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복은 예복화되어 특별한 날에만 입는 의상으로 한정되어 가고 있다.

자주 입는 한복이 아니기 때문에 어쩌다 입으려면 입는 법을 몰라 쩔쩔매기 마련이다.

약혼식, 결혼식, 회갑연 등 특별한 날에는 피할 수 없이 꼭 입어야 하는 고유의상이기 때문에,

한복을 제대로 입는 법쯤은 익혀둘 필요가 있다.

'옷 입기가 반 바느질'이라는 옛말은 오늘날에도 그 의미가 바래지 않는 명언이다.

특히 한복은 은은한 자태를 드러내기 위해 속옷을 알맞게 차려 입는 것이 중요하다.

가끔 씩 한복을 입게 되는 현대인들이 누구나 쩔쩔매며 맞닥 뜨리게 되는

고름이나 대님매기 등의 한복 입기 절차를 살펴 보자.

 
여자한복 입는 법


치마를 입는다. 치맛자락이 왼쪽으로 마무리 되도록 정리한다.

치마를 고정시키는 끈은 치마 중심에서 단단하게 묶어준다.

속저고리와 저고리를 입고 동정과 깃의 모양이 틀어지지 않게 매만져 준다.

고름을 맨다.

 

짧은 고름을 올려 한번 묶는다.

묶은 짧은 고름 자락으로 고를 만들어 준다.

긴 고름을 고 속으로 넣어 고름을 완성시킨다.

버선을 신는다. 이 때 버선코가 정중앙에 오도록 유의해서 신도록 한다.

1. 속 옷 입기

 

우선 한복을 맵시 있게 입으려면 속옷을 반드시 갖추어 입어야 한다.

속옷은 옷 맵시뿐만 아니라 땀의 흡수도 도와준다.

요즈음은 속옷으로 짧은 속바지를 입고, 다음에 버선 목까지 오는 긴 바지, 계절에 맞게 솜바지,

누비바지, 고쟁이 등을 입는다.

가슴이 처진 사람은 브래지어로 바스트 포인트를 고정시키고

속치마는 겉치마 보다 2~3cm쯤 짧으면 된다.

속치마는 너무 부풀리지 않고 적당히 심이 들어간 A라인 페티코트나

전통 속치마를 입는 것이 더 우아한 느낌이 든다.

2. 버선 신기

 

버선을 신을 때 주의할 점은 수눅(꿰맨 솔기)이 중앙을 마주 보도록 기울어지게 신는 것이다.

오른발은 왼쪽으로 왼발은 오른쪽으로 가도록 양쪽으로 잘 잡아 당겨 신는다.

3. 치마 입기

 

① 치마 어깨 걸이를 팔에 껴서 입는다.

② 치마 겉자락을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왼쪽 위로 오게 해서 입는다.

③ 오른쪽 끈은 치마말기 안쪽으로 빼서 앞으로 돌리면 흘러 내리지 않고 잘 고정된다.

④ 중앙에서 묶어주면 저고리가 들뜨기 쉬우므로 겉 자락이 약간 왼쪽으로 오도록 매듭을 잡아 준다.

4. 속 저고리 입기

 

저고리 속에는 속적삼이나 속저고리를 입는데 대개 엷은 색의 얇은 옷감으로 되어 있다.

특히 얇은 감일수록 속적삼이나 속저고리를 꼭 갖춰 입어 속이 비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5. 저고리입기

 

저고리는 우선 왼쪽과 오른쪽의 동정니가 벌어지지 않도록 잘 맞춰 입는다.

저고리를 입었을 때 깃 고대와 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앞으로 약간 잡아 당겨 입고

속적삼과 치마의 허리선이 저고리 밑으로 나오지 않도록 입는다.

6. 고름매기

 

먼저 저고리의 동정니를 맞춰 안고름을 맨 다음 보조단추를 잠그고 겉고름을 반듯하게 맨다.

고름을 매는 방법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하면 된다.

고름을 다 매었을 때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 차이는 5Cm정도가 알맞으며,

고의 길이는 어깨의 깃 선과 비슷하게 맞추면 된다.



두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으로 가볍게 잡는다

짧은 고름은 위로 긴 고름은 아래로 가도록 X자 모양으로 놓는다.

짧은 고름을 안쪽으로 넣어 위로 잡아 뺀다.

짧은 고름을 돌려 잡고 긴 고름으로 고을 잡을 준비를 한다.

