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을 어둡게 또는 밝게 해 보자!
F 9.0, 1/2000, ISO 400, 플래시사용(E-TTL), M-모드
1/2000초의 빠른 셔터속도로 인해 뒷배경은 어두워졌습니다.
주피사체인 탁상용달력은 플래시가 주어진 촬영조건에 적합한 광량으로 조사해 준 것을 알수 있습니다
F 9.0, 1/10, ISO 400, 플래시사용(E-TTL), M-모드
1/10초의 느린 셔터속도로 인해 뒷배경이 밝아졌습니다.
첫번째 사진과 마찬가지로 주피사체인 탁상용달력은 플래시가 주어진 촬영조건에 적합한 광량으로 조사해준것을 알수 있습니다.
두번째 사진은 내장노출계가 지시하는 적정노출의 셔터스피드입니다.
하지만 1/10초란 느린셔터속도로 촬영을 하다보니 촬영시 다소 흔들렸습니다.
F9.0 이란 동일한 조리개값에
셔터속도는 1/2000초, 1/200초, 1/50초, 1/10초로 변화를 주었을때의 촬영결과입니다.
F9.0일때 적정노출을 맞추기 위해서는 1/10초였습니다.
동일한 촬영조건 ( F9.0, 1/50초)에서 플래시를 사용한 사진과 사용하지 않은 사진
왼쪽 : 플래시를 사용하여 주피사체를 조광한 사진
오른쪽 :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은 사진으로 주피사체가 어둡게 나왔다.
광각촬영의 기본적인 촬영방법이라 할 수 있다.
육상사진 중에 주로 꽃사진이나 제품광고 사진들 또는 모델 사진들(특히 누드)을 보다 보면 눈에 확 띄는 사진들이 있습니다.
눈에 띄는 사진들 중에 꽃,제품,사람은 제색깔을 내고 있는데,
뒷배경은 까맣거나 아주 어둡게 된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런 촬영을 할때 뒷배경을 날린다란 표현을 많이 씁니다.
굳이 해석하자면 배경이 되는 부분의 명암을 어둡게 한다라고 표현하면 될 것 같습니다.
주제의 부각을 위해서 쓰는 방법 중에 피사계심도를 이용해서
주피사체는 선명하게 하고 뒷배경은 흐릿하게 하는 방법이 많이 쓰입니다.
비교적 간단한 방법이죠.
그리고 지금 설명하는 것처럼 배경의 명암의 조절하여 주제를 부각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사람의 눈은 밝은것에서 어두운곳으로, 큰것에서 작은것으로, 선명한 것에서 흐릿한것으로 눈이 먼저 가게 됩니다.
즉 밝은 부분, 큰것,선명한 것에 시선이 먼저 가는 것이죠.
그래서 사진작가들은 이런 것들을 이용해 사진을 보는 사람이 사진에 빠져 들게 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촬영팁을 설명하기 위해 제가 올린 사진들은 그냥 심심풀이 삼아 찍어 본 것 입니다.
따라서 작품성이나 가치는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배경을 어둡게 한 경우 달력에 눈이 먼저 간다는 것이죠.
그럼 뒷배경을 어둡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 봅시다.
위 사진에서 첫번째 사진과 두번째 사진은 동일한 조리개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f 9.0입니다.
하지만 셔터속도는 1/2000초와 1/10초로 엄청난 차이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주 쓰는 수도꼭지 이론으로 설명해 보면....
똑같은 직경을 가진 수도꼭지를 통해 물이 나온다고 할 때,
첫번째 사진은 1/2000초란 아주 짧은 시간동안 만 물이 나온 것 입니다.
따라서 나온 물의 양도 아주 적죠.
두번째 사진은 1/10초란 비교적 긴 시간동안 물이 나온 것 입니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나온 셈이죠~
요구르트병과 드럼통의 차이 정도라고 할까요? ㅎㅎ
이렇게 나온 물들은 골고루 사진 전체에 묻혀 준다고 생각해 보세요~
첫번째 사진은 너무 물이 작아서 표도 나지 않을 정도이지만,
두번째 사진은 물이 충분해서 촉촉하게 다 묻혀 줄 수 있습니다.
여기서!!!!!!!!
그럼
플래시는 어떤 역할을 했느냐?
첫번째 사진이나 두번째 사진이나 셔터스피드에 상관없이 플래시는 적정 광량을 스스로 결정해서 조사를 해준 것 입니다.
물론 이는 캐논의 E-TTL 조광을 이용했기 때문에
다른 플래시의 경우 다소 다른 결과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근래에 출시된 육상용 플래시에 적용되어 있는 TTL 조광의 경우 비슷한 결과를 보여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 부분을 잘 이해한다면 광각촬영이 다소 쉬워집니다.
"주피사체는 인공광(플래시 또는 스트로보 또는 라이트)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배경은 촬영의도에 적합한 조리개와 셔터스피드의 조합으로 촬영한다"
라고 간단하게 말 할 수 있습니다.
위에 말은 설명 해 주는 사진이 네번째 사진입니다.
동일한 촬영조건 즉 F9.0, 1/50초에서 촬영한 두개의 사진입니다.
왼쪽은 플래시를 사용한 사진이고
오른쪽은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은 사진입니다.
왼쪽과 오른쪽 두사진은 배경 부분은 서로 비슷한 명암을 보여 줍니다.
즉 동일노출에서 촬영하였기 때문에 배경은 촬영 결과가 같은 것입니다.
하지만 왼쪽은 주피사체인 달력을 플래시가 적정 광량으로 조사를 해 준 것 입니다.
반대로 오른쪽은 플래시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결과를 보여 주는 것 입니다.
수중광각 촬영이 항상 위에서 간단히 설명한 것처럼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배경도 배경나름이고...
피사체의 크기라던지...
여러가지 조건이 있기 때문에 위 말이 언제나 정답은 아닐수도 있습니다. ㅎㅎ
아무튼 수중촬영의 대부분이 인공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배경을 어떻게 표현하느냐는 노출값의 변화로서 가능합니다.
주어진 상황에 따른 배경의 명암조절은 많은 촬영 경험을 통해 얻어지지만,
노출값에 따른 촬영 결과를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으면 또 예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가장 간단한 것은 내장노출계를 참고하여
조리개값과 셔터스피드의 조절시에 노출이 언더인지 오바인지를 파악하는 것 입니다.
배경을 어둡게 하기 위해서는 조리개는 어느 정도 조이고, 셔터스피드는 높혀 줍니다.
이때 노출계가 적정노출이 아니고 언더일때 배경은 어둡게 표현됩니다.
세번째 사진은 동일한 조리개 값에서 셔터속도 변화에 따른 배경의 명암 차이를 비교 해 본 것 입니다. *^^*
셔터 스피드의 변화에 따른 배경의 명암 차이를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으신가요? ㅎㅎ
'영상 물안경 > ┃영상이론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금 비율인 "삼분할 구도" (0) | 2008.08.29 |
---|---|
사진 편집을 위한 프로 그램 다운받기 (0) | 2008.07.29 |
카메라 설정(펌) (0) | 2008.01.29 |
노출보정의 실제 (0) | 2008.01.23 |
카메라 노출계 (0) | 2008.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