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뉴스데스크] 김명덕기자



<<메스컴에 아나운서들이 잠수부라고 하는데, 특히 MBC !!! >>


잠수부(潛水夫)라는 말은 

일제시대 일본 잔재로 "간호부"나 " 청소부"등은 이미 "간호사" 나 "환경미화원"으로 바뀐지 오랜데, 

사건발생시에는 몰라서 그럴거라고 여겼지만,

사건방생 20일이 넘었는데도 아직도 여러 아나운서들은 

"잠수사' 나 "잠수요원' 또는 "다이버"라는 용어를 모르나 봅니다.....

(모르면 배워서라도 바른말을 쓰는게 국어사랑 아닌지....) 


참고자료: 

제 브로그에서 ┏잠수 이론 메뉴 중에 2004년 6월 27일자 

제목이 잠수부(潛水夫)라는 용어는 맞는 말 인가?(☜크릭하면 바로감)를 참고 하세요..


'이론 잠망경 > ┏ 잠수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빙 테이블 필요성   (0) 2015.02.06
중성부력  (0) 2014.07.11
현 스킨스쿠버강사 자격시험의 문제점   (0) 2014.01.05
감압 모델과 운용   (0) 2013.04.26
잠수사란???  (0) 2012.10.27

현재 스킨스쿠버강사를 직업으로 가지고 계신 강사님들은 대부분이 다양한 경험과 뛰어난 스킬과 열정으로 현업에 종사하시는 강사님 들이 더 많다.

이 글은 일부 초보강사들과 자신들의 교육단체의 저변확대를 위해 무분별하게 강사를 양성해내는 일부 단체들의 문제점을 개인적인 생각으로
기술한 내용이니 오해 없길 바라며 특정단체를 지목하지도 않았다. 

 

사진: 엉터리

 ~~~~~~~~~~~~~~~~~~~~~~~~~~~~~~~~~~~~~~~~~~~~~~~

현재 대부분의 스킨스쿠버 교육 단체의 강사지원 필수 조건으로 만 18세 이상, 다이빙횟수 100회 이상, EFR 자격증 소지자란 사전조건이 뒤 따른다.
또한 강사시험의 평가는 그 강사 시험을 치를 수 있게 가르친 트레이너에 의해 평가된다. 


~~~~~~~~~~~~~~~~~~~~~~~~~~~~~~~~~~~~~~~~~~~~~~~~~ 

만 18세 이상인 자

우리나라 미성년자의 기준은 만 19세에 생일이 지난 후부터 성인으로 간주된다.

즉, 미성년자도 스킨스쿠버 강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자동차 운전면허증도 만 18세부터 취득할 수 있고 주민등록증도 만 17세부터 발급이 되니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스킨스쿠버강사는 본인의 생명 뿐 만 아니라 타인의 생명도 보호해야 하는 무거운 책임을 지고 있는 직책이다.

단순히 강사라는 직업을 가진 순간부터 자신과 교육생의 생명을 책임져야 한다.

이런 무거운 책임을 지는 강사의 자격이 아직 미성년자인 만 18세가 합당한 나이인가?

만 18세이면 현재 고등학교 3학년의 나이이다.

아직 부모의 보호를 받아야 하는 이 나이로 타인의 생명을 보호할 수는 없다.

물론 체격이나 체력으로 만 본다면 성인을 능가할 수 있다고는 보지만...


절대로 다이빙 사고의 책임을 질 수는 없다.

만 18세라는 나이는 아직 학생의 신분으로 스킨스쿠버 강사로 교육생을 지도하기엔 무리가 따르는 나이이다.

하지만 거의 대부분의 스킨스쿠버 교육단체는 앞다투어 국내 최연소 강사라는 타이틀을 만들어 교육단체 이슈화로 주목 받기 위해 아직 어린 학생들을 스킨스쿠버 강사로 만들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다. 
 

