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니냐 현상이란 ?


적도 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해지면 서태평양의 해수면과 수온은 평년보다 상승하게 되고,

찬 해수의 용승 현상 때문에 적도 동태평양에서 저수온 현상이 강화되어 엘니뇨의 반대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라니냐(스페인어로 여자아이)라고 한다.

 

발생원인

 

▷정상상태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온도는 열대 지역의 강수와 뇌우 활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와 열대 태평양 서쪽 지역에서 강수가 많고, 적도 태평양 동쪽에서는 강수가 적다.


해수면온도와 지역 강수의 평균 패턴은 열대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하층 편동풍(동에서 서로 부는 바람),

그리고 상층의 편서풍과 관련이 있으며,

적도 태평양 서쪽과 인도네시아에서의 바람 패턴은 저기압과 그에 따른 상승 운동과 관련이 있다.

반면 동태평양에서의 바람 패턴은 고기압과 그에 따른 하강 운동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상태가 태평양의 주된 대규모 순환인 워커순환(Walker Circulation)을 의미한다.

해수 구조를 살펴 보면 열대 태평양 서쪽에서는 온수층이 깊게 나타나고 열대 태평양의 동쪽에서는 비교적으로 얕게 나타난다.

이 온수대는 보통 서쪽에서 가장 깊고 동쪽으로 갈수록 해수면에 가까워지는 수온약층에 의해서 찬 심해층과 분리된다.

상층 해양의 평균 온도의 동서 차이에 의해 서쪽의 해수면 고도가 동쪽보다 높게 된다.

 


▷ 라 니 냐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라니냐 상태는 동태평양의 하층 대기 편동풍과 상층 대기 편서풍이 강화되는 열대 태평양의 대규모 바람 변화 현상이다.

이러한 상태는 적도 워커 순환이 강해졌음을 의미한다.


라니냐의 성장기 동안에는 해수 구조가 열대 태평양 동쪽에서는 온수층이 비정상적으로 얕아지고,

이로 인해 수온 약층의 깊이 또한 얕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수온 약층의 기울기는 유역을 가로질러 증가하게 된다.

매우 강한 라니냐 기간에는 확장된 기간동안 수온 약층이 실제로 해양의 표면에 가깝게 된다.

따라서 혼합층이 얕아져 영양이 풍부한 물이 해수면 가까이 올라와 이 지역의 해양 생물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해수면 고도는 동태평양에서 정상상태보다 낮아지며,

전 유역에 걸쳐 해양 표면 고도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 엘 니 뇨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엘니뇨 상태는 동태평양의 하층 대기 편동풍과 대류권계면 부근의 상층 대기 편서풍이 약화되는 열대 태평양의 대규모 바람 변화 현상이다.

이러한 상태는 적도 워커 순환이 약해졌음을 의미하며,

아주 강한 엘니뇨 때에는 이 워커 순환이 완전히 소멸하게 된다.


엘니뇨의 성장기 동안에는 해수 구조가 열대 태평양 동쪽에서는 온수층이 비정상적으로 깊어지고,

이로 인해 수온 약층의 깊이 또한 깊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수온 약층의 기울기는 유역을 가로질러 감소하게 된다.

매우 강한 엘니뇨 기간에는 몇달 동안 수온 약층이 실제로 열대 태평양 전체를 가로지르며 평평하게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해수면 고도는 동태평양에서 정상상태보다 높아지며,

전 유역에 걸쳐 해양 표면 고도의 기울기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기상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