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항공우주국(이하 NASA)가 마야의 예언과 관련한 지구 멸망설은 허구일 뿐이라는 내용을 담은 동영상을 공개했다.

NASA는 지구가 종말을 맞을 것이라는 일부 종말론자들의 헛된 주장 때문에 두려움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을 하거나,

주변에 그릇된 인식을 전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이를 바로잡기 위해 종말과 관련된 질문과 답을 모은 동영상을 공식 발표했다.

 

 

NASA 천문고고학센터의 존 칼슨 박사는 마야의 달력에 대해 언급하며 "마야 달력이 2012년 12월 21일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마야인들이 그 이후의 달력을 만들지 않은 것 뿐"이라면서, 

"나는 35년간 2012년 멸망설에 대해 연구해 왔지만 마야인들이 구체적으로 세계가 멸망할 것이라고 언급한 근거는 없었다."고 전했다.

지구근접물체프로그램 연구소(Near-Earth Object Program)의 돈 예먼 박사는 또 소행성 충돌설에 대해 "현재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매우 높은 소행성이나 행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AG5'라고 이름 붙여진 이 소행성은 올 2월까지 만 해도 지구와 충돌 할 가능성이 1% 내외로 예측됐다.

 

당시 직경 140m(460피트)로 추정되는 AG5 소행성이 지구와 부딪힐 경우 무려 100메가톤에 달하는 에너지를 받아 폭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이는 2차 세계대전 때 일본에 사용된 원자 폭탄보다 몇 천배 더 강력한 규모다.

학계에서는 우주에서 거대한 폭탄을 터트려 이 소행성을 폭발시키거나 우주선으로 소행성을 밀어내 진로를 바꾸자는 대안까지 등장했다.

 

 

나사 측이 갤리포니아 파사디나에 있는 제트추진연구소를 통해 좀 더 세밀한 관측을 실시한 결과,

 

2040년경 지구와 충돌할 것으로 우려됐던 소행성은 실제 부딪힐 위험이 극히 적어 0.2%에도 못 미친다고 보고 있다.

이는 거대한 쌍둥이 천체 망원경으로 그 움직임을 추적 해 보니,

지구와의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 38만4000㎞인데 비해,

AG5가 그 두 배에 달하는 거리인 89만㎞ 이내로 접근 할 가능성은 없다는 결론이다.

 

그는 동영상에서 "만약 다음 주 내에 어떤 행성이나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려면 우리는 이미 상공에서 이를 눈으로 식별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재 지구를 향하는 소행성은 없다."고 덧붙였다.

태양활동의 극대화로 인한 태양폭발 때문에 지구가 종말을 맞을 것이라는 일부 주장에 대해 NASA의 리카 쿠아타쿠르타 박사는 "현재 태양은 11년 주기로 반복되는 활동주기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올해부터 2014년까지 태양활동이 정점에 달할 예정인 것은 맞지만 이전 태양의 활동과 특별히 다른 점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이 직접 설명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 배포 등 NASA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과 전 세계에 닥친 이상기후현상 등은 여전히 사람들이 종말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Vl-Ⅰ)' 3차 발사이자 마지막 도전이 초읽기에 들어 가면서 나로호에 실려 하늘의 문(門)을 향해 쏘아 올려질 위성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09년 8월과 이듬해 6월 1, 2차 발사 당시 탑재된 위성은 과학기술위성 2호(STSAT-2), 3차 발사에 사용될 위성은 나로과학위성!!

'기술(Technology)'이라는 용어가 빠졌다.

과학기술위성 2호는 대한민국의 100㎏급 저궤도(LEO) 인공위성이고,

나로과학위성은 일종의 '검증 위성'이다.

국내에서 개발한 인공위성이 러시아에서 제작한 발사체에 실려 우주궤도에 제대로 진입하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국제적으로는 구소련이 1957년 10월에 발사한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Sputnik), 1959년 발사한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 익스플로러(Explorer)가 모두 과학위성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일본의 과학위성으로는 하쿠조(1979년 2월 발사), 덴마(1983년 2월 발사) 등이 있다.

모두 개발초기에 투입된다.

임무도 과학기술위성 2호는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 연구, 과학 실험까지 가능한 반면

과학위성은 국산화 기술의 우주검증이 주 목적이다.

개발비용도 과학기술위성은 136억5000만원인데 비해 과학위성은 과학기술위성 2호의 검증체를 개조해 만들어 7분의 1 수준인 20억원 정도다.

