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엉터리)
비교적 깊은 수심을 타게되는 딥다이빙의 경우에는 우리가 마시게 되는 고압의 기체로 인해서 호흡기와 순환기를 통해 이 기체들이 혈액에 용해되어 신경조직에 이상 현상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것을 질소마취, 기체마취, 도취적인 마취현상이라고 하는데
"심해의 황홀경"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행복감이나, 좋은 기분을 느끼게도 하고, 또 비교적 간단한 수학에서 헤매거나, 문제를 푸는 시간이 느려지거나, 행동이 어눌해지는 등의 여러가지 현상이 나타날 수가 있습니다.
이런 형상을 다이버들은 "질소마취"라고들 하는데,
그 이유는 질소가 주된 범인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다이버들이 사용하고 있는 알곤,헬륨,산소 뿐 아니라 우리가 배출하거나 공기통 브랜딩 과정에서 혼입된 이산화탄소 등도 질소와 동등하게 또는 질소보다 더 (이론적으로) 마취현상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들이 직접적으로 마취현상을 오게 하거나 마취가 되는 과정에서 질소와 상호작용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하지만 각 기체마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같지가 않기에 "기체마취"가 더 정확한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질소마취의 경우 공기나 나이트록스(공기보다는 덜 느낄 수 있다)로 호흡 할 때의 경우에 우리가 하강하면서 질소부분압이 증가함으로써 기체마취 가능성은 점점 높아 가는데...
신체적조건에 따라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민감한 사람인 경우에는 30미터에서부터 이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수심이 깊어 질수록 더욱 증가하여 수심 55미터( 이론적 수치 )에 이르게 되면 대부분의 다이버들은
도취와 행복감을 의식적으로 느낄 수 있을 정도가 되기도 합니다.
그동안 생리학자들이 많은 실험과 경험을 통해서 보고 된 바로는 이런 질소마취의 경우 다이버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큰데,
행복감 뿐 만 아니라 집중력이 떨어지고, 시각력,청각력도 현저히 저하되며, 심하면 현기증과 환각증상이나 망상등과 우울증까지 올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마취현상 그 자체로는 신체에 미치는 위험성을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증상들은 수면에 가까워지면서 그 증상들이 사라지기 때문이며,
그 후유증도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다만 그 증상으로 인한 수중에서 이상 행동을 하게 되는게 문제인 것 입니다.
예를 들자면 갑갑하다고 무의식적으로 호흡기를 버릴 수도 있고, 마스크를 벗어 버릴 수도 있으며,
중성부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마냥 깊은 수심으로 내려 가거나,급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죠...
마취증상은 주로 알콜의 증상과 비교되는데,
"마티니법칙"이라고 해서,
수심 30미터에서 인체에 미치는 기체현상은 마티니를 한잔 마시는 것과 같으며,
매 15미터 마다 마티니를 한잔씩 더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그렇다면 기체마취의 원인의 무엇인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불활성 기체를 포함한 거의 모든 기체들은 높은 부분압 하에서는 마취현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화학자들은 우리가 호흡하는 질소가 인체 내에서 화학적 반응을 하여 새로운 물질(단백질이나 호르몬,효소등..)을 만들어내지 않기 때문에 질소 기체를 불활성기체라고 합니다.
하지만 생리적으로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은 질소는 완전한 불활성기체가 아니기 때문이거나, 불활성이라는 말이 "아무런 증상이 없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일 것 입니다..
예를 들어 질소가 다이빙 중 우리 조직 내로 용해가 되었을 때 상승시에 너무 빨리 상승하게 되면 미쳐 빠져나가지 못한 질소가 기포를 형성하여 감압병을 일으킬 수 있으며,
뇌세포 안에 용해된 활성 및 불활성 기체들은 마취제로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다이빙 중 얻는 마취는 다른 마취적 기체인 이산화질소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산화질소는 대기압에서 마취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흔히 수술 마취용, 특히 치과에서 마취용으로 사용되는데,
농도가 높은면 이 기체는 행복감, 도취감 그리고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의식 상실을 야기시키게 됩니다.
이 효과들은 압력과 관계가 있는데,
압력을 두배로 높이면 이 현상 역시 약 두배가 됩니다.
그리고 기체의 마취 효과는 지방질에서는 얼마나 잘 용해되는지 용해성과 거의 비례합니다.
질소를 기준으로 한 제시된 이론적인 가이드라인을 보면,
헬륨은 질소의 5분의 1, 이산화탄소는 20배, 산소는 1.6배 정도가 질소보다 마취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증명하기 위한 인체 실험 결과는 이렇게 간단히 마취효과를 측정할 수 없다고 합니다.
