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포커싱에 대해서 배워보기


(참고 - 보급형 디카 유져 위주로 쓴 글입니다.)

 

많은 분들이 새로 구한 컴팩트 디카로 멋있는 흔히 말하는 "아웃포커싱"을 포함한 인물사진을 찍고 싶어한다.

디카만 쓰다가 광고사진 같은데서 보이는 뒷 배경이 뭉게진 사진을 볼시 멋있게 보이는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DSLR 로 찍을시에는 별 생각없이도 생기지만, 보급형 디카로는 얻기가 힘든 부분중 하나이다.

(허접설명 - 렌즈와 센서가 DSLR/필카 보다는 작기 때문이다.)

 

 

먼저. 아웃 포커싱이란 무엇인가?

 


아웃포커싱이 뭐예유?

 

아웃포커싱이란 얕은 심도로 인한 뒷배경의 뭉게짐 현상을 두고 나온 말이다.

(콩글리쉬 -  외국에서는 out-focusing 이란 단어를 거의 사용 하지 않는다. )

심도 란 초점이 맞아 보이는 깊이의 공간이고, 이 초점이 맞는 범위가 워낙 좁다보니 그 범위 바깥으로는 모든게 희미하게 보이는 현상이다.

즉, 심도가 얕을수록 심도 바깥에 있는것들은 모두 촛점이 안맞아서 뭉게진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그림 출저 - Dofmaster

 

그럼 어찌하면 아웃 포커싱이 가장 많이 생기는지를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자.

 

- 최대한으로 줌을 망원 쪽으로 놓아야 한다.
- 최대한으로 조리개를 열어 놓아야 한다.
- 최대한으로 피사체를 가까이 두어야 한다.

위와 같이 세가지 사항을 잘 만 조합한다면 아웃포커싱을 최대한 끌어 낼 수가 있다.

셋 조건 모두 심도를 가장 얕게 하는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될 수 있는 한 주제와 뒷배경의 거리를 떨어 뜨리는게 좋다.

그래야 배경이 더욱 심도 바깥으로 나가 있어서 잘 뭉게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하나 중요한 것은 디지털줌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디지털줌은 그냥 찍힌 영상을 그대로 확대시키는 것뿐이 없어서 실제로 별 도움이 안되는 기능이다.

고로 될 수 있는 한 디지털 줌은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하고 싶다.

 

 

여기서 잠깐! 조리개를 열어야 한다는게 무슨 뜻이냐?

 

간단히 설명하자면 조리개란 렌즈 속에서 빛을 받아 들이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그대신 한가지 문제는 거의 대부분의 컴팩트 디카들은 이 기능이 자동이라서 수동으로 셋팅을 못한다는것.

결국 이 부분은 아쉽게도 조리개 우선 모드(A 혹은 Av 모드)가 있는 수동기능을 갖춘 디카들 만 가능한 부분이다.

그렇지만 자동 디카를 가지고 있다 해서 별로 걱정은 안해도 된다.

대부분의 디카들은 특별한 상황이 아닌 이상 늘 최대한 조리개를 열어 놓고 찍게 끔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별한 상황 예 : 매우 밝은 물체를 찍거나 뒷 배경이 무지 밝을 경우)

 

 

 

참고로 조리개의 수치는 F1.0 , F1.4 , F2.0 , F2.8 , F4.0 , F5.6 , F8.0 이런 단위로 올라간다.

한 단위가 바뀌는 것을 한스톱 (one stop) 이라고 한다.

F1.0 이 가장 조리개 구멍이 큰것이고 F 숫자가 커질수록 구멍 크기가 작아진다.

즉, 최대한 조리개 수치가 낮아야 아웃포커싱이 잘된다.

(디카들 마다 렌즈 스펙이 다르기 때문에 최대 망원으로 줌을 땡길시 어떤 디카는 F2.0 이 가능하고 어떤 디카는 F4.9 정도가 최고일 것이다.)

 

 

그럼 내 디카로는 정확히 뭘 해야 하나?

