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에서 축구나 농구 경기를 보다 보면 선수 중 한명이 허벅지나 종아리를 당기며 괴로워하는 표정으로 경기장에 쓰러져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이 종종 비친다.

근육에 경련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럴 때 여러 명의 스태프들이 달려 들어가 경련을 풀어주는 모습을 보았을 것이다.

 

만약에 이러한 현상이 수중에서 발생한다면 어떻게 될까?

불행하게도 이러한 현상은 수중에서 유영 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여러분들은 수중에서 근육경련(쥐)을 경험해 보았는가?

필자는 바다에서 유영 중에 다리에 경련이 유발되어 당황했던 기억이 있다.

수면으로 상승을 해야 하나 고민을 하고 있었으나 다행히도 옆에 계신 강사님의 도움으로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고 다이빙을 계속 할 수가 있었다.

여러분들이 물속에서 이러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오늘은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과 예방법 그리고 대처방안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려한다.

 

근육경련이란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균형이 깨져 수축만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경련 시에는 심한 통증과 마비 증상을 동반한 뻐근한 느낌을 경험하게 된다.

 

어떤 경우에 이러한 상황이 연출되는가 하면

첫째, 입수하기 전에 충분한 준비 운동이 부족한 경우,

두 번째는 충분한 근육풀기 준비가 있었어도 수중에서 과도한 발차기로 인해 순간적으로 근육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균형이 깨져버려 과도한 수축 지속상태에 놓이게 되는 경우이다.

두 가지 모두 생리적인 메커니즘은 똑 같다.

 

근육의 수축과 이완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근육은 수많은 근섬유들의 집합체이며 근섬유에는 액틴과 미오신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있다.

이 두 가지 섬유에 칼슘이온(Ca+)과 인산(phosphate) 그리고 아데노신 삼인산(adenosine triphosphate), 줄여서 ATP의 상호작용으로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게 만든다.

이 과정에는 칼슘이온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경련 시에는 이런 상호작용이 깨지면서 수축된 근육이 이완불능 상태로 지속된다.

소위 말하는 쥐났다는 표현을 과학적으로 기술한 것이다.

 

그렇다면 다이버들이 바다에서 이러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것은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이다.

여러분이 이러한 상황을 수차례 경험한 숙련된 다이버가 아니라면 더욱이 그러하다.

우선 버디에게 신호를 보내어 자신의 상태를 알리고 수심이 깊지 않고 바닥이 보이면 바닥으로 내려가 편하게 양팔로 바닥을 집고 앉는다.

버디는 상대 발목을 잡고, 상대방 방향으로 힘 있게 눌러준다.

만약에 바닥이 보이지 않는 절벽이라면 적당히 잡을 곳을 찾아 절벽에 등을 대고 다리를 뻗고 버디는 같은 방법으로 눌러 주면 되겠다.

만약에 도와줄 숙련된 버디가 없다면 혼자서 같은 방법으로 해야 될 것이나 쉬운 일은 아니다.

그래서 버디 없이 나 홀로 다이빙은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요한 건 경련이 일어난 부위의 근육을 펴주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허벅지 뒤쪽이라면 발목과 무릎을 잡고 배 쪽으로 힘껏 밀어주며 정강이 뒤쪽 장단지라면 역시 발가락 쪽과 발목을 잡고 배 쪽으로 힘껏 눌러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대부분의 증상은 사리진다.

 

만약에 경련이 너무 심하여 다이빙을 더 이상 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버디들과 함께 안전하게 상승하여 물 밖에서 근육을 풀어주고 휴식을 취한다.

이때 이온음료를 마시면 도움이 된다.

이러한 처치에도 불구하고 경련이 지속된다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여 항경련제나 근이완제를 정맥 내 또는 근육 내 주사를 하고 칼슘이 포함된 수액치료를 충분히 해주면 증상은 사라질 것이다.

 

사실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으로 근력을 향상 시키게 된다면 쉽게 경련이 오는 일은 없을 것이다.

이와 함께 지속적인 다이빙 기술의 연마로 물속에서 본인 스스로의 안전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당장 내일이라도 수영장에 가서 이러한 상황을 설정하고 연습해 보는 것이 어떠할까?

오늘도 여러분의 안전다이빙을 기대하며 마침표를 찍을까 한다.

 

박건욱의 메디컬 다이빙스토리 - 박건욱

사진: 엉터리

 

 

<< 다이버에게 해로운 생물들 >>


해양에는 독이 있는 생물이 많다.

콘쉘과 같이 먹이를 얻기 위하여 머리 쪽에 독을 품고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해양 생물과 가오리와 같이 단순히 자신을 방어하기 위하여 독을 꼬리 쪽에 갖고 있는 것들이 있다.

수중에 사는 생물들은 결코 공격적이 아니며, 다이버가 먼저 건드리거나 흥분시키지 않으면 절대 해를 끼치지 않는다.

 

독이 있는 해양 생물은 느릿느릿 다니거나 바닥에 붙어서 살아간다.
그래서 다이버는 수중에서 예쁘게 생겼거나, 재미있게 생긴 것들, 도망가지 않는 생물 들을 가까이 하거나 건드리지 말아야 한다는 원칙을 알고 있어야 한다.

독있는 생물들은 일반적으로 화려하고 현란한 몸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도망가지 않는 생물은 대체로 공격적인 무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 해양 생물의 독과 인체의 반응 >

 

1.해양 생물의 독

해양 생물의 독은 효소라 부르는 단백질 분자와 펩타이드(peptides)라 부르는 아미노산의 화합물이며 불안정성이다.