그 이유 중에 산소를 예로 들자면
딥 다이빙 실험 (91미터) 4%산소 /96% 질소믹스가 공기보다 더 마취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데,
이는 산소는 질소에 비해 높은 지방질 용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예상한 결과와는 또 다른 현상을 보여 주게 되므로 정확한 측정을 할 수 가 없게 됩니다.
고로 이 의미는 산소에 의해 산소독성을 야기시키게 되는거죠..
그래서, 나이트록스는 산소 부분압을 1.4ata나 1.6ata로 하게 되는것이기도 한 것이구요..
또 어떤 실험결과에서는 질소보다 이산화탄소가 약 10배나 더 마취적이라고도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마취현상에 기여하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개인차가 있지만 (사실 그렇게 크지는 않지만..) 일정한 수심에서 시야가 좋고 나쁨에 따라 ,또 수온이 따뜻하고 찬 경우에 따라 악조건에서 보다 더 마취현상을 느끼는 것도 보고 되고 있고,
또 약을 복용하였을때 질소와 산소의 마취효과는 약물과의 상호작용 그 증상은 더해 질 수 있습니다.
물론 진정제인 발륨(신경안정제)을 복용하고 술까지 마시게 된다면,그것처럼 위험한 것은 없을 겁니다.
이와 같이 기체마취와 술, 신경안정제, 진정수면제, 수면제등이 포함된다면 마취현상은 더욱 심회 될 것 입니다..
그러므로 레크레이션을 위한 다이빙의 한계수심을 40미터로 정한게 된 이유도 이런 마취현상을 줄이기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물론 다이버의 등급에 따라 수심이 나뉘어져있지만,
불과 18미터에서도 이러한 마취현상이 나타나는 다이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마취현상도 반복적인 트레이닝을 하게 되면 내성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적응하기 위해서는 엔리치드에어(나이트록스)를 사용하여서 질소마취의 현상을 줄이거나,
또는 점차적으로 깊은 수심으로 내려가는 경험과 훈련을 통해서 해결 할 수도 있습니다.
(나이트록스에 의한 산소중독 한계수심도 트레이닝에 의한 내성으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딮다이빙을 전문으로 하는 테크니컬 다이빙에서는 기체를 믹스해서 대체할 수도 있는데...
흔히 헬륨과 산소, 그리고 질소 이 세가지를 믹싱한다고 해서 "트라이믹스"라고 하는 혼합기체를 사용하기 됩니다.
이 트라이믹스는 인체에 용해도가 낮은 헬륨가스를 사용함으로서 마취현상을 상당히 줄여 주게 됩니다.
그래서 좀 더 깊은 수심으로 내려가고 싶은 다이버나 마취가 심한 사람들은 트라이믹스를 관심을 많이 갖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또 다이빙을 함에 있어서 버디 씨스템으로 진행해야 하는 이유 중에 하나도 이 때문이기도 합니다.
만일 내 자신이 버디와 다르게 유독 빠르게 마취현상이 생겼을 때( 버디가 서로 인체조건이 비슷하다고 해도 질소마취가 오는 것은 분명 시간 차로 오게 될 것 입니다.) 스스로 그것을 알아 차리고 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수심까지 올라와야 하는데...
스스로 상승하기는 조금의 무리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즉 버디의 도움을 받는게 최선일 수도 있다는 겁니다..
고로 평상시에도 자신의 버디와 혹은 버디가 아니라도 같이 자주 다이빙 하는 분들과 다이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때..
" 나는 웨이트를 몇 킬로차는데 좀 무거운것 같애" 또는," 내 bcd를 덤프 밸브가 없어..!!" ,"감기증상이 있는것같애~~","어제 먹은 술이 덜 깬 것 같아요.." 라든가.... "난 몇 미터 이상을 내려갈 때는 조금 어지러운 것 같애 "....라는 이야기등을 버디에게 해 주므로서 함께 다이빙 할 때 자신의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출처: 팔라우다이빙 글쓴이: 폴
'이론 잠망경 > ┃ 잠수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압병 (Decompression Sickness) (0) | 2016.05.12 |
---|---|
"심폐소생술, 일반인은 인공호흡보다 가슴압박이 더 효과" (0) | 2015.11.28 |
네오프렌 알레르기 란? (0) | 2014.10.17 |
저체온증이란? (0) | 2014.04.30 |
메이어-오버튼 가설(Meyer-Overton Hypothesis) (0) | 201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