 

풀오토 디카 : 최대한 줌을 망원쪽으로 땡기고 피사체를 최대한 가까이하고 찍음 (접사로 찍으면 더 효과가 큼)

풀수동 디카 : 최대한 줌을 망원쪽으로 땡기고, 조리개 우선모드로 조리개값을 최대한 낮게 한후, 피사체를 최대한 가까이하고 찍음.

 

참고로, 이 원칙에 한가지 숨겨진 비밀이 있다. (비밀일것 까지야...)

렌즈와 조리개값, 피사체거리 말고 디카들은 또 한가지가 아웃포커싱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설명하자면 길겠지만 그냥 간단히 말하자면,

디카의 CCD 센서 크기이다.

센서가 클수록 아주 조금이지만 심도 깊이와 연관이 있다.

(물론 모든 다른 조건이 똑같은 경우라면 말이다)

심도 뿐 만이 아니라 화질과도 연관이 있다.

센서가 클수록 화질이 더 좋다..라고 생각해도 될 정도다.

물론 쉽게 눈에 보이진 않지만 말이다.

(화소수가 같을 경우, 더 큰 센서가 대부분 노이즈가 더 적거나, 화질이 좀 더 깨끗하다.)

 

여기서 몇가지 디카들의 센서 크기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작은것부터 큰것 순서로)

Brand
Model
Sensor Size (inches)
Canon
A400
1/3.2"
Canon
A75 / A85
1/2.7"
Sony
U50
1/2.7"
Pentax
Optio S5i / S50
1/2.5"
Canon
Ixus 30 / 40 / i5
1/2.5"
Canon
Ixus 500 / S70 / G6 / A95
1/1.8"
Sony
P150 / W1 / V3
1/1.8"
Canon
Pro 1
2/3"
Sony
707 / 717 / 828
2/3"
Nikon
8400 / 8700 / 8800
2/3"
모든 DSLR 는 1.33 인치 이상으로 크다.

 

 

 

아웃포커싱 샘플 사진들

 

그럼 이제 어찌 해야 하는지는 대충 알겠고 흔한 3배줌 소형 디카로 찍은 사진들을 몇개 올려 보도록 하겠다.

 

 

 

 

 

윗 사진들은 모두 캐논 S30 디카로 찍은 사진이다.

(3백만화소 , 1/1.8" CCD 센서, 3배 F2.8-4.9 줌렌즈)

 

지금 현재 흔한 익서스/옵티오/쿨픽스 등등의 3배줌 디카와 거의 같은 스펙의 렌즈를 사용하는 디카인 만큼 결과가 크게 다르진 않을 것이다.

보시다시피 작은 사물은 접사 방식으로해서 왼만큼 뒤 배경이 뭉게지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인물 사진은 역시 조금 무리가 있다.

물론 매우 가까이서 찍을시 어설프게 가능은 하지만 완전히 뭉게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줌렌즈가 더 큰 디카들은 이것보다 확실히 더 뭉게진다)

 

불공평하기 짝이 없지만, 그래도 비교 대상으로 DSLR 캐논 10D 와 여러 밝은(조리개치가 큰 = 심도가 얕은) 렌즈들로 찍은 사진들을 올려보겠다.

(참고로, 10D DSLR 에서 24mm 렌즈는 대충 보급형 디카의 1x 줌과 비슷하다. 그리고 50mm = 2x 줌 , 85mm = 4x 줌 정도다)

 

 

 

 

 

하나 알아 둘 것은,

모든 DSLR 들은 어떤 렌즈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매우 차이가 크게 난다.

그렇지만 확실히 그 어느 비싼/싸구려 렌즈를 사용해도 보급형 디카 보다는 확실히 아웃포커싱이 쉽게 난다는 것이다.

어떨 때는 너무 나서 문제가 될때도 많긴 하다. ㅡㅡ;

(윗 사진들은 모두 100mm 이하의 렌즈로 찍은 사진들이고 좋은 망원렌즈를 사용할 경우 전신 아웃포커싱도 쉽게 가능하다.)