긴 고름을 짧은 고름 안쪽으로 집어 넣는다.

짧은 고름을 긴 고름 밑으로 넣어 아래 위를 팽팽하게 잡아 당기며 가지런히 정돈한다.

고름을 제대로 맨 모양

7. 진동선 정리하기

 

한복은 입체적인 재단을 하는 양장과는 달리 평면재단 방식이라서 옷 매무새를 잡아 주어야만 옷 태가 제대로

난다.

저고리를 입었을 때 가슴과 어깨 사이에 있는 진동선 부분이 불룩하게 솟아 오르는데 이때 양손을 올려

그 부분을 가볍게 잡고 바깥쪽으로 살짝 접어준다.

그러면 저고리가 몸에 착 붙어 한결 보기가 좋아진다.

8. 노리개 달기

 

한복의 종류에 따라 노리개를 다는 법이 다르다.

당의를 입을 때에는 고름에 달고, 짧은 저고리를 입을 때는

노리개의 형태에 따라 고름이나 치마허리끈에 달기도 한다.

고름 쪽에 달 경우 노리개 걸이가 있을 때에는 고름매듭에 걸이를 걸고,

끈 고리일 경우에는 긴 고름에 고리를 끼워 놓고 고름을 맨다.

9. 두루마기 입기

 

외출할 때에는 두루마기를 입고 그 위에 마후라를 단정하게 매는 것이 예의이다.

두루마기를 입을 때에는 치마 뒷자락을 잘 여미고 허리띠를 매어 활동하기 편하게 한다.

페티코트를 입었을 경우에는 속치마로 갈아 입는 것이 좋다.

10. 주의사항

 

① 신발은 꼭 한복에 맞는 고무신, 비단신, 가죽신을 신어야 한다.

② 치마가 땅에 끌리지 않게 입는다. 바닥에서 2~3cm정도 떠서 신발코가 약간 보이는 게 적당하다.

③ 손가방은 한복 전용 백을 사용한다.

④ 한복을 입었을 때의 자세는 절대로 뒤로 젖혀서는 안된다. 다소곳하게 약간 앞으로 숙이는 듯한 자세를 취해야만 보기가 좋다.

남자 한복 입는법
 

남자한복은 바지저고리와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를 입는데,

외출시에는 반드시 두루마기를 걸쳐야 한다.

남자한복은 허리 매는 법과 대님 치는 법만 익히면 어렵지 않게 입을 수 있다.


바지를 입는다.
허리를 조절했다면 허리띠를 메어준다. 바지 중심에서 고를 만들어 묶는다.
저고리를 입는다. 우선, 겉에서 보이지 않는 속고름을 매어 준다. 속고름을 매어야만 옷이 뒤틀려 맵시를 망치는 일이 없다.
저고리 고름을 맨다. 고름매는 방법은 여자 고름 매는 법과 동일하다.
바지 대님을 맨다. 안쪽복숭아뼈에 바지깃을 대고 남는 부분을 앞중심에서 잡아준다. 남는 여유분을 바깥쪽으로 꺾어준다.
대님띠는 안쪽에서 시작해 한바퀴를 돌려 맨 다음 안쪽에서 묶어준다.
조끼를 입고 단추를 채운다.
마고자를 입는다. 좌우목선이나 깃이 잘 맞도록 매만져 마무리한다.
1. 바지 입기

바지는 우선 바지허리를 잡고 오른쪽으로 바짝 당긴다.

왼쪽으로 접는다.
허리끈을 맨다.

1) 바지는 작은 사폭과 큰 사폭이 있는데, 작은 사폭이 왼쪽으로 가도록 입는다.

2) 오른쪽의 큰 사폭을 허리 중앙에 접어서 고정시킨 다음 왼쪽의 작은 사폭을 접어서 그 위에 포갠다.

3) 허리띠를 고름 매는 것처럼 매어 여분이 저고리 아래로 내려와 겉으로 보이도록 한다.

4) 바지 아랫 부분은 대님 맨 곳을 여유있게 덮을 수 있도록 풍성하게 내려준다.

2. 대님매기


안쪽 복사뼈에 바지의 마루폭 선을 댄다.
발목을 돌려 싸서 바깥쪽 복사뼈에 갖다 댄다.
매듭을 두번 돌려 묶는다.
매듭이 안쪽 복사뼈에 오도록 한다.
매듭을 리본으로 편하게 묶는다.
대님으로 묶은 윗부분을 밑으로 잡아 당겨 모양새를 가다 듬는다.

