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를 뜨거운 물이 담긴 냄비에 넣으면 깜짝 놀라 바로 뛰쳐 나온다.

찬물에 개구리를 넣고 서서히 열을 가하면 어떻게 될까?

수온의 변화를 알아채지 못한 개구리는 냄비 속에서 헤엄치다가 익어 버리고 만다.

지구온난화가 딱 이런 경우다.

북극의 빙하가 녹아도 당장 내 삶에는 변화가 오지 않는다.

지구가 서서히 더워지는 것을 알면서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어느 한계점을 넘으면 예상치 못한 급격한 변화를 겪을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지구온난화를 ‘고요한 위기’라고 부른다.

고요한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UN 사무총장을 지냈던 코피 아난이 이끄는 ‘세계인도주의포럼(GHF)’은 “지구온난화를 막으려는 적절한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2030년에는 기후변화로 목숨을 잃는 사람이 50만 명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쓰는 이른바 전통적인 대비책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독특한 지구온난화 대응 방안도 많다.

그 중에는 엽기적으로 보이는 방법들도 있다.

 

사진 제공. 동아일보

<지구온난화의 근본적인 대책은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 방출량을 줄이는 일이다.

지구의 온도를 조금씩 낮추기 위해 작은 실천부터 시작하는 것이 어떨까?>

 

~~~~~~~~~~~~~~~~~~~~~~~~~~~~~~~~~~~~~~~~~~~~~

 

1방안: 지구를 태양에서 멀리 떨어 트리는 방법


미국항공우주국(NASA) 에임스연구센터 그레그 래플린 박사는

“지구를 지금보다 태양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하면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빛의 양이 줄어드니 기온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래플린 박사는 소행성이나 혜성이 지구를 스쳐 지나갈 때 얻은 중력에너지는 공전속도를 빠르게 해 지구를 태양에서 좀 더 멀리 떨어지게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소행성과 혜성의 궤도를 조정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

설사 궤도를 조정한다 해도 예상치 못한 외부효과로 소행성이 지구와 부딪힐 가능성이 있다.

또 지구를 태양과 멀리 떨어 뜨릴 경우 달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달의 중력은 지구가 23.5도 기울어져 자전하도록 돕고,

태양에서 오는 열기가 지구 천체에 고르게 퍼지게 해 지구에 4계절을 만든다.

그런데 지구가 현재의 궤도를 벗어나면 지구에 미치는 달의 중력이 약해지고 자전축에 변화가 생겨 또 다른 기후변화를 몰고 올 수도 있다.

 

2방안: 소의 방귀를 줄이는 방법


얼핏 보면 우습지만,

따지고 보면 자못 진지한 이색방법도 있다.

 

바로 가축이 내뿜는 방귀와 트림의 성분을 바꾸는 일이다.

UN 식량농업기구(FAO)는 2006년 기후변화의 최대 원인 중 하나로 ‘축산업’을 지목한 바 있다.

 

소나 돼지의 방귀와 트림, 분뇨에서 나오는 메탄가스 때문인데,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23배나 강한 온실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사료 성분을 바꾸거나 특정 물질을 첨가해 가축이 방출하는 메탄가스를 줄이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실제 미국 버몬트 주 15개 농장은 기존에 사료로 쓰던 옥수수 대신 콩과 작물인 알팔파, 아마 씨를 소에게 사료로 주고 있다.

그 결과 우유 생산량을 이전처럼 유지하면서도 메탄가스 발생량은 이전보다 약 18%나 줄일 수 있었다.

또 프랑스의 한 낙농기업은 건강보조식품 성분으로 쓰이는 ‘오메가3 지방산’을 소의 사료에 섞고 있다.

이 성분이 소의 소화를 도와 메탄이 생기는 것을 줄이기 때문이다.

 

낙농업으로 유명한 덴마크는 축산농가에 일종의 ‘방귀세’를 추진 중이다.

축산업이 지구온난화에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오염자 부담 원칙’에 따라 정화비용을 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축산 농가는 소 1마리당 600크로네(약 14만원) 가량의 세금을 내야한다.

 

3방안:  바다에 식물성프랑크톤을 증식


바다에 눈을 돌리는 과학자들도 있다.

독일 연구진이 이끄는 ‘로하스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사례인데,

이들은 바다에 철분을 뿌리면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철분의 양이 늘면 이를 먹고 자라는 식물성 플랑크톤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식물성 플랑크톤 수가 많아지면 광합성작용으로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도 늘 것이란 주장이다.

실제 올해 1월 실험이 진행됐고,

연구진은 아르헨티나와 남극 사이의 300㎢ 해역에 황산제일철 6t을 뿌리고 추이를 지켜봤다.

하지만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이산화탄소의 양이 줄어들지 않았는데,

식물성 플랑크톤 수가 급격히 늘었지만 동물성 플랑크톤이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동물성 플랑크톤을 새우 같은 작은 생물이 먹으면서 효과가 절감됐기 때문이다.

 

4방안: 인공구름 생성


최근에는 “전 세계 바다에 1900척의 배를 띄워 인공구름을 만들면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비외른 롬보르 코펜하겐 컨센서스센터장이 “배에서 물방울을 뿌려 안개를 만들고 구름의 양을 늘리면 태양광이 반사된다”

이렇게 주장했지만 실효성은 낮다는 지적이다.