 

그래서 이 반대로, 보급형 디카들이 DSLR 보다 강한 곳은 풍경사진이다.

기본적으로 심도가 워낙 깊다 보니 조리개치 상관없이 거의 모든것을 선명하게 찍을수 있기 때문이다.

DSLR 의 경우 조리개를 많이 조여야 심도가 깊어지는데,

그렇게 조일경우 삼각대가 없으면 힘들 셔터속도가 나오곤 하기 때문에 손각대로는 힘들 때가 많다. 하여튼 두 기종 다 장점과 단점이 있는것 같다.

 

 

마지막글

 

쓰다보니 설명을 더욱 깊이 가야 할 것 같은 부분이 많았으나,

그러다 보면 기초적인 강좌가 아닌게 되 버릴 것 같아서 간단하게 처리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오타가 있거나, 틀린 부분이 있을시 지적해 주시면 즉시 수정하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쓴이 - jayki @ popco.net

'영상 물안경 > ┃영상이론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출 보정의 일반적 값  (0) 2012.04.01
내사진 품평회(3)  (0) 2012.03.27
가장 많이 쓰는 포토샾 단축키  (0) 2012.01.10
사진용어 해설   (0) 2011.11.17
내사진 품평회(2)  (0) 2011.11.16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영상 물안경 > ┃영상이론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사진 품평회(3)  (0) 2012.03.27
아웃포커싱이란 무엇인가??  (0) 2012.01.14
사진용어 해설   (0) 2011.11.17
내사진 품평회(2)  (0) 2011.11.16
내사진 품평회 (1)  (0) 2011.11.08

 

가이드 넘버(guide number)
플래시를 사용하는 촬영에서 적정한 노출을 얻을 수 있도록 플래시의 광량을 실용적으로 표시한 숫자로 조리개 값과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곱으로 나타낸다.

거리계(distance scale)
렌즈에서 피사체까지의 측정된 거리를 렌즈의 초점과 연동하여 보여주는 기기

계조(Gradation)
사진에서 보여 지는 Shadow에서 Highlight사이의 농도단계를 말한다. 농도의 변화가 크면 경조, 작으면 연조라 부른다.

고스트(Ghost)
강한 빛이 렌즈 내면에 반사되어 원하지 않는 상이 화면에 나타나는 현상

과초점거리(hyper focal distance)
카메라로부터 모든 피사체가 선명하게 초점이 맞기 시작하는 가장 가까운 지점의 거리. 예를 들어 35㎜ 렌즈의 조리개를 f11로 해서 무한대에 초점을 맞추면 3m부터 무한대에까지 초점이 맞게 되는데, 이때의 과초점거리가 3m이다.

관용도(latitude)
화상의 질이 극단적으로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 노출과다나 노출부족의 정도로 필름의 종류와 감도에 따라 다르다. 흑백필름은 +-2stop, 칼라 네거필름은 +-1stop, 칼라 슬라이드 필름은 +-0.5stop 정도이며 고감도일수록 높다.

광각 렌즈(Wide-angle lens)
사람의 눈으로 보는 상하 좌우의 시각과 비슷한 렌즈를 표준렌즈라 한다. 보통 40mm-60mm렌즈라고 할 때 이 보다 낮은 렌즈 등을 광각렌즈라고 한다.

광각 왜곡(wide-angle distortion)
광각 렌즈로 피사체에 접근해서 촬영할 때 생기는 원근감의 변화. 피사체의 형태가 길게 늘어나 보이거나 원래의 위치보다 더 멀리 떨어진 것처럼 보인다.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광축에 평행하는 모든 광선은 렌즈를 통과한 후 원칙적으로 광축상의 한 지점에 모여야 하지만 광축에서 먼, 즉 렌즈의 주변부로 입사한 빛은 굴절율이 중심부보다 커 보다 안쪽으로 집광하여 초점의 위치가 달라지며 이로 인해 상이 흐려지게 된다. 이것은 렌즈의 면이 구면으로 휘어져 발생하며 색수차를 제외한 모든 수차는 이 구면수차가 원인이 된다.