3. 조끼와 저고리 입기

 

저고리가 조끼 밖으로 나오지 않게 입는다

4. 마고자 입기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하고 조끼와 마고자는 여름철이 아니면 반드시

갖추어 입는다.

5. 두루마기 입기

 

남자 두루마기는 의례적인 옷이므로 외출할 때에는 반드시 갖춰 입고 마후라를 단정히 매는 것이 예의이다.

의식이 실내에서 거행되더라도 저고리 차림이 되면 예의에 어긋나므로 반드시 두루마기를 갖춰 입는다.

'일상 쌍안경 > ┃ 생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설 차례상 차리는 법!  (0) 2006.01.29
[스크랩] 추석의 유래  (0) 2005.09.29
절하는 법  (0) 2005.09.18
친족 간의 "촌수"그리고 "호칭"  (0) 2005.09.18
[스크랩] MBC LIVE  (0) 2005.09.02
 


절하는 법
 

절은 우리 고유의 인사법이다.

그리고 어떤 인사법보다도 정성이 갖추어져 있고, 보기에도 품격이 있다.

상대방을 인정하고 존경하며 반가움의 표현을 행동으로 나타내는 인사예절을 배워보자.
 

공수법:

 

어른 앞에서는 손을 마주 잡고 약간 높이며 남자는 왼쪽 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쪽 손이 위로 가게 잡는다.(흉사때는 반대)

읍자세:

 

두 손을 마주 잡고 약간 원을 그리듯이 콧등 위에 올린다.

옛날 남자들의 간단한 인사법이었으나,

지금은 절의 전,후에 쓰인다.

 

올리는 높이에 따라 경의를 표하게 되는데,

눈 높이는 상읍,

입 높이는 중읍,

가슴높이는 하읍이라

한다.

 
 
 

대상에 따른 구분 -좌례(禮座)-앉은 절

 

1. 큰절

일반적으로 공경을 드려야 하는 대상에 대해서 하는 절이며,

절을 받는 사람이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된다.

폐백이나 조부모와 부모의 회갑 때 드린다.

큰절을 해야 할 때...

혼례식, 교배례,폐백 드릴 때

조부모, 부모의 환갑, 수연 때의 헌수

조부모, 부모의 세배드릴 때

부모나 웃어른을 오랜만에 뵈올 때

제례, 성묘 때

문상 때 조객과 상주와의 인사 때

 

1) 여자의 큰

1.
남자와 반대로 오른손이 위로 올라오도록 포개어 눈높이로 들어 준다.
2.
왼발을 사선으로 뒤로 뺀다. 그대로 다리를 천천히 구부려 앉는다.
3.
엉덩이가 바닥에 닿도록 앉는다. (앉을 때 잘못하면 넘어질 수도 있으므로 주위).
4.
고개를 깊이 숙여 절한다.
5.
일어나서 반배한다.
세부사항:

두손을 들어 바른 자세로 선다.

공수한 손을 어깨 높이에서 수평이 되게 올린다.

(너무 올리면 겨드랑이가 보이므로 주의)

고개를 숙여 이마를 손등에 댄다.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는다.

오른쪽 무릎을 왼쪽 무릎과 가지런히 꿇어 앉는다.

오른발이 아래로 가게 하여 발등을 포개 엉덩이를 내리면서 깊숙히 앉는다.

윗몸을 반 정도 앞으로 굽힌다. 손등이 이마에서 떨어지지 않게 한다.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 몸을 일으킨다.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워 일어나면서 왼쪽 발을 가지런히 모은다.

수평으로 올렸던 손을 원위치로 내리고 고개를 반듯하게 든다.

2) 남자의 큰

1.
왼손이 위로 오도록 양손을 눈높이에서 포갠다.
2.
눈높이로 손을 포갠 채 몸을 숙이는데, 이때 무릎은 굽히지 않는다.
3.
바닥에 손이 먼저 닿게 한 다음 왼쪽 무릎을 땅에 댄다.
4.
양 무릎을 가지런히 모아 꿇은뒤 머리를 숙여 절한다.
5.
일어서서 상체를 30도 정도 숙여 반배한다.
세부사항:

가능한 두루마기까지 예의를 갖추어 입고 절할 대상을 향해

왼쪽 손이 오른쪽 손등 위에 오도록 공수를 한 자세로 선다.