~~~~~~~~~~~~~~~~~~~~~~~~~~~~~~~~~~~~~~~~~~~~~~~


사실 앞서 말한 방법들은 지구온난화 대비책이 아니라 또 다른 ‘기후 조작’일 수 있다.

풍선의 한 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방법이 또 다른 자연재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지구온난화 방지책은 지구 위치를 옮기거나 바다에 철분을 뿌리는 게 아니라 온실가스 방출량을 줄이는 일이다.

조금만 신경 쓰면 일상에서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많다.

에어컨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는 반드시 뽑아두기,

대중교통을 타고 일회용 상품을 쓰지 않기,

3층 이하는 걸어 다니고,

분리수거해 쓰레기 버리기 등 ....

 

작은 실천이 지구온난화를 막는 큰 힘이 되는 셈이다.

 

글 : 변태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관련사진

극지방의 비정상적인 높은 온도와 열대지역에서의 폭우는

10년동안 거의 증가가 없었던 대기중의 메탄량이

2007년과 2008년에 전 세계적으로 증가되므로써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고

새로 발표된 연구결과에서 설명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와 양적인 차이는 많지만 이산화탄소 다음으로 온실가스에서 많은 양 차지하는 요소이다.

 

NOAA과학자들과 동료들은 1983년부터 2008년까지 매주 전 세계 46개 지역에서 대기샘플을 수집하여 분석을 해왔다.

이들의 연구결과는 American Geophysical Union의 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9월 28일자로 발표된다.

최소한 세 가지 이상의 요소들이 메탄량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NOAA Earth System REsearch LaboratoryEd Dlugokencky는 말했다.

 

북극은 매우 따뜻해졌으며, 열대지방의 산불, 인도네시아와 아마존에서는 증가된 강수 등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열대지방에서는 증가된 강수가 길어진 우기와 넓어진 습지를 초래했고 이것으로 인해 미생물들이 더 많은 메탄가스를 발생하게 되었다.

2007년 중반부터 라니냐 현상이 시작되었고 2008년 초에는 그 강도가 강해졌다.

이러한 기후변화들은 몇몇 열대지역에서 평소보다 더 습한 조건을 초래했고,

중서부 열대태평양에서는 차가운 해수표면 온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상태는 2년 동안이나 지속되었다.

미국에서는 라니냐 현상으로 보통조건 보다 더 건조한 현상이 남서Plain 및 중앙Plain 지역에서 종종 나타났으며 태평양 북서부 지역에서는 습한 가을/겨울철이 나타났다.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와 지상에서 수집된 자료에 따르면 생물연소(biomass burning)로 2007년 대기 중으로 방출된 량이 총 메탄량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및 기타 유기물이 연소될 때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방출된다.)

 

2007년 과학자들이 북극을 포함한 북부 습지의 메탄량을 측정하는 동안에 연간 평균기온이 가장 따뜻했던 것으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기온상승은 이들 지역의 메탄량 급증과 동시에 일어났다.

 

Dlugokencky와 미국 및 브라질에서 온 동료들은 기후변화가 북극의 영구동토층에서 모아진 탄소를 메탄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을 유발할 수 있으며,

북극의 수화물(물과 결합된 화합물) 속에 있는 메탄을 방출시킬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의 관찰은 아직까지 지속적인 변화와 일관되지는 않는다.

 

메탄은 산소가 없는 환경, 예를 들면 홍수가 난 습지, 습지(peat bogs), 벼를 심은 논, 매립지, 흰개미 군집, 소 및 기타 반추동물의 소화기관 등에서 생성된다.

메탄가스는 또한 화석연료의 추출 및 이송과정 중에서도 발생되며 연료로 태울 때에도 발생된다.

 

출처: noaa

'최초의 인류'로 알려진 '루시' 보다 백만년 앞선 440만년전 인류의 조상인 '아디(Ardi)'가 사이언스 잡지에 공식 발표됐다.

미국의 티모시 화이트 교수는 1992년 이디오피아 아라미스에서 두개골, 아래턱, 이, 왼쪽 팔뼈등 17조각을 발견했으며, 방사선 동위원소 축정 결과 440만년 전으로 확인했다.

 

이후 17년간 47명의 과학자가 연구 분석을 했고,

기존에 알려진 최초의 인류 '루시' 보다 백만년이 앞선 현생 인류의 조상 '아디(Ardi)'가 440만년만에 세상에 다시 그 모습을 드러냈다.

 

 

아디(Ardi)는 '땅에서 사는 인류'란 의미인 '아르디피테쿠스(Ardipithecus)'의 속(屬)명과 이디오피아 말로 '뿌리'라는 의미를 가진 '라미두스(Ramidus)' 종(種) 에서 온 이름이다.

아디는 120cm의 키에 50kg이며,

어금니의 성장으로 보아 성인인 것으로 추정한다.

그후에 발견된 다른뼈들에 비해 두개골과 이의 크기가 작고 연하여 여성이라고 판단했다.

긴 팔은 침팬지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완전한 직립보행을 하여 유인원과 인류의 진화단계를 설명해줄 '잃어버린 고리'로 인정받았다.

아디의 발견은 그동안 직립보행을 한 현생 인류의 조상이라고 알려진 3백만전에 출연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 그 시간을 앞당겨 450만년 이전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한다.


사진: SCIENCE/AAAS
서울신문 나우뉴스 해외통신원 김형태 tvbodaga@hanmail.ne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