그레이 카드(Gray Card)
18%의 반사율을 갖는 회색 카드로서 카메라에 내장된 반사식 노출계로 이 카드의 노출 값을 측정하면 입사식 노출계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밝은 흰 피사체는 희게, 검은 피사체는 검게 촬영할 수 있다.

네거티브 필름(negative film)
노출이나 현상을 통해서 네거티브 화상을 만드는 필름

노출계(exposure meter)
피사체에 닿는 입사광의 양, 또는 피사체로부터 방출되거나 반사되는 반사광의 양을 측정하는 기기로 조리개와 셔터 속도의 조합을 지시해 준다.

노출 과다(overexpose)
필름(CCD)이나 인화지에 너무 많은 노출을 준 상태로 실제보다 밝게 표현된다.

노출 부족(underexpose)
필름(CCD)이나 인화지에 광선이 거의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실제보다 어둡게 표현된다.

동조(Synchronization)
카메라 셔터가 열리는 동시에 자동적으로 플래시가 터질 수 있도록 작동하게 하는 장치의 원리를 말한다.

DX 코드(Date Index)

필름 파트로네에 각종 데이터가 표시 되어있는 전자 코드로서 필름감도, 촬영 매수 등을 12개의 접점(현재에는 6개의 접점으로 감도만 표시)으로 표시한다.

디옵터(Diopter)
볼록렌즈의 확대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1디옵터는 1m 되는 곳에 초점이 맺으며 2디옵터는 그 1/2인 0.5m, 3디옵터는 또 1/2인 0.25m, 4디옵터는 0.125m등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확대배율이 높아진다.

DIN 감도 (Deutsche standard organization)
독일 공업규격에 의한 필름 감도 표시법. 1971년 ASA와 같은 측정법으로 바뀌었으나 감도 표시는 'ASA'나 `ISO'와 달리 일련번호로 되어 있으며 DIN 수치 3이 증가하면 감도는 2배로 증가하도록 되어있다. ISO 100은 DIN 21, ISO 200은 DIN24 되며, 포장에는 ISO100/DIN21로 표기한다.

레인지파인더(range finder)
초점을 맞추는 거리계와 들여다보는 창이 일체로 된 파인더로 줄여서 RF라고도 부른다.

렌즈(lens)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상을 형성시키는데 적합한 한 개나 또는 여러 개로 된 광학 유리

렌즈 후드(lens hood)
렌즈 앞면에서 반사되어 플레어를 일으키는 불필요한 광선을 차단시키기 위해 렌즈 앞에 끼우는 가리개

리버설 필름(reversal film)
포지티브의 상(슬라이드)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필름

링 스트로보
방전관을 렌즈의 링 모양으로 둥글게 만든 것으로 피사체와 카메라가 가까워도 항상 피사체를 조명할 수 있고 그림자가 거의 생기지 않아 접사촬영 시 편리하다.

망원 렌즈(telephoto lens)
일반적으로 표준렌즈의 초점길이보다 긴 렌즈를 말한다.

망원 효과(telephoto effect)
장초점 렌즈를 사용해서 아주 먼 거리에서 찍었을 때 생기는 원근감의 변화. 피사체가 실제의 거리보다 훨씬 가까운 거리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마크로 렌즈(macro lens)
클로즈업 사진을 찍기 위해 설계된 렌즈. 마이크로 렌즈라고도 부른다.

메인 라이트(main light)
어떤 사진에서 기본이 되는 광원으로, 가장 짙은 그림자를 만들고 피사체의 질감과 양감을 뚜렷이 나타낸다. 키 라이트라고도 부른다.

모노포드 (Mono pod)
다리가 하나로 된 카메라 지지대로 간편하고 휴대하기가 편리하여 기동성이 요구되는 곳에 주로 쓰인다. 그러나 삼각대처럼 안정성이 없다

모델링 라이트(modeling light)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대용량 플래시에 내장된 작은 텅스텐 조명. 플래시의 지속 시간이 너무 짧아서 직접 그 효과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촬영자가 조명을 설치한 다음, 이 모델링 라이트를 사용해서 조명의 효과를 판단한다.