효소는 모든 생물체에 있으며 세포의 생화학 작용을 통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인체에 독성이 강한 해양생물의 독이 주입되면 인체효소의 통제능력에 혼란이 오게 되어 호흡, 신경계, 순환기계에 영향을 미쳐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인체의 반응 독성물질이 인체에 주입되면 알레르기 반응, 독성 반응이 일어나는데,

즉, 혈관 확장, 평활근 수축 등 항히스타민 효과가 전신에 나타난다.

히스타민은 모세혈관을 포함하여 작은 혈관 계통을 팽창시키는 작용을 하여 열이 나고 부어 오르고 붉게 변색되며 통증이 따른다.

 

2.독이 있는 어류들...

쏠베감팽, 독가시치, 쏠종개, 스톤 피쉬(Stone Fish), 스콜피온 피쉬(Scorpion Fish) , 쑤기미류, 쑥감팽, 벌감팽, 말락쏠치, 얼룩 통구멍, 독침 가오리 등

 

3.독 있는 가시의 어류에 찔렸을 때 처치

상처를 데이지 않을 정도의 뜨거운 물에 30 ∼60분 정도 담그면 독성이 약화된다.

통증이 재발하면 다시 담근다.

 

4. 찔리지 않기 위한 예방법

쏘는 종류의 어류들은 몸의 생김새가 화려하며 도망가지 않으므로 잘 모르는 어류를 맨손으로 건드리지 않는다.

위험한 산호들 살을 베일 수 있는 산호 딱딱한 종류의 산호는 면도날처럼 예리하여 상처받기 쉬운데 사슴뿔 산호는 예리한 돌기들이 표면을 덮고 있어서 만지면 살 속 깊숙히 박힌다.

 

5. 찔렸을때 치료법

박힌 산호를 빼내고 비눗물로 닦고 항생제 연고를 바른다.

쏘는 산호류 불산호(Fire Coral), 자산호(Stinging Coral)는 수 많은 히드라 충류의 개체가 조직적으로 결합한 히드라 산호로서 군체에는 구멍이 나 있고 무수한 실 모양의 폴립이 들어 있는데,

폴립의 쏘는 세포에 찔리면 수 많은 네마토시스트 (Nematocyst)를 주입하게 되어 불에 덴 것처럼 화끈거리고 통증이 심하다.

 

6.강장 동물에 쏘였을 때 처치

*물로 씻거나 문지르면 네마토시스트의 독침 캡슐을 자극하여 더 많은 독침의 발사를 유도한다.

*식초에 담그면 자세포를 붕괴시켜서 독성 가시의 발사 기능을 마비시킨다.

*핀셋으로 독침을 조심스레 떼어낸다

*식육 연화제를 사용하면 인체의 피부도 연화되어 발진 등의 후유증이 생긴다

*오줌을 적시는 것도 중화제의 효과가 있다.

*하이드로코티숀 성분의 연고를 바른다.

 

출처: http://skin-scuba.com/education/ill/doc.html  글쓴이: DOLPHS

 

 

질문:

종류를 잘 모르는 성게 가시에 찔려서 상처가 났습니다.

상처 부위에 붉게 반점이 나타나고, 붓기는 했지만 다행히도 통증은 거의 없었고, 감염도 없었습니다.

 

성게에 찔렸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DAN의 답변:

성게 가시에 찔리는 일은 흔하게 일어납니다.

성게가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다이버가 성게를 건드리는 것이죠.

성게에 찔렸을 때는 10군데가 넘게 한꺼번에 찔리기도 합니다.

상처 부위는 매우 고통스럽고, 피부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지만 치명적인 것은 아닙니다.

일부 성게들은 매우 긴 가시를 가지고 있어서 더욱 피부 깊숙이 뚫고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부상을 예방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성게들이 위험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미리 주의해야 합니다.

성게들은 암초의 바닥이나 구멍 속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곳을 손바닥으로 짚지 않도록 합니다.

 

처치법은 먼저 피부를 뚫고 들어간 성게 가시를 족집게로 뽑아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성게 가시는 부서지기 쉬운 것이라 보통 피부를 뚫고 들어가면서 끊어지기 때문에 이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하루에 몇 번 정도 엡솜 염(Epsom salts)을 푼 매우 따뜻한 물에 감염된 피부를 담그면 통증을 완화시키고, 피부가 부드러워집니다.

(참고: 엡솜 염은 영국에서 채광된 암염으로 해외에서는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황산마그네슘 성분이 많아 오랫동안 사용되었던 것인데 국내에서는 최근 피부 미용과 치료 목적으로 수입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남은 가시 부스러기는 소독한 바늘로 파낼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만, 저절로 녹거나 밀려 나오기도 합니다.

황산마그네슘 연고(Magnoplasm)가 성게 가시 조각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감염된 부위를 잘 씻어서 말린 다음에 항생제 연고나 살균소독제 베타딘을 발라주면 됩니다.

필요한 경우 진통제를 사용하면 통증이 감소됩니다.

감염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항생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출처:

DAN 아시아퍼시픽

 

답변자: 

존 파커(John Parker)

잠수의학박사

DAN 아시아-퍼시픽의 수석 잠수의학 자문의원, 

'이론 잠망경 > ┃ 잠수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중에서의 복병 근육경련(쥐)  (0) 2012.08.15
다이버에게 해로운 생물들....  (0) 2012.07.19
암과 다이빙  (0) 2012.06.22
해파리에 쏘였을때...  (0) 2012.06.09
다이빙 중에 구토   (0) 2012.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