다이빙횟수 100회 이상인 자 

스킨스쿠버를 처음 시작한 분들이나 시작한 지 얼마 안된 초보자들에게는 100회라는 숫자는 정말 대단한 숫자처럼 보인다.

과연 그럴까?

100회 물론 적은 횟수는 아니다.

하지만 다이빙 100회의 경험으로 다이빙을 능수 능란하게 할 수 있으며 위급상황 시 자신과 자신의 교육생을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을까?
또한 패닉에 빠진 다이버를 진정시키고 현재 바다의 상태를 보고 다이빙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있을까?

필자는 절대 할 수 없다고 본다.

다이빙 횟수 100회를 채우기 위해서 계산을 해 보았다.
1회 투어 시(토요일,일요일) 평균 4.5회 한 달이면 4주 약 18회 1년이면 216회를 할 수 있다.
물론 1년 동안 매주 다이빙 투어를 진행한다는 기준이다.
즉 1년도 안돼서 강사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생긴다는 것이다.
하지만 위와 같이 다이빙 투어를 진행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위 계산에서 50%를 줄이면 1년이면 약 108회의 다이빙 경험을 쌓을 수 있다.

(그래도 대단한 열정이다.)

물론 중간중간에 실내수영장에도 가도 다이빙 횟수를 1회 늘릴 수 있고 바닷가에서 공기탱크를 50%씩 나누어 써서 1회를 늘릴 수 있다.
해외 투어 가서 하루에 7~8회씩 다이빙을 하면서 횟수를 늘릴 수도 있다.
필자의 주위엔 강사시험을 치르기 위한 최소 조건인 100회를 만들기 위해 며칠씩 수영장에서 살면서 횟수를 늘리는 강사후보생도 보았다.

이런 식으로 100회의 숫자 맞추기로 합격한 강사가 나중에 자신의 교육생에게 무슨 다이빙경험을 말해 줄 것이며, 수중에서 본 물고기의 이름을 물어 보는 교육생들에게 자신있게 물고기의 이름을 말해줄 수 있을까?

또한 스킨스쿠버를 한번도 해보지 않은 사람이 동남아에 1~2개월 머물면서 강사 자격증을 따오는 경우도 많이 보았다.
과연 가능한 일일까?

물론 가능하다.

다이빙 횟수를 100회만 채우면 되니까..

국내의 찬 바닷물엔 한번도 들어가보지 않아도, 드라이슈트가 무엇에 쓰는 물건인지 몰라도 가능하다.

이런 강사들이 과연 국내에서 다이빙 투어를 진행할 수 있을까?

자신의 교육생이 현재의 기온에 어떤 슈트를 입어야 할지 선택해 줄 수 있으며 한여름 수중에서 벌벌 떨었다는 말을 이해할 수 있을까?

물론 해외에서만 다이빙 횟수 100회로 강사가 된 모든 분들이 문제가 있다는 건 아니다.

위와 같이 강사가 된 후에도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의 개발에 게을리 하는 일부 강사들이 문제다. 
 

EFR 자격증 소지자

EFR(Emergency First Response) 심폐소생술과 응급처치를 배울 수 있는 자격증으로 다이빙 뿐 만 아니라 실 생활에서도 꼭 알아두어야 할 귀중한 스킬이다.

하지만 이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 자신의 강사가 자신에게 어떤 실습을 시켜 주었을까?
이 자격은 한번 배웠다고 끝나는 기술이 아니다.

수 차례 반복적으로 익혀야 하며 변경된 내용을 숙지해서 완전히 자기의 것으로 익히지 않으면 위급상황 시 대처할 수 없다.

필자의 주위엔 본인이 EFR 강사이면서도 실제 교통사고에서 심폐소생술을 시도도 못해 봤다는 강사를 보았다.

그 EFR 강사의 탓일까?

필자는 아니라고 본다.

그 EFR 강사가 EFR 자격증을 받고 EFR 강사 자격증을 받을 때 까지 그 강사를 가르친 트레이너에게 책임이 있다고 본다.