모션블러(Motion Blur)
물체의 움직임을 순간동작으로 포착할 만큼의 셔터스피드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물체의 움직임은 궤적으로 일부 남게 된다. 이렇게 흐려지는 상태를 모션블러라 한다.

무한대(Infinity)
렌즈의 거리 눈금에서 가장 먼 위치(∝로 표시)

바운스 라이트(Bounce light)
광원으로부터 피사체로 직접 진행하지 않고, 다른 물체에서 한 차례 반사된 광선

반사망원렌즈 (Reflex type)
오목거울의 집광성을 이용하여 만든 렌즈로 내부에서 빛이 반사 왕복하기 때문에 초점거리에 비해 렌즈의 길이가 매우 짧다. 조리개가 고정(F8,11)되어 있어 노출은 셔터스피드나 ND필터로 조절한다. 흐려진 배경의 밝은 부분은 둥근 고리모양의 링이 생기는데 도우넛 보케라고도 한다.

반사광식 노출계
피사체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측광하는 노출계로 보통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노출계가 이에 속한다. 이 노출계의 수광 소자는 모든 피사체를 18%의 반사율을 갖는 중성회색이라 보고 그 피사체의 반사율을 측정하기 때문에 이 노출계의 측정값으로 촬영하게 되면 모든 피사체는 18%의 반사율을 갖는 중성회색을 재현하게 된다.

백 라이팅(Back lighting)
피사체의 뒤쪽 방향에서 카메라를 향해서 비추는 조명

백색광(White light)
가시 스펙트럼의 모든 파장이 혼합되었을 때의 광선으로 무색이나 흰색으로 보인다.

백열광(Incandescent light)
일반적인 전구 속의 필라멘트와 같은 물질이 전기에 의해서 가열되었을 때 내는 광선

벌브(B, bulb)
셔터 릴리즈가 작동하는 동안, 셔터가 계속해서 열린 상태로 있는 것을 말한다.

벨로즈(Bellows)
뷰 카메라에서 렌즈가 달린 앞판과 뒤쪽의 뷰 스크린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아코디언처럼 접혀서 구부리기 쉽고 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주름상자를 말한다. 소형 카메라에서는 렌즈와 필름 면과의 거리를 연장시켜서 접사할 때 사용된다.

브라케팅(Bracketing)
노출 과부족으로 인한 실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노출을 조금씩 달리하여 여러 장 촬영하는 것. 0.3 ~0.5stop 정도가 적당하다.

비구면 렌즈( Aspheric Lens)
구면과 포물면을 결합시켜 설계한 렌즈로 일반 구면렌즈의 경우 주변부로 들어간 빛과 중심부로 들어간 빛이 한곳에 모이지 못해 생기는 구면 수차를 제거해 줄 뿐 아니라 주변부의 광량 부족 현상도 보완해 준다.

비네트(Vignette)
이미지의 가장자리가 노출부족 되는 현상을 말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의도적으로 비네트 현상을 만들어 특정 부분을 강조 하는데 활용하기도 한다.

사광(측면광)
카메라 좌측이나 우측에서 비춰지는 빛으로 그림자가 드리워져 입체감이 나타난다.

상방광( Top Light)
정오에 머리 위에서 비춰지는 빛.

삼각대(Tripod)
카메라를 고정시키기 위한 3개의 다리를 가진 도구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헤드의 각도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상반 법칙(Reciprocity law)
광선이 필름에 도달하는 량은 노출시간과 빛을 통과시키는 조리개 구멍의 면적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즉, 노출시간이 2배 길면 반드시 조리개의 구멍의 면적을 1/2축소시켜줌으로서 필름에 필요한 적정량의 빛을 얻을 수 있다.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다양한 색의 광선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되기 때문에 동일한 면에 초점을 맺지 못하는 렌즈의 결점

색온도(Color temperature)
열을 방사하는 물체의 색을 숫자로 표시한 것. 이상적인 흑색의 복사체(그 물체에 닿는 광선을 전혀 반사하지 않는 물체)가 가열될 때 내는 광선의 색을 절대 온도- 켈빈도(K°)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선명도(Sharpness)
생생하고 정밀한 재질감과 디테일을 보여주는 정도.

