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지구와 달의 뒷면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 

달의 어두운 부분에 해당되는 '뒷면'은 지구에서 관측이 불가능하다.

심우주기후관측위성(DSCOVR)에 실려 있는 카메라(EPIC)가 지난 7월16일 약 160만㎞ 떨어진 지점에서 지구 앞을 스쳐 지나는 달의 모습을 포착했다. 

지구에서 볼 수 없는 달의 뒷면을 확인할 수 있다. 

촬영 당시 달은 태평양 상공을 지나고 있었다. 

왼편 위쪽으로 북극의 모습도 보인다.

↑ ▲달이 지구 앞을 지나고 있다. 달의 뒷면이 보인다.[사진제공=NASA]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5일(현지 시간) 밝은 지구와 그 앞을 지나가는 달의 이미지를 공개했다. 

달의 뒷면은 구소련 위성 루나3 탐사선이 1959년 처음으로 이미지를 전송하기 전까지 지구에서는 파악할 수 없었다. 

2008년 5월 나사의 딥임팩트 우주선이 약 4980만㎞ 떨어진 지점에서 이번과 비슷한 지구와 달의 모습을 촬영하기도 했다.

이번에 지구와 달의 뒷면을 찍는 데는 지구다색이미징카메라(EPIC)와 망원경의 역할이 컸다. 

EPIC이 자외선에서부터 적외선에 이르는 여러 사진을 찍은 뒤 이를 합성시켰다. 

심우주기후관측 프로젝트 과학자인 아담 자보는 "지구가 달보다 얼마나 더 밝은지를 알 수 있다"며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달 표면과 비교해 보면 어두운 우주에서 밝은 천체에 해당된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명왕성에서 얼어붙은 지표면의 상세한 모습을 담은 사진이 공개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18일 일산화탄소가 얼어붙은 명왕성의 평원을 뉴호라이즌스(Newhorizons) 호가 촬영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파악된 지역은 명왕성에서 발견된 '얼음산'의 북쪽에 위치해 있다.

나사 측은 얼어붙은 지역을 '스푸트니크 평원((Sputnik Plain)'으로 이름 붙였다. 

스푸트니크는 1957년 발사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이다. 

'스푸트니크 평원'은 이른바 명왕성의 '하트모양' 지역의 중앙에 길게 뻗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사 측은 이 '하트모양'의 지역을 '톰보 영역(Tombaugh Regio)'으로 이름 붙인 바 있다. 

톰보는 1930년 명왕성을 발견한 미국의 천문학자이다.

↑ ▲명왕성의 얼어붙은 지표면 '스푸트니크 평원'.[사진제공=NASA]

↑ ▲이른바 '톰보 지역' 중앙에 '스푸트니크 평원'이 위치하고 있다.[사진제공=NASA]

'스푸트니크 평원'은 1억 년도 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고 지금도 여전히 지질 활동으로 형성되고 있을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이번에 촬영된 '스푸트니크 평원'은 뉴호라이즌스 호에 탑재돼 있는 망원카메라인 '로리(LORRI)'가 찍은 것이다. 

이때 뉴호라이즌스 호는 명왕성으로부터 약 7만7000㎞ 떨어져 있었다.

제프 무어 뉴호라이즌스 호 지질물리이미지팀 박사는 "스푸트니크 평원을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며 "방대하고 젊고 분화구가 없는 평원은 우리가 기대했던 이상의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스푸트니크 평원'은 지구에서 땅이 쩍쩍 갈라지는 현상과 비슷해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불규칙적으로 구성돼 있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스푸트니크 평원'의 형성에 대한 정밀 분석 작업에 들어갔다. 

지름이 약 20㎞ 정도인 각각의 형상은 명왕성 지표면이 수축하면서 생긴 결과물일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스푸트니크 평원'에는 길게 늘어선 검은 줄모양도 나타나는데 이는 얼어붙은 지표면에 바람이 불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생명체 조건 갖춘 86개 선정... 


연구 착수 '이 우주에서 지구에 만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엄청난 공간의 낭비다'라는 명언은 '코스모스'의 저자 칼 세이건이 지구 외의 이 우주 어디엔가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 할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한 말이다. 


이 같은 믿음에서 출발한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에 나선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프로젝트가 최근 지적 생명체가 보내는 전파신호 발신 후보 행성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다고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케플러-10 시스템은 3개의 알려진 행성들과 함께 최근 SETI가 전파 신호를 찾고 있는 대상 중


1960년 프랭크 드레이크가 프로그램을 시작한 SETI는 지금까지 약 60여 개의 SETI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SETI 프로젝트에서는 외계 지적 생명체가 보내 오는 전파 신호를 찾기 위해 미국령 프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전파 망원경은 매일 우주로부터 35Gbyte 분량의 전파신호를 수신하고 있다.

현재에도 불사조 프로젝트,SETI@home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SETI가 분석에 착수한 이 후보 행성은 모두 86개로,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찾아낸 행성들이다.

물론 아직까지 찾아낸 전파신호는 없지만, 웨스트버지니아의 그린뱅크 망원경을 사용한 광대역 관측으로 유력한 케플러 천체 대부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압히마트 가우탐에 따르면 이 86개의 별들은 2011년까지 케플러가 발견한 것들로, 

생명체가 서식하기 위한 조건들을 갖추었음직한 행성들을 가지고 있어 선택됐다.


최근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분교 학부를 졸업한 가우탐은 버클리 SETI 연구센터 일원으로 지난 6월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서 열린 224차 여름 회의에 연구 결과를 제출했다.

2011년까지 케플러는 1,235개의 행성 후보들을 발견했다(2014년 12월 31일 현재 그 숫자는 4,183개로 늘어났고, 그중 996개는 행성으로 확인되었다).


앤드류 시미언을 비롯해 버클리 SETI 연구센터의 다른 과학자들과 공동작업한 가우탐은 86개의 후보 행성들을 골라냈는데, 

대체로 표면 온도가 섭씨 영하 50도에서 영상 100도 사이, 크기는 지구 반지름의 3배 이하, 공전 주기는 50일 이상인 행성들이다.


생명체가 출현할 수 있는 최상의 조건을 갖춘 행성 표면이란 적당한 온도에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런 조건들이 바로 모성 둘레의 거주 가능 구역에서 그러한 환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린뱅크 망원경(GBT)은 세계 최대의 완전 가동 전파망원경으로서, 

광대역 전파신호를 사용해 모성들을 발견했다.

이전에 과학자들은 협대역 전파신호를 사용해 케플러 필드에서 모성을 찾았으나 성공하지 못했던 것이다.

별들 사이의 우주공간에는 가스나 먼지 같은 성간물질들이 있어 전파를 분산시키는데, 

그러한 전파 지연은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전파원까지의 거리를 대략적이나마 산정하여 그들과의 교신을 모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광대역 전파는 의도적인 교신에 보다 선호되는 것이기도 하다.

"만약 발달된 외계문명이 있다면 광대역에서 탐색하기가 훨씬 쉽고 효율적인 펄스 신호를 사용할 것" 이라고 가우탐은 설명했다.


SETI 탐사팀은 아직까지 어떠한 외계문명의 신호도 수신하지 못했다.

그들은 탐사 영역 내의 별들 중 1% 미만이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전파망원경보다 60배 이상 강력한 신호를 생산할 수 있을 거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아레시보 행성 레이더는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전파송신기"라고 말하는 가우탐은 "만약 외계 지성체가 존재해서 이 전파를 잡아낸다면 지구의 기술 수준을 충분히 탐지할 만한 단서를 알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이광식 통신원joand999@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