하루에 2~3시간 교육하고 자격증 하나 던져주고 교육 끝 외치는 그 강사 트레이너가 문제이다.

EFR 자격증은 물론 몇 시간 교육으로 취득할 수 있다.

하지만 교육이 끝나고 나서도 새로운 정보와 시간이 지나 그 기술을 잊어 버렸을 수도 있는 부분을 미리 파악해 1년에 한번 이라도 무료 재교육을 해주는 강사나 트레이너 분들이 있을까?

물론 책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본인이 혼자 예전에 배웠던 부분을 상기해 낼 수도 있다.

이런 부분을 놓친 본인의 책임도 있다.

하지만 1~2시간 1~2회 실습으로 이 기술을 완벽하게 익히기엔 부족하다.

강사나 트레이너들은 이미 교육을 받은 교육생을 위해 1년에 한번씩 바뀐 정보와 기술을 새롭게 알려 주는 시간을 가지면 어떨까 한다. 
 

자신이 가르친 강사후보생을 평가하는 트레이너

전부 그렇지는 않지만 일부 단체들은 강사 후보생을 가르친 강사 트레이너가 그 강사 후보생을 평가한다. 즉, 자신이 가르치고 자신이 평가한다는 말이다.

이 부분에 공정성이 들어갈 수 있을까?

그 강사 트레이너는 강사 후보생들에게 100~300만원의 교육비를 받는다.

물론 교제가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이 안될 수도 있다.(단체에 따라 다르므로)

이 교육비를 받고 학생을 떨어뜨릴 수 있을까?

물론 어렵다고 본다.
자신이 받은 교육비가 있는데 어떻게 떨어뜨릴까?

말도 않되는 실력이 아니라면 합격시켜 줄 것이다.

“항간에 떠도는 말로는 100만원이면 강사자격증을 주네” “시험 없이 입금만 되면 강사자격증 주네” 하는 말이 떠돈다.

사실인지 아닌지는 확인해 보진 않았다.
한술 더 떠 바다 한번 가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합격을 시켜 주겠다는 말을 들은 적도 있다. 


사진: 엉터리

 

필자도 모 단체의 강사이다.

적지 않은 돈을 주고 강사시험을 응시했고 합격했다.
필자는 다이빙강사 시험을 응시 할 때 32살이었고, 다이빙횟수는 약 170 여 회였으며, 물론  EFR 자격증도 소지하고 있었다.

다이빙강사의 최소 필수 조건 자격은 다 갖추었다.
하지만 강사시험에 합격하고 2~3회 교육생을 지도하면서 내가 정말 부족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재미있게 교육을 진행하지도 못하고 풍부한 경험으로 교육생에게 내 다이빙 경력을 자랑하지도 못했다.

이런 식으로 교육 진행하면서 교육생에게 교육비를 받을 수 없었다.
공짜로 해줘도 될 만한 교육이었다.
나에게 교육할 경험을 줘서 고맙다는 말을 하고 싶을 정도였다.

현재 필자는 다이빙 교육을 하지 않는다.

강사시험을 응시하기 전으로 돌아가 다이빙 횟수와 경험을 늘리고 나름 공부도 하고 있다.
내 자신이 강사자격이 된다고 인정되면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물론 모든 다이빙 강사가 문제가 있는 건 절대 아니다.

일부 초보강사들이 문제라고 본다.

강사가 되고 강사로서 대접을 받으려면 본인이 스스로 노력해야 하고 공부해야 한다.

 

강사(講師) 익힐 강, 스승 사 즉 가르쳐주는 사람이라는 뜻이 되겠다.
강사님들은 교육생을 돈으로만 보지 말고, 교육생이 진심으로 존경하고 따를 수 있게 모범이 되어 주시길 진심으로 바란다.


