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돌아오는 명절이지만 차례상 차리기는 늘 어렵게 느껴진다.

제수 마련은 기본적으로 필요한 음식에 조상이 좋아했던 음식을 따로 준비하면 된다.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음식을 뜻하는 전(煎), 고기 생선 두부 등을 기름에 지지거나 석쇠에 구워 꼬치에 꿴 적(炙) 등 품이 들어가는 음식은 차례 하루 전에 미리 마련해둔다.

파, 마늘, 고춧가루 같은 짙은 양념은 쓰지 않는 게 원칙이다.

기본 상차림은 다섯 줄이다.
신위가 있는 쪽부터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는 반서갱동(飯西羹東)의 원칙에 따라 놓는다. 설에는 일반 제상의 메(밥) 대신 떡국을 올리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 줄에는 어동육서(魚東肉西)의 원칙에 따라 적과 전을 놓는다. 머리와 꼬리가 분명한 제수는 동쪽(오른쪽)으로 머리가 가고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놓는다. 두동미서(頭東尾西)의 원칙이다.
셋째 줄에는 탕 종류를 놓는다.
넷째 줄에는 좌포우혜(左脯右醯)라 하여 상 왼편에 포(북어, 대구)를, 오른편에 침채(나박김치)를 둔다. 어포를 쓸 때는 생선 배가 아래로 향하게 담는다. 가운데는 숙채(삶거나 쪄서 익힌 나물)를 둔다. 간장도 가운데 놓는다. 식혜는 건더기만 담아야 한다.
다섯째 줄에는 과일이 놓인다. 과일은 반드시 홀수로 올린다. 홍동백서(紅東白西)의 원칙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조율시이(棗栗枾梨) 원칙에 맞춰 상 왼쪽부터 대추, 밤, 곶감, 배의 순서로 놓기도 한다.차례는 제사와 달리 술을 한번만 올린다.

 
◀ 설 차례상 ▶
 
설의 의미
은 음력 정월 초하룻날로 원단(元鍛), 세수(歲首), 원일(元日), 신원(新元),
정초라고도 부릅니다.
설은 한해가 시작되는 뜻에서 모든 일에 조심스럽게 첫 발을 내딛는 매우
뜻 깊은 명절로 현재까지 이어져 왔습니다.
그래서 설날을 <삼가는 날>이라고 해서 이 날에는 바깥 출입을 삼가 하고
집안에서 지내면서 일년동안 아무 탈 없이 지낼 수 있게 해 주기를 신에게
빌어 왔습니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새해 아침에 입는 새 옷인 '설빔' 을 입고 돌아
가신 조상들께 절을 드리는 차례를 지내고 그런 다음 나이가 많은 어른들부터
새해인사 '세배'를 합니다.
세배를 할 때에는 새해 첫 날을 맞아서 서로의 행복을 빌고 축복해 주는 '덕담'을 주고 받습니다.
이렇듯 새해첫날은 하루종일 복을 빌고 좋은 말을 많이 해 왔습니다.
설날 차례상 준비
차례
차례는 간소한 약식제사로서 음력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 날에 지내며 보통 아침이나 낮에 지냅니다.
우리 나라에서 관습적으로 민속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입니다.

차례는 기제를 지내는 조상에게 지냅니다.
예를 들어 고조부모까지 4대를 봉사하는 가정에서는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그리고 돌아 가신 부모 등 여덟 분의 조상이 대상이 됩니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지냅니다.
차례도 물론 기제를 지내는 장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지방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한식이나 추석에는 산소에서 지내기도 합니다.
차례상에 올릴 음식
 
메(밥)

제삿밥으로 신위의 수대로 식기에 수북히 담고 뚜껑을 덮는다.
추석절에는 송편으로,
설날에는 떡국으로 대신합니다.

예전에는 밥 외에도 국수를 올렸으나 생략해도 무방합니다

갱(국)

신위의 수대로 대접이나 주발에 담고 뚜껑을 덮습니다.

 

재료는 쇠고기와 무우를 네모로 납작하게 썰어서 함께 끓입니다.
고춧가루,마늘,파 등을 쓰지 않습니다.

편(떡)

제사에 쓰는 떡은 현란한 색깔을 피하므로

팥고물을 쓸 때도 껍질을 벗겨 가급적 흰색을 띄는 백편으로 합니다.

탕(찌게)

오늘날의 찌게라고 할 수 있다.

탕의 수는  1.3.5 등 양수(홀수)로 준비하며,

탕기에 담을 때 건데기만 추려 담아 뚜껑을 덮는다.

 

육탕(쇠고기), 소탕(두부), 어탕(생선), 계탕(닭고기), 북어탕 등.

쇠고기,생선,닭고기 중 한가지를 택하여 조리하나

한번에 여러 재료를 넣고 끓여 나누어 담아도 무방합니다.

양념에 파, 마늘, 고추 등을 쓰지 않읍니다.,


 

전(부침)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것으로 육전과 어전 두 종류를 준비합니다.

동태전, 육전(쇠고기 다진 것), 배추전, 김치전, 녹두전 등 옛날에는 적과 함께 계산하여 그릇 수를 홀수로 만들기 위해 전은 반드시 짝수로만들었습니다.

 

전과 적을 합하여 홀수가 되어야 하는 것은 재료가 고기,생선 등
천산(天産)이기 때문에 양수인 홀수에 맞춘 것입니다.


