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베를린의 모습이라고 하네요.

한강에도 저렇게 하나 만들어 놓으면  안될까?

 

 

내용출처:몬스터포스트

 

 

 

고압 챔버와 저압 챔버의 차이점

연탄을 주 연료로 사용하던 때에는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병원에는 챔버가 필수로 있었다.
그만큼 사고가 많이 났기 때문이다.

그때 당시 사용되던 챔버는 다이버용 챔버와 구분해서 저압 챔버라고 부르는 것이 맞을 것같다.

다이버용 챔버는 고압 챔버입니다.

저압 챔버는 일단 압력이 낮고, 산소와 공기를 희석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가스중독 등에는 충분하지만,

잠수병 치료용으로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간혹 저압 챔버를 가동하는 병원에서도 잘 사용하지 않다 보니 전담 인력이 없어 부산의 ㅎ 병원에서는 감압을 잘못 해 오히려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응급의 잠수병인데 고압챔버가 이용이 힘든 경우 우선의 응급조치를 위해서는 저압챔버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고압챔버는 60feet이상의 압력에 100% 순수 산소를 환자에게 공급해 줄 수 있는 여건이 되어야 한다.
공기로 치료할 경우에는 165feet 정도까지 가압하는 경우도 있다.

당연 치료 효과라는 측면에서는 차이가 날 수 밖에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 의료체계에서는 고압이나 저압을 구분하고 있지 않고 진료수가 자체도 그 옛날 수가가 그대로 이어지다가 오히려 삭감이 되어진 상황이다.

그만큼 수요가 줄어든 탓이겠지만,

다이버 입장에서 보면 운영하는 병원이 없어지는 피해를 입게 된 것이다.
민간병원 차원에서는 고압챔버 운영이 수익성이 낮고 운영이 힘들기 때문이다.


서울 시립 강남병원의 좋은 챔버시설이 폐쇄된 것만 보더라도 작금의 현실이 어떤지는 명확해진다.

사회와 의료기술은 발달하는데 잠수병에 관한한 점 점 더 의료의 사각지대가 되어지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러울 뿐이다.

                                    - 시골 작은 병원의 챔버 기사가 씁니다.

 

출처: http://www.denkorea.co.kr/

'잠수 만물경 > ┗ 다른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상용 자전거 "워터버드"  (0) 2008.12.31
강가에 떠있는 수영장  (0) 2008.09.20
날개를 단 선박용 프로펠러  (0) 2008.09.09
지능형 방수  (0) 2008.09.01
물 위를 달리는 풍선놀이.  (0) 2008.08.25

여름을 생각할 때 머릿 속에 가장 먼저 그려지는 풍경은 뜨거운 태양 아래 끝없이 펼쳐진 넓은 바다이다.

그리고 이 그림에 배를 하나 추가해 보자.

어릴 적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그리던 돛단배보다 훨씬 크게. 자, 여러분은 운동장만한 배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이제부터 소개할 선박의 크기는 상상을 초월한다.

이 선박들은 길이가 보통 300m 이상인데 실감이 잘 나지 않으면 63빌딩(높이 약 250m)을 물 위에 누인 것보다 더 크다고 보면 된다.

생각만 해도 입이 떡 벌어지는 이런 대형 선박들이 바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다는 사실!


커다란 덩치의 대형 선박들이 물 위에 떠 있는 것도 신기하지만 배 끝에 달려 있는 프로펠러 한두 개의 추진력으로 대양을 누빈다는 점도 참 신기하다.

사실 거친 파도를 뚫고 빠르게 움직이는 배를 만들기 위해서 각 조선소는 물의 저항을 최소로 받게 하는 부드러운 유선형의 배 디자인과 큰 추진력을 낼 수 있는 최적의 프로펠러를 개발하는 데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프로펠러의 주기능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는 선풍기 날개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선풍기 날개는 모터에 의해서 회전을 하지만, 선풍기 날개들은 회전면에 경사가 져서 붙어 있기 때문에 회전을 하면서 앞으로 바람을 밀어주는 직선운동을 일으킨다.

배에 달린 프로펠러는 공기가 아닌 물을 밀어 주고 이 힘에 대한 반작용으로 배는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즉 프로펠러가 회전을 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완전한 대칭이 되는 흐름이 생기는 것이 이상적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이론상으로는 프로펠러를 회전할 때는 전진방향으로 밀어주는 방향의 힘과 회전하는 힘만 발생하여,

프로펠러 전후의 물의 흐름은 완전한 직선방향의 흐름이 되여야 하는데,

프로펠러의 상하 압력 비대칭에 의해서 옆으로 밀어주는 힘도 발생하여 프로펠러 회전에 의해 소용돌이 같은 회전류가 생긴다.

따라서 프로펠러를 하나만 설치한 배는 이러한 비대칭의 힘이 상당히 커서 이론과 달리 똑바로 나아가지는 못하고 한쪽으로 조금씩 선회를 하게 된다.

그래서 실제로는 배를 똑바로 앞으로 직진시키고 싶을 때는 오히려 방향타를 약간 틀어주어야 한다.

같은 이유로 프로펠러를 두 개 설치한 배는 두 개의 프로펠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옆으로 밀어주는 힘이 상쇄되어 배의 직진 성능을 높여 준다.


더구나 프로펠러가 회전류를 일으킨다는 것은 전진방향의 물의 흐름을 만들어서 배를 앞으로 밀어주는 데 써야 할 에너지가 회전하는 흐름을 만드는 데 낭비되었다는 것이며,

이는 결국 프로펠러의 추진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 국내 조선소들이 프로펠러의 단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기술로 높은 추진효율을 갖는 배를 건조했다는 기쁜 소식이 잇따라 들리고 있다.

프로펠러 앞부분에 잔류고정날개를 설치한 D 조선업체는 최근에 대형 유조선의 실제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끝냈다.

일반적으로 프로펠러는 배의 뒷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프로펠러에 들어오는 물의 흐름은 균일하게 들어오지 못하고 배를 스쳐 지나오면서 복잡하게 된다.

그런데 프로펠러 앞부분에 설치된 잔류고정날개는 배에 의해 발생되는 불균일한 물의 흐름을 보다 균일하게 흐르도록 함으로써 프로펠러 하류로 빠져 나가는 물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효율을 높여주는 데 성공하였다.

실제로 이 업체 32만 톤급의 초대형 유조선에 잔류고정날개를 설치해서 테스트를 한 결과 약 5%의 연료절감 효과를 얻었다.

그레서 현재 건조 중인 초대형유조선과 컨테이너선에도 이 장치를 탑재할 계획이라고 한다.


그리고 프로펠러 뒤의 방향타 앞에 추력날개를 설치한 H 조선업체는 프로펠러 뒤의 회전류를 정류시켜 회전에너지의 손실을 줄여 주면서 동시에 프로펠러 뒤로 발생하는 회전류에 의해 추가적인 양력이 발생하도록 설계하였다.

이 업체는 4~6%의 연료절감 효과가 있는 추력날개를 이미 대형컨테이너선에 적용해서 인도하였고 앞으로도 동급 컨테이너선에 추력날개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한다.


사실 프로펠러가 회전하면 주위에 회전하는 흐름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하지만 이런 현상들을 하나씩 개선해 나가고자 하는 노력이 오늘날 국내 조선소들이 전 세계 조선업의 기술개발을 선도하고 대한민국이 명실상부한 조선 최강국의 자리를 유지하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앞으로 우리나라 조선소들이 저 커다란 배를 또 어떻게 조금씩 변신시켜 나갈지 기대가 된다.


글 : 유병용 (‘과학으로 만드는 배’ 저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