[출처] 현 스킨스쿠버강사 시험의 문제점 [작성자] 리오

'이론 잠망경 > ┏ 잠수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성부력  (0) 2014.07.11
잠수규정 어기며 '목숨 건 잠수'  (0) 2014.05.06
감압 모델과 운용   (0) 2013.04.26
잠수사란???  (0) 2012.10.27
압력평형(Equalizing)  (0) 2012.10.11

1. 감압 모델의 개발

 

스코틀랜드 출신의 생리학자 John Scott Haldane은 염소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최초의 감압 이론을 개발했다.

 

그는 신체의 다양한 조직이 예측 가능한 수학적 관계 속에서 질소를 흡수·배출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가상적 조직 속의 질소량을 탐지하여 감압 모델을 구성했다.

 

Haldane의 감압 모델에는 5 가지의 조직이 사용되었다.

이 감압 모델이 전통적으로 사용되다가 1950년대 후반에 미해군이 새로운 감압 모델을 개발할 때는 6가지의 조직이 사용되었고, 현대의 다이브 컴퓨터에는 6-12 가지의 조직이 사용되고 있다.

 

 

2. 질소 흡수량과 Half time


만약 당신이 오랫동안 다이빙을 하지 않으면 모든 조직의 질소 흡수량은 '0'이다.

물론 인간은 1기압 속에서 살고 있으므로 이론적으로는 1기압의 질소 흡수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감압 이론에서는 이것을 '0'으로 취급하며 질소의 흡수는 다이빙 중에만 발생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여러분은 지난 호를 통해서 조직의 질소 흡수는 Half time이 한 번씩 반복될 때마다 1/2씩 증가한다는 것과 흡수량을 해수의 압력 단위인 fsw[fsw=feet of sea water]로 표시한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러면 당신이 100ft로 다이빙했을 때 조직의 질소 흡수는 어떻게 될까?

 

이것을 [표1]을 통해 살펴보자.

[표1]은 5-Half time 조직의 질소 흡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조직은 5분 후에 50fsw[100fsw의 1/2]의 질소가 축적되고, 10분 후에는 다시 25fswt[50fswt의 1/2]가 흡수되어 75fsw가 된다.

 

이와 같이 5-Half time 조직은 5분마다 나머지의 1/2씩의 질소를 흡수하는 것이다.

이와 동일한 상황에 있는 120-Half time조직은 2시간마다 동일한 결과가 생길 것이다.

 


3. 허용 최대 질소량과 무감압 한계[NDL]


John Scott Haldane이 감압 이론을 최초로 개발했지만 그것은 완전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서로 다른 조직이 질소 흡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믿었지만, 현대의 많은 생리학자들은 이에 대해 의문을 품고 있다.

또한 그는 다이버에게서 DCS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다이버의 몸 속에 기포가 생기지 않는다는 가설과 질소의 흡수와 배출은 남녀노소나 체력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은 가설을 바탕으로 그의 모델을 구성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DCS의 증상이 없어도 기포가 형성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개인의 생리학적 변화에 맞는, 다시 말해서 개인차를 적용할 수 있는 감압 이론의 개발은 불가능하다는 것도 알려졌다.


이러한 연구의 축적에 의해서, 현대의 감압 이론은 John Scott Haldane의 이론을 엄격한 과학적 실험으로써 재평가하여 기포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응용하고 있다.


[표2]는 Haldane 모델의 설명도이다.

 

긴 막대는 조직을 나타내며 그 밑에 Half time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항의 높이는 그 조직에 허용된 최대 질소량을 표시한다.

이를 통해 5-Half time 조직의 허용 최대 질소량은 90fsw이고 Half time이 길어질수록 허용 최대 질소량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0-Half time 조직은 허용 최대 질소량이 20fsw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값들은 무감압 한계의 근거가 된다.

미해군의 경우에는 120-Half time 조직의 허용 최대 질소량은 30fsw이다.

그리고 그보다 얕은 수심에 대한 다이빙 시간은 무제한이다.

왜 무제한이 되는가?

질소의 흡수는 다이버의 최대 수심을 초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약 최대 수심이 모든 조직의 최대 질소량보다 작으면 완전 포화가 허용된다.