육전은 쇠고기를 잘게 썰거나 다져서 둥글게 만들어 계란을 묻혀 기름에 부칩니다.
어전은 생선을 저며 계란에 무치고 기름에 부칩니다.

적(구이)

적은 구이로서 제수 중 특별식에 속합니다.
옛날에는 육적, 어적, 계적의 3 적을 세 번의 술잔을 올릴 때마다 그때 그때 바꾸어구워서 올렸으나,

 

오늘날에는 육적, 어적(조기구이), 소적(두부), 계적 등  한가지만 준비하여 올리며 홀수로 준비해도 무방합니다.


육적은 쇠고기를 2~3등분하여 길게 썰어 소금구이하듯이 익히고,

어적은 생선 2~3마리를 고춧가루를 쓰지 않고 익힙니다.
이때 머리는 동쪽으로 하고 배는 신위 쪽으로 가게 담습니다.

채(나물)

숙채- 익힌 채소로 한접시에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나물 등 삼색 나물을 곁들여 담거나 한 접시씩 따로하여 뚜껑을 덮습니다.
침채- 희게 담은 동치미, 백김치, 나박김치 등을 쓰며 고추가루는 쓰지 않습니다.


건포를 쪄서 익혀 사용하며 북어포, 대구포, 문어포, 상어포, 육포 등이 있는데

보통 북어포를사용합니다..
 

유과류
약과, 산자(흰색) 강정 등
    

과일

 

 전통적으로 제사에 쓰는 과일은 대추,밤,감(홍시 또는 곶감), 배였으므로 이것들은 꼭 준비하고

그 밖에 계절에 따라 나는 사과,수박,참외,석류,귤 등의 과일을 1~2종 준비합니다.
옛날에는 과일이 지산(地産)이라 하여 그릇 수를 음수인 짝수로 하였습니다.

 

김치

 

희게 담근 백김치,나박김치 등을 씁니다.

고춧가루를 쓰지 않습니다.

 

제사음식에 쓰이는 삼실과의 의미   
감: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이다. 그러나 감만은 그렇지 않다. 감 씨앗은 심은 데서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3~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 가지를 잘라 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
이 감나무가 상징하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는 생가지를 칼로 째서 접붙일 때처럼 아픔이 따른다. 그 아품을 격으며 선인의 예지를 이어 받을 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밤: 다른 식물의 경우 나무를 길러낸 첫 씨앗은 땅속에서 썩어 없어져 버리지만, 밤은 땅 속의 씨밤이 생밤인 채로 뿌리에 달려 있다가 나무가 자라서 씨앗을 맺어야만 씨밤이 썩는다. 그래서 밤은 자기와 조상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한다. 자손이 수십 수백 대를 내려가도 조상은 언제나 자기와 연결되어 함께 이어간다는 뜻이다. 신주를 밤나무로 깍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대추: 대추의 특징은 한 나무에 열매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열리며 꽃 하나가 피면 반드시 열매 하나가 열리고 나서 꽃이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 없다. 즉,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서 죽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제상에 대추가 첫 번째 자리에 놓인다.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뜻에서이다.  
제사음식에서 피하는 몇 가지 음식
과일로는 복숭아,
생선으로는 치로 끝나는 생선(예 : 멸치, 갈치, 삼치 등)은 피하고,
나물에는 마늘, 파, 고춧가루 등의 양념은 하지 않는다.
(생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기타 양념은 무방함) 
 
차례상차림 방법(진설법)
◀ 차례상 차리기
밥과 국의 위치 : 반 서 갱 동
밥은 서쪽,국은 동쪽입니다.
즉 제사자의 입장에서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으로 놓습니다. 이는 산사람의 상차림과 반대입니다.
따라서 숟가락과 젓가락은 중앙에 놓습니다.
생선과 고기의 위치 : 어 동 육 서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즉 생선은 오른쪽, 고기는 왼쪽에 놓습니다.
머리, 꼬리의 위치 : 두 동 미 서
머리와 꼬리가 분명한 제수는 높은 방위인 동쪽 즉 오른쪽(제사자의 입장)으로 머리가 가고
꼬리는 왼쪽으로 가게 놓습니다.
그러나 지방에 따라서는 서쪽이 상위라 하여 머리를 서쪽으로 놓는 집도 있습니다.
과일의 위치 : 홍 동 백 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하지만 실제 제사에서 반드시 이 원칙대로 놓는 것은 아닙니다.
[사례편람]등의 예서에는 보통 전열의 왼쪽에서부터 대추,밤,배,감(곶감)의 순서로 놓고 있습니다.
배와 감은 순서를 바꾸기도 한다. 전열의 오른쪽에는 약과,유과 등의 과자류를 놓습니다.
적의 위치 : 적 전 중 앙
적은 상의 중앙인 3열의 가운데에 놓습니다. 적은 옛날에는 술을 올릴 때마다 즉석에서 구워 올리던
제수의 중심 음식이었으나 지금은 다른 제수와 마찬가지로 미리 구워 제상의 한 가운데에 놓습니다
.

'일상 쌍안경 > ┃ 생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이 뜨~거워요~~  (0) 2006.07.03
제사상 차리기  (0) 2006.03.12
[스크랩] 추석의 유래  (0) 2005.09.29
한복 입는 법 (펀글)  (0) 2005.09.18
절하는 법  (0) 2005.09.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