공수한 손을 앞으로 내밀면서 땅에 댄다.

왼쪽 무릎을 먼저 꿇은 후 오른쪽 무릎을 꿇고 앉는다.

앞으로 내민 손등 위에 머리가 닿도록 허리를 구부려 절을 한다.

고개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다.

오른 무릎을 먼저 세운다.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 무릎 위에 놓는다.

오른 무릎에 힘을 주며 일어나 양발을 가지런히 모은다.

2. 평절

서로 공경해 맞절을 하는 경우이며,

절을 받을 사람이 평절을 하라고 명할 때도 있다.

같은 또래의 사람끼리, 또는 윗사람이나 세배를 할 때 행한다.

 

1) 여자의 평절
세부사항:
1.

고개를 살짝 숙인 후

양손을 자연스레 내려뜨린위치에서

손가락을 모아 준다.

 

2.

그대로 내려 앉아

한쪽 무릎을 세워

한다.

앞으로 모았던 손을 풀어 양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린다.

왼쪽 무릎을 먼저 꿇으면서 고개를 숙이고 앉는다.

오른쪽 무릎을 세우고 앉은 다음 허리를 20도 정도 구부리며 손끝은 바깥을 향하게 한다.

잠시 멈추었다가 윗몸을 일으키며 손바닥을 바닥에서 뗀다.

일어나면서 왼쪽 발을 오른발과 가지런히 모으면서 손을 다시 맞 잡는다.

2) 남자의 평절

 

큰절과 같은 동작으로 한다.

다만 큰절과 달리 이마가 손등에 닿으면 머물지 않고 즉시 일어나는 것이 다르다

 

 

3. 반절(답례절)

 

앉은 상태에서 자세를 가다듬고 상체를 구부리며

손이 바닥에 닿은채 잠시 멈춘 다음 바로 앉는다.

횟수에 따른 구분
단배:

한 번 하는 절이며, 부모나 부모의 친구 등 어른에게 평상시 하는 절이다.

재배:

두 번 하는 절이며, 보통 죽은 사람의 영전, 차례나 제사 지낼 때 하는 절이다.

사배:

네 번 하는 절이며, 옛날 왕에게 올렸던 절이며, 신부가 시집갈 때도 했다.

한복 차림의 몸가짐
 

>> 여자

 

1. 치마자락은 왼쪽으로 여민다.

 

한복 자락이 끌리거나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손으로 여밀 때가 있다.

이때 여미는 손은 반드시 왼 손 즉 왼쪽으로 치막자락이 나오게 입어야 한다.

오른쪽으로 여미는 것은 옛 조선시대 화류계 여성들의 차림이라 꺼려했다.

 

2. 신발 코가 살짝 보일 만큼 걷는다.

 

일본 여성은 기모노 바깥으로 신이 보이지 않게 종종 걸음을 걷는 것이 예의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한복 치마는 걸을 때 고무신 코가 살짝 보일만큼 걷는 것이 좋고

손을 아래로 떨어뜨려 흔들며 걷는 것은 좋지 않다.

 

3. 어른 앞에 앉을 때는 손을 모은다.

 

어른 앞에서는 서 있을 때나 앉아 있을 때나 두손을 공수하는 자세가 올바른 자세이다.

다리는 무릎을 꿇어야 하고 이때 치마 자락이 벌어지거나 발이 치마 바깥으로 나오면 안된다.

서 있을 때는 상대방의 발 앞 끝 정도를 바라 본다.

 

4. 일을 할 때는 허리에 끈을 매도 된다.

 

일 할 때 치마 자락이 끌리지 않도록 허리에 끈을 매는 것은 흠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 차림은 부엌 근처에 있을 때만 괜찮은 것이다.

>> 남자

 

1. 손윗사람 앞에서는 무릎을 꿇는다.

 

어른 앞에 처음 자리를 잡았을 때는 무릎을 꿇고 손을 공수 한채 앉는 것이 기본이다.

어른이 "편히 앉게" 하면 그때서야 "편히 앉겠습니다."라고 한후 발을 조금 괴고 앉아도 된다.

손은 자연스럽게 허벅지 위에 놓고 허리는 꼿꼿이 세워 앉는다.

 

2. 손아랫 사람 앞에서도 예의를 지킨다.