이런 점에서 허용 최대 질소량은 상승을 묵인해도 되는 최대 수심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무제한 다이빙은 허용 최대 질소량이 가장 작은 수심에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표2]를 보면 120-Half time 조직의 허용 최대 질소량이 약 20fsw이므로 이보다 얕은 수심에서 하는 다이빙의 시간은 무제한이 된다.

최신의 다이브 컴퓨터 중에는 30ft보다 얕은 수심에서도 다비빙 시간을 예민하게 제한하는 것이 있지만, 일반적인 다이빙 현상을 고려할 때, 이러한 기능은 중요하다고 볼 수 없다.

 


4. 감압 이론의 운용


이제부터는 감압 모델의 구성을 살펴보도록 하자.

 

[표3]은 당신이 120ft로 하강했을 때의 각 조직의 질소 축적을 나타낸다.

표의 왼쪽에 있는 검은 기둥은 수심 기둥을 표시한다.

당신이 120ft에 도달하여 다이빙을 즐기면서 시간을 보내게 되면 최대값을 갖는 5-Half time 조직이 가장 빨리 채워지고 120-Half time 조직은 최저값을 가지므로 가장 늦게 채워질 것이다.

그러나 스포츠 다이버는 어떤 조직이라도 최대 질소량을 초과하기 전에 반드시 다이빙을 끝내야 한다.

이 원칙을 [표3]에 적용하면 조직의 최대 질소량은 120fsw보다 적어야 하기 때문에 빗금친 부분은 허용할 수 없는 질소량[unallowable nitrogen loading]이 된다.

그러므로 어떤 조직이 이 부분에 속하게 되면 NDL을 초과하게 되므로 상승 전에 반드시 감압 정지[decompression stop]을 해야 한다.

이것은 다이버의 권고 사항인 5m에서의 안전 정지[safety stop]와는 다른 것으로 안전한 출수를 위해서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 필수 과정이 된다.


[표4]는 120ft에서 10분 동안 다이빙을 계속했을 때의 상황을 나타낸다.

각 조직에는 질소가 축적되는데 5-Half time 조직에 가장 빨리 그리고 가장 많은 질소가 축적됨을 알 수 있다.

[표5]를 보면 5-Half time 조직이 NDL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5-Half time 조직이 가장 먼저 허용 최대 질소량에 도달하였으므로, 5-Half time 조직이 다이빙을 통제하게 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120ft이상의 수심에서는 5-Half time 조직이 다이빙을 통제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나머지 조직들은 다른 수심에서 그러한 작용을 하게 된다.

 

 

80ft 다이빙을 나타내는 [표6]은 새로운 사실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수심 기둥이 5-Half time 조직의 허용 최대 질소량보다 작다.

이것은 80ft에서 다이빙을 하면 아무리 오래 있어도 5-Half time 조직은 결코 그 한계에 도달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이 수심에서는 10-Half time 조직이 가장 빨리 한계에 도달하지만,

[표7]을 통하여 20-Half time 조직이 한계에 가장 먼저 도달하여 80ft의 다이빙 시간을 통제함을 볼 수 있다.

 

이제 여러분들은 감압 모델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개략적으로 알았을 것이다.

위에서 살펴 본 것과 같이 조직의 질소 축적을 수심에 따라 계산해 내면 하나의 감압 모델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인식해야 할 것은 감압 모델이 수심별 허용 최대 질소량과 수심별 다이빙 통제 조직을 가정해서 수학적으로 계산해 낸 가상의 원리라는 점이다.
현대에는 전자 공학과 컴퓨터의 발달로 우수한 기능을 갖춘 다이브 컴퓨터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다이빙의 안전성을 높여주는 것이지 다이빙의 절대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다.

다이버는 이점을 분명히 인식하여 컴퓨터를 오용하거나 남용하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출처: http://blog.daum.net/essekr/32  글쓴이: LexyDive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