셔터(Shutter)
정해진 시간 동안 필름에 광선을 들여보내기 위해서 열리고 닫히는 기계 장치

셔터 우선(Shutter-priority)
적정 노출을 얻기 위한 자동 노출의 한 방식으로, 촬영자가 셔터 속도를 먼저 결정하면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그 셔터 속도에 맞는 조리개 값을 정한다.

소프트(Soft)
초점이 맞지 않거나 흔들린 상태. 또는 콘트라스트가 낮은 상태를 말한다.

솔라리제이션(Solarization)
필름(CCD)이 심하게 노출 과다 되었을 때 발생하는 부분적인 톤의 반전 현상

수동 노출(Manual exposure)
촬영자가 조리개 값과 셔터 속도를 결정하는 카메라 조작의 한 형식

순광
빛의 방향이 카메라의 축과 같은 빛으로 사진사가 빛을 등지고 촬영하는 경우. 모든 부분이 그림자 없이 밝게 나타나 입체감이 부족하다.

스톱다운(Stop down)
조리개 값을 줄이는 것을 말하며 이와 상반되는 경우를 "Open-up"이라고 한다.

스트로보 (Strobo)
크세논(Xenon) 가스가 들어있는 방전관에 전류를 보내 순간적으로 수만~수백분의 1초의 짧고 강한 섬광을 발하는 조명기구로 색온도가 5,500 ~ 6,000K다.

스폿 노출계
1-2도의 좁은 수광각을 갖는 이 노출계는 멀리서도 화면의 어떤 부분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반사식 노출계로 역광상태인 피사체나 스포츠, 무대 공연사진 등의 노출측정에 사용된다.

실루엣 사진
피사체 디테일을 생략하여 형체만을 강조한 사진기법인데 피사체에는 노출 부족이 되고 밝은 배경은 노출적정이 되어 피사체의 윤곽만이 검게 나타나도록 하는 방법이다.

ASA(American Standard Association)
필름의 감광도를 수치로 나타낼 때 쓰이는 단위이며 필름의 감도가 2배 높으면 ASA값도 역시 2배가 된다. 필름 감도의 증가는 ASA100, ASA200, ASA400, ASA800등과 같이 2배씩 높아진다.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필름의 감광도를 나타내는 국제표준규격이며 ASA(American Standard Association)라는 단위와 함께 사용된다.

어안 렌즈(fisheye lens)
극도로 넓은 시계(180°)와 술통형의 왜곡을 만들어 내는 특수 렌즈

FEL (Flash Exposure lock)
플래시가 비춰야할 광량의 노출량을 측정하여 고정하는 것

AEL (Apertuer Exposure Lock)
측광된 노출 값을 고정하는 것

AFL (Auto Focus Lock)
초점을 잡은 상태로 고정하는 것

f-넘버(f-number)
렌즈의 초점 거리를 주어진 렌즈 구경의 반경으로 나눈 수치.

X접점 (Xenon)
Xenon(크세논) gas를 이용한 전자 플래시용 전기 소켓으로 셔터가 완전히 열림과 동시에 방전되도록 만든 전기적인 접점.

ND필터(Neutral Density)
색과는 상관없이 노출 광량만을 줄여주는 중성회색 필터로 야외 촬영 시 조리개만으로는 저속셔터 촬영이 불가능할 경우 이 필터를 이용해서 임의적으로 화면을 어둡게 만들어준다.

L렌즈(Low Dispersion)
저분산 이란 뜻으로 캐논사에서 만든 비구면 대구경 렌즈

UV필터(Ultraviolet)
자외선 흡수 필터로 헤이즈 컷(Haze-Cut)필터라고도 한다. 무색의 투명필터로서 맑은 날 풍경사진 촬영 시 뿌옇게 보이는 자외선을 흡수하며, 렌즈 보호역할도 함께한다.