과학기술위성2호에 탑재됐던 소형위성탑재용 X대역 송신기 등 일부 구성품은 다시 장착됐다.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SaTReC), 한국항공우주연구원, i3시스템, 한국항공대학교는 앞서 제작한 과학기술위성 2기가 연이은 발사 실패로 소진되자 지난해 2월부터 100㎏급 가로 1m, 세로 1m, 높이 1.5m의 소형 위성을 개발하게 됐고 이번에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한 우주항공 전문가는 "나로과학위성의 주목적은 우주방사선과 이온층 측정과 같은 과학관측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위성의 궤도진입 검증에 있다"면서 "예산이 많지 않다 보니 저렴하게 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위성 2호가 복합 소재 태양전지판과 듀얼헤드 별센서, 펄스형 플라스마 추력기 등의 장비를 갖추고 대한민국 땅에서 발사된 첫 번째 위성이라는 의미를 지녔다면,

나로과학위성은 비록 저비용 위성이긴 하지만 국내 위성 가운데 첫 타원궤도 위성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정지궤도나 태양동기궤도를 도는 위성은 있었지만 타원궤도를 도는 위성은 국내에서 이번은 처음이다.

발사 후 12시간 뒤, 궤도에 진입한 나로과학위성과 SaTReC 지상국과의 교신이 이뤄지고 나면 나로과학위성은 지상국의 명령에 따라 지구를 103분에 한 바퀴씩, 하루에 14번씩 타원궤도를 돌면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80도의 경사를 유지하며 300㎞에서 멀게는 1500㎞까지 지구 주위를 돌며 전자밀도 등 우주 환경을 측정하게 된다.

조선대 항공우주공학과 공창덕 교수는 "자원탐사, 기상측정, 통신, 첩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의 위성이 있지만 나로과학위성은 탑재 위성이 궤도에 제대로 진입하는지, 적절한 신호를 보내지는가 기본적 기능이고, 타원궤도를 그리다 보니 각 고도에 따른 다양한 우주환경을 관측할 수 있는 장점들이 있다"고 말했다.

【무안=뉴시스】송창헌 기자 =goodchang@newsis.com

태양이 4개 뜨는 행성이 최초로 발견됐다.

영국 BBC방송은 15일 쌍성계를 도는 행성과 이들을 멀리서 도는

또 다른 두 별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지금까지 2개의 태양을 가진 행성이 발견된 적은 있지만 4개의 태양을 가진 행성이 학계에 보고된 것은 처음이다.

행성추적 웹사이트 플래닛헌터스(planethunters.org)의 아마추어 천문가 2명이 발견한 이 행성은 사이트 이름을 따 PH1으로 명명됐다.

 

↑ PH1(오른쪽 크게 보이는 행성)의 개념도.

PH1은 가운데 있는 한 쌍의 별을 138일 주기로 돌며,

왼쪽에 아주 작게 보이는 2개의 별이 이들 전체를 공전한다.

플래닛헌터스

 

미국 예일대와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이 속한 국제 연구진은 이날 미국 네바다주 리노에서 열린 미국 천문학회 행성과학분과회의에서 아마추어 천문가 카이언 젝과 로버트 갈리아노하와이의 케크 망원경을 이용해 처음 발견한 PH1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보고했다.

지구에서 5,000광년 떨어진 PH1은 가스로 둘러싸인 거대한 별로,

지구보다 6배 크며 해왕성과 비슷한 크기인 것으로 알려졌다.

PH1은 한 쌍의 항성 주위를 138일 주기로 돌며 이 행성으로부터 약 1,000AU(1AU는 지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ㆍ약 1억5,000만㎞) 떨어진 곳에서 또 다른 한 쌍의 별이 이들 전체를 돌고 있다.

따라서 PH1의 하늘에서 보면 4개의 태양이 뜨는 셈이다.

옥스퍼드대의 크리스 린토트 박사는 "PH1의 환경은 4개의 태양이 미치는 중력 작용으로 매우 복잡한 상태지만 안정된 궤도를 돌고 있다"고 말했다.

그 동안 학계에서는 행성이 항성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다는 전제 하에 2개 이상의 태양을 가진 행성도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쌍성계를 도는 행성이 6개 발견됐을 뿐 4개의 항성을 가진 행성이 발견된 적은 없었다.

연구진은 "아마추어 천문가들의 예리한 눈이 없었더라면 이처럼 놀라운 천체 시스템을 고스란히 놓칠 뻔했다"고 말했다.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황수현기자 sooh@hk.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