치'로 멸종됐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간 학계에서는 공룡의 멸종 이유를 놓고 무려 100여 가지의 이론을 내놓을 만큼 다양한 논쟁을 이어왔다.

그중 공룡을 멸종시킨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되는 것이 바로 소행성과 화산이다.


<용의자 1> 지금으로부터 6,600만 년 전 지금의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거대한 소행성이 떨어졌다.

지름 약 9.6km에 달하는 거대한 소행성 충돌로 먼지와 이산화황 등 유독물질이 하늘을 덮으며 태양을 가렸고, 이로 인해 먹이사슬이 무너졌다.

이 여파로 백악기 말 공룡을 비롯한 당시 지구 생명체의 약 70%가 사라졌다.

이른바 ‘K-T 대량멸종 사건’이다.


<용의자 2> 비슷한 시기 인도 데칸 고원에서도 대규모 화산 폭발이 일어났다.

이 여파로 지독한 유독 가스가 공기와 대기, 바다를 위험한 수준으로 오염시켜 먹이사슬이 붕괴됐다.


과거 여러 연구팀들은 소행성 혹은 화산을 공룡을 죽인 '단독' 용의자로 지목했으나, 최신 연구에서는 '공범'이라는데 무게감을 두고 있다.

이제 남은 것은 공룡에 먼저 위해를 가한 용의자가 소행성이냐 화산이냐는 것.


이에 대해 지난 2014년 미 프린스턴 대학과 MIT 대학 공동연구팀은 소행성 충돌이 있기 전 거대한 화산이 폭발해 공룡 멸종에 중요한 이유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지난해 버클리 지질연대학센터 연구팀은 소행성 충돌과 이로 인해 이어진 화산폭발로 공룡이 멸종했다는 연구결과를 내논 바 있다.



이번에 미시간 대학 공동연구팀은 남극 대륙에서 발굴한 6,550만년~6,900만년 된 29개의 조개 화석을 새로운 기법으로 분석해 당시의 기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인도 화산이 폭발한 이후 수천 년 간 유독 가스가 대기를 덮어 바다의 온도가 7.8°C도 상승했다.

이어 소행성이 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15만 년 후 바다의 온도가 1.1°C 더 상승했다.

연구를 이끈 시에라 피터슨 박사는 "백악기 말기 대량 멸종은 화산 폭발과 소행성 충돌로 인한 '원 투 펀치'에 의한 것"이라면서, "기후변화로 인한 온난화로 당시 생명체들의 스트레스가 극에 달했을 때 소행성이 떨어져 결정타를 날린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공룡을 죽인 범인은 화산 폭발과 이어진 소행성 충돌"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명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최신호에 발표됐다. 


[서울신문 나우뉴스]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편견을 버리고 보면 하수도에는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잠자고 있다.

비록 더러운 오물로 만 여겨지지만,

인간의 배설물을 비롯한 다양한 유기물에 아직 많은 에너지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나오는 메탄가스를 이용한 발전시설이나 혹은 열에너지를 사용하는 난방 시스템은 이미 선진국에서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도 실제 에너지의 극히 일부만을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의 퍼시픽노스웨스트 국립연구소(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의 과학자들은 역대 최고 효율의 하수도 바이오 연료 전환 기술을 개발했다.

하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하수 오니(sewage sludge)에는 상당한 유기물이 남아있는데,

이를 석유와 비슷한 바이오 원유(bio crude oil)로 전환하는 것이다.


사실 하수 침전물이나 하수 자체를 액체 연료로 전환하려는 시도는 이전부터 있었다.

높은 열을 가해 유기물을 석유와 비슷한 탄화수소 물질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에너지가 많이 드는 데다 수분을 많이 포함해 가열이 쉽지 않은 점이 문제였다.


퍼시픽노스웨스트 국립연구소에서 개발된 HTL(hydrothermal liquefaction) 공정은 수분이 많이 포함된 유기물이라도 문제없이 연료로 전환할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하수 오니에 포함된 유기물 가운데 60%를 연료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는 미국 전체로 보면 연간 3000만 배럴의 석유에 해당되는 양이다.

만약 대량 생산이 실현되면 화장실에서 검은 황금을 캐는 셈이다.

물론 처리 곤란한 폐기물의 양을 줄이는 건 말할 것도 없다.

다만 경제적인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다.

동시에 바이오 원유는 실제 원유와 약간 다르므로 석유처럼 정제해서 쉽게 연료와 석유 화학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는지 역시 더 검증이 필요하다.


이를 검증할 방법은 역시 실제로 시험 생산을 해보는 것이다.

연구팀은 미국보다 먼저 캐나다 밴쿠버에 데모 플랜트를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800~900만 캐나다 달러(약 70억~78억원)에 달하는 이 시험 생산 시설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면 바이오 연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결과를 만들지도 모른다.


[서울신문 나우뉴스]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태국 남부에 위치한 국립공원인 시밀란 군도의 바닷속에서 ‘박영숙’이라는 한글 낙서로 훼손된 산호가 발견돼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태국의 영자신문 더네이션은 30일 한 장의 사진과 함께 팡응아주 시밀란 군도 인근 바다에서 대형 뇌산호에 한글 낙서가 새겨진 것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24일 태국 현지에서 촬영한 사진에는 ‘박영숙’이라는 한글이 선명하게 새겨진 산호의 모습이 담겼다. 날카로운 물체로 산호의 표면을 긁어 이름을 새긴 것으로 보인다.

동아일보

더 네이션 홈페이지 갈무리


현지 다이버는 “손님들과 함께 잠수하던 도중 수심 20m 지점에서 훼손된 산호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진 뒤 현지 매체의 보도와 비난이 이어졌다.

매체는 최근 지역 주민과 다이버 사이에서 자연훼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방지 대책이 없다면 또 다른 무책임한 관광객들이 이 같은 일을 벌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지역 주민들은 더 이상 자연의 아름다움을 해치는 일이 발생해선 안 된다며,

시밀란 군도 국립공원 당국에 보다 엄격한 관리를 요구하기도 했다.

해당 보도를 접한 국내 누리꾼들 역시 “창피하다”, “나라 망신” 등 댓글을 관련기사에 달며 질타했다.

한편 1982년 태국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시밀란 군도는 세계 10대 다이빙 포인트로 알려져 있다.

황지혜 동아닷컴 기자 hwangjh@donga.com


참고글: http://blog.daum.net/ssangheem/13744993 ( ☜ 크릭하면 바로 감)


태국의 "국립공원과 야생 동식물 보호국"은 다이빙 명소에 산호 보호를 위해 일정기간 동안 폐쇄하는데,

이 참고글은 기후변화로 인한 백화현상을 대비해서 인데,
이곳 태국 남부의 팡아만에 속해 있는 시밀란 국립공원 도 포함되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