ED 렌즈 (Extra-Low Dispersion)
초저분산이란 뜻으로 니콘사에서 만든 비구면 렌즈를 사용한 대구경 렌즈. 빛이 유리를 통과하면서 빛의 파장에 따라 꺾이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한군데 빛이 모이지 않게 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분산 광학 유리를 사용한 렌즈를 말한다.

EV값 (Exposure Value), LV값(Light Value)
노출 값이라는 뜻으로 AV(Aperture Value)와 TV(Time Value)의 상관관계에서 얻어진 값이다.

역광(Back Light)
카메라의 정면으로 비춰지는 빛으로 윤곽을 뚜렷하게 하여 물체의 형태가 잘 드러난다.

역 제곱의 법칙(Inverse square law)
광선의 강도는 광선과 피사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물리적인 법칙. 광선과 피사체의 거리가 2배가 되면 도달하는 광선의 양은 1/4로 떨어진다.

자동 노출(Automatic exposure)
적정한 노출이 되도록 카메라가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노출방식

적외선(Infrared)
스펙트럼에서 적색 바로 다음에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광선. 이 적외선을 이용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선 특수 필터를 사용해야만 한다.

접사 링(Extension tubes)
클로즈업 촬영 시에 카메라 몸체와 렌즈 사이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금속 링. 렌즈와 필름 면과의 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정상적인 거리보다 피사체에 더욱 접근해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조도(Illuminance)
표면의 주어진 부분에 닿는 광선의 강도. 입사광식 노출계로 측정된다.


조리개, 또는 렌즈 구경(Aperture)
광선이 통과하는 렌즈의 열려 있는 크기. 구경은 렌즈의 초점 거리를 그 구경의 반지름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조리개 우선(Aperture-priority)
촬영자가 조리개를 먼저 선택하면 적정 노출에 알맞은 셔터 속도를 카메라가 자동으로 결정해주는 모드

존 시스템 (Zone System)
자연의 계조를 인화지 위에 재현하는 체계로서 순흑의 존 0에서 순백의 존 9까지 10단계로 그 색조를 나누어 자연의 계조를 사진적 계조로 연결시켜 생각 할 수 있는 체계. 존 시스템을 이용하면 피사체가 최종적으로 인화지에 나타나는 계조의 영역을 촬영자가 최종적으로 알 수 있게 해준다.

착란원(Circle of confusion)
렌즈가 피사체의 한 점을 투사할 때 렌즈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선의 작은 원. 사진에서 모든 착란원의 반경이 작을수록 그 상의 선명도는 높아진다.

초점(Focus)
렌즈를 통한 광선이 모두 모여 선명한 상을 맺는 위치로 가능한 한 선명한 상을 맺기 위해서 상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초점거리(Focal length)
렌즈를 무한대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렌즈의 조리개가 있는 제 2주점으로부터 상이 맺히는 면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이 길이가 길어질수록 렌즈의 배율이 높아지고 렌즈길이도 길어진다.

초점면(Focal plane)
초점이 맞아서 선명한 상이 맺히는 면이나 표면. 필름(CCD)면이라고도 부른다.

초점 심도(Depth of focus)
초점을 맞추었을 때, 초점면에 선명한 상을 맺은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범위

측광
노출계를 이용해서 필름(CCD)에 얼마만큼 빛을 쬐어 주어야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셔터스피드와 조리개 값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카메라(camera)
광선이 차단된 상자로 필름 홀더 또는 CCD와 계산된 양의 광선을 안으로 통과시키는 셔터, 그리고 상의 초점을 맞추는 렌즈로 구성된 사진 찍는 도구

케이블 릴리즈
카메라의 셔터나 릴리이즈 구멍에 꽂아서 케이블을 통해 셔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데, 저속 촬영 시나 장시간 노출 시에 사용한다.