 

손아랫 사람 앞에서의 올바른 자세는 양반다리이다.

자연스럽게 다리를 꼬고 앉은후 양손을 모아 공수를 하면

손아랫 사람 에게도 예의를 지키게 되는 것이다.

 

3. 어른에게 잔을 올릴 때는 왼손으로 오른 손을 받친다.

 

소매가 길고 도련이 넓은 옷을 입었을 때는 음식을 먹을 때 묻지 않도록 배래를 잡아야 한다.

또 어른에게 잔을 올릴 때는 반드시 오른 손으로 술잔을 잡고 왼손을 오른손 밑에 받쳐 양손으로 올려야 한다. 술을 받을 때도 왼손으로 오른팔을 받치고 자세를 수그려 받은 후 반드시 얼굴을 돌려 마신다.

 

4. 당당하고 똑바른 걸음걸이가 보기 좋다.

 

남자의 경우 당당한 기상이 보이도록 허리를 꼿꼿이 펴고 약간 팔자 걸음을 해도 좋다.

보폭은 키에 따라 적당히 넓이를 조절한다.

'일상 쌍안경 > ┃ 생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추석의 유래  (0) 2005.09.29
한복 입는 법 (펀글)  (0) 2005.09.18
친족 간의 "촌수"그리고 "호칭"  (0) 2005.09.18
[스크랩] MBC LIVE  (0) 2005.09.02
[스크랩] '몸매 만들기'(광고물)  (0) 2005.06.16

촌수란 친족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체계이다.

 

3, 4촌의 경우는 친족 호칭을 대신하기도 한다.

우선 부부관계는 촌수가 없으며, 부자관계는 1촌, 형제관계는 2촌이 된다.

각 명칭에서 '叔(숙)'은 아저씨, 姪(질)은 조카, '嫂(수)'는 형제의 아내를 뜻한다.


 


 

친족이란 촌수가 가까운 사람들을 말한다.

법률상 배우자, 혈족, 인척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배우자와 8촌 이내의 부계 혈족,

4촌 이내의 모계 혈족,

남편의 8촌 이내의 부계 혈족,

남편의 4촌 이내의 모계 혈족,

처의 부모 등을 이른다.

 

8촌의 기준은 고조까지 '4대 봉사'라 하여 제사를 모심으로써 서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관계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

 

1) 백부(伯父), 숙부(叔父), 고모(姑母)

아버지의 윗형제를 백부(큰아버지), 아랫형제를 숙부(작은아버지), 그리고 여형제를 고모라 하며

그 배우자를 각각 백모(큰어머니), 숙모(작은어머니), 고숙,고모부라 한다.

2) 종조부(從祖父), 대고모(大姑母)

할아버지의 형제를 종조부(큰, 작은 할아버지), 여형제를 대고모라 하며,

그 배우자를 또한 종조모, 대고숙, 대고모부라 한다.

3) 당숙부모(堂叔父母)

종조부모의 아들 부부이다.

4) 형수(兄嫂), 자형(姉兄)

각각 형제와 여형제의 배우자이다.

5) 종형제(從兄弟), 종매(從妹)

백, 숙부모의 아들과 딸로, 나와 친사촌간이다.

6) 내종형제(內從兄弟), 내종매<內從妹>

고모의 아들, 딸로 흔히 고종 사촌이라고 한다.

7) 재종형제(再從兄弟), 재종매(再從妹)

육촌 형제, 자매 사이이다.

8) 질(姪), 생질(甥姪), 당질(堂姪), 재당질(再堂姪)

각각 형제, 누이, 내종형제.매, 재종형제.매의 자식이다.

9) 손(孫), 외손(外孫), 종손(從孫), 재종손(再從孫), 삼종손(三從孫)

아들, 딸, 조카, 당질, 재당질의 자식이다.


 

외족이란 어머니의 친정 일가로써

외조부.모, 외숙부.모, 이모.부, 외종사촌과 이종사촌을 포함한다.

<출처 :http://cyber.edunet4u.net/hanja/>

'일상 쌍안경 > ┃ 생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복 입는 법 (펀글)  (0) 2005.09.18
절하는 법  (0) 2005.09.18
[스크랩] MBC LIVE  (0) 2005.09.02
[스크랩] '몸매 만들기'(광고물)  (0) 2005.06.16
카네이션의 유래...(펀글)  (0) 2004.05.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