콘트라스트(contrast)
농도나 밝기에 있어서의 어느 한 톤과 다른 톤 사이의 차이

크로핑(Cropping)
화면구성을 위하여 이미지의 가장자리를 자르는 것을 말하며 촬영 직전에 파인더에서 할 수도 있고, 인화과정에서 이젤이나 확대기를 이용하기도 하며, 디지털 사진에서는 컴퓨터에서 조절하기도 한다. 크로핑과 같은 용어로는 Trimming (트리밍)이라는 말이 있다.

텅스텐광(tungsten light)
전류가 통하면 백열광을 내는 가느다란 텅스텐의 선이 들어 있는 전구에서 나오는 광선으로 백열광이라고도 부른다.

(tone)
특정한 부분의 명암의 상태. 하이라이트는 밝은 톤이고 그림자는 어두운 톤이다.

티티엘 노출측정 방식(TTL Exposure measuring system)
1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내장 노출계 측정방식을 말할 때 주로 언급되는 말인데 TTL 이라는 의미는 Through The Lens라는 뜻으로 렌즈를 통해서 들어온 광선의 양을 카메라에 내장된 감광소자에 의해서 노출을 측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T셔터(Time shutter)
셔터를 누르면 셔터가 열린 채로 고정되고 다시 누르거나 다이얼을 돌리면 닫히는 장시간 노출용 셔터. 니콘의 F2 F3 F4 F5 등에 장치됨

패닝(Panning)
움직임을 표현할 때 이용되는 기법으로 카메라의 초점을 물체에 고정한 후, 물체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촬영하면 물체는 선명하게 초점이 맞고, 배경은 흐릿한 사진이 된다.

팬 포커스(Pan Focus)
가까운 곳에서 먼 곳까지 초점이 흐린 부분 없이 선명하게 초점이 맞은 상태.

편광 필터(Polarizing filter)
필터가 선택하는 일정 방향이외의 파장(진동파)을 차단시킴으로서 유리나 금속 표면의 반사로 인하여 이미지가 흐려지는 현상을 바로 잡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금속 표면이나 푸른 하늘에 떠있는 흰 구름을 촬영해 보면 그 효과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포컬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
길고 좁은 간격을 이동시키거나, 필름 면의 바로 앞쪽에 있는 막을 열어서 광선이 필름을 노출시키도록 하는 카메라의 기계장치

표준 렌즈(Normal lens)
사용하는 필름의 대각선 거리와 비슷한 초점거리로 35mm 풀사이즈의 표준렌즈는 약 50mm이다. 원근감이나 시각 등이 인간의 시각과 비슷하고 각종 렌즈 중 가장 밝다.

프리 발광(Pre-發光)
어두운 환경에서 인물 촬영 시에 셔터 버튼을 누를 때 내장 플래시가 적목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속적으로 "예비 발광"하는 것을 말한다.

프레임(Frame)
사진 액자나 이미지의 주변 부분 또는 롤필름에서 한 컷의 이미지를 지칭하는 말

프레밍(Framing)
사진을 찍기 전 뷰파인더를 들여다보면서 구도를 잡는 것.

플레어(Flare)
렌즈나 카메라의 내부에서 빛이 분산되거나 반사되어 사진 이미지에 나타나는 불필요한 광선의 흔적을 말하는 것으로 이 빛은 사진 이미지상에 동심원 형태로 나타난다.

피사계 심도
피사체를 중심으로 앞뒤로 선명하게 나오는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피사체와 거리가 멀수록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일수록 조리개를 조일수록 피사계심도는 깊어진다.

하방광(Foot Light)
아래쪽에서 위로 비춰지는 빛으로 괴기스런 느낌을 만든다.

화각
렌즈의 제2주점에서 필름의 대각선에 이루는 각도로 망원렌즈에서는 화각이 좁고 광각렌즈로 갈수록 넓어진다.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
카메라의 색 설정을 사람이 보는 색과 일치하도록 기억시켜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색을 정확하게 표현시키기 위한 보정방법.

황금분할
화면상에 주제를 1:1.5 내지 1:1.6위치에 배치시켜 한쪽 공간이 다른 쪽 공간보다 많이 차지하게 하는 것.

 

 

 

출처 - 소미동  http://www.sonydsl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