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복은 예복화되어 특별한 날에만 입는 의상으로 한정되어 가고 있다. 자주 입는 한복이 아니기 때문에 어쩌다 입으려면 입는 법을 몰라 쩔쩔매기 마련이다. 약혼식, 결혼식, 회갑연 등 특별한 날에는 피할 수 없이 꼭 입어야 하는 고유의상이기 때문에, 한복을 제대로 입는 법쯤은 익혀둘 필요가 있다. | |||||||||||||||||||
'옷 입기가 반 바느질'이라는 옛말은 오늘날에도 그 의미가 바래지 않는 명언이다. 특히 한복은 은은한 자태를 드러내기 위해 속옷을 알맞게 차려 입는 것이 중요하다. 가끔 씩 한복을 입게 되는 현대인들이 누구나 쩔쩔매며 맞닥 뜨리게 되는 고름이나 대님매기 등의 한복 입기 절차를 살펴 보자. | |||||||||||||||||||
여자한복 입는 법 | |||||||||||||||||||
| |||||||||||||||||||
1. 속 옷 입기
| |||||||||||||||||||
우선 한복을 맵시 있게 입으려면 속옷을 반드시 갖추어 입어야 한다. 속옷은 옷 맵시뿐만 아니라 땀의 흡수도 도와준다. 요즈음은 속옷으로 짧은 속바지를 입고, 다음에 버선 목까지 오는 긴 바지, 계절에 맞게 솜바지, | |||||||||||||||||||
누비바지, 고쟁이 등을 입는다. 가슴이 처진 사람은 브래지어로 바스트 포인트를 고정시키고 속치마는 겉치마 보다 2~3cm쯤 짧으면 된다. 속치마는 너무 부풀리지 않고 적당히 심이 들어간 A라인 페티코트나 전통 속치마를 입는 것이 더 우아한 느낌이 든다. | |||||||||||||||||||
2. 버선 신기
| |||||||||||||||||||
버선을 신을 때 주의할 점은 수눅(꿰맨 솔기)이 중앙을 마주 보도록 기울어지게 신는 것이다. | |||||||||||||||||||
오른발은 왼쪽으로 왼발은 오른쪽으로 가도록 양쪽으로 잘 잡아 당겨 신는다. | |||||||||||||||||||
3. 치마 입기
| |||||||||||||||||||
① 치마 어깨 걸이를 팔에 껴서 입는다. | |||||||||||||||||||
② 치마 겉자락을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왼쪽 위로 오게 해서 입는다. | |||||||||||||||||||
③ 오른쪽 끈은 치마말기 안쪽으로 빼서 앞으로 돌리면 흘러 내리지 않고 잘 고정된다. | |||||||||||||||||||
④ 중앙에서 묶어주면 저고리가 들뜨기 쉬우므로 겉 자락이 약간 왼쪽으로 오도록 매듭을 잡아 준다. | |||||||||||||||||||
4. 속 저고리 입기
| |||||||||||||||||||
저고리 속에는 속적삼이나 속저고리를 입는데 대개 엷은 색의 얇은 옷감으로 되어 있다. 특히 얇은 감일수록 속적삼이나 속저고리를 꼭 갖춰 입어 속이 비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
5. 저고리입기
| |||||||||||||||||||
저고리는 우선 왼쪽과 오른쪽의 동정니가 벌어지지 않도록 잘 맞춰 입는다. 저고리를 입었을 때 깃 고대와 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앞으로 약간 잡아 당겨 입고 속적삼과 치마의 허리선이 저고리 밑으로 나오지 않도록 입는다. | |||||||||||||||||||
6. 고름매기
| |||||||||||||||||||
먼저 저고리의 동정니를 맞춰 안고름을 맨 다음 보조단추를 잠그고 겉고름을 반듯하게 맨다. 고름을 매는 방법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하면 된다. 고름을 다 매었을 때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 차이는 5Cm정도가 알맞으며, 고의 길이는 어깨의 깃 선과 비슷하게 맞추면 된다. | |||||||||||||||||||
| |||||||||||||||||||
7. 진동선 정리하기
| |||||||||||||||||||
한복은 입체적인 재단을 하는 양장과는 달리 평면재단 방식이라서 옷 매무새를 잡아 주어야만 옷 태가 제대로 | |||||||||||||||||||
난다. 저고리를 입었을 때 가슴과 어깨 사이에 있는 진동선 부분이 불룩하게 솟아 오르는데 이때 양손을 올려 | |||||||||||||||||||
그 부분을 가볍게 잡고 바깥쪽으로 살짝 접어준다. 그러면 저고리가 몸에 착 붙어 한결 보기가 좋아진다. | |||||||||||||||||||
8. 노리개 달기
| |||||||||||||||||||
한복의 종류에 따라 노리개를 다는 법이 다르다. 당의를 입을 때에는 고름에 달고, 짧은 저고리를 입을 때는 | |||||||||||||||||||
노리개의 형태에 따라 고름이나 치마허리끈에 달기도 한다. 고름 쪽에 달 경우 노리개 걸이가 있을 때에는 고름매듭에 걸이를 걸고, 끈 고리일 경우에는 긴 고름에 고리를 끼워 놓고 고름을 맨다. | |||||||||||||||||||
9. 두루마기 입기
| |||||||||||||||||||
외출할 때에는 두루마기를 입고 그 위에 마후라를 단정하게 매는 것이 예의이다. 두루마기를 입을 때에는 치마 뒷자락을 잘 여미고 허리띠를 매어 활동하기 편하게 한다. 페티코트를 입었을 경우에는 속치마로 갈아 입는 것이 좋다. | |||||||||||||||||||
10. 주의사항
| |||||||||||||||||||
① 신발은 꼭 한복에 맞는 고무신, 비단신, 가죽신을 신어야 한다. | |||||||||||||||||||
② 치마가 땅에 끌리지 않게 입는다. 바닥에서 2~3cm정도 떠서 신발코가 약간 보이는 게 적당하다. | |||||||||||||||||||
③ 손가방은 한복 전용 백을 사용한다. | |||||||||||||||||||
④ 한복을 입었을 때의 자세는 절대로 뒤로 젖혀서는 안된다. 다소곳하게 약간 앞으로 숙이는 듯한 자세를 취해야만 보기가 좋다. | |||||||||||||||||||
남자 한복 입는법 | |||||||||||||||||||
남자한복은 바지저고리와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를 입는데, 외출시에는 반드시 두루마기를 걸쳐야 한다. | |||||||||||||||||||
남자한복은 허리 매는 법과 대님 치는 법만 익히면 어렵지 않게 입을 수 있다. | |||||||||||||||||||
| |||||||||||||||||||
1. 바지 입기 | |||||||||||||||||||
| |||||||||||||||||||
1) 바지는 작은 사폭과 큰 사폭이 있는데, 작은 사폭이 왼쪽으로 가도록 입는다. | |||||||||||||||||||
2) 오른쪽의 큰 사폭을 허리 중앙에 접어서 고정시킨 다음 왼쪽의 작은 사폭을 접어서 그 위에 포갠다. | |||||||||||||||||||
3) 허리띠를 고름 매는 것처럼 매어 여분이 저고리 아래로 내려와 겉으로 보이도록 한다. | |||||||||||||||||||
4) 바지 아랫 부분은 대님 맨 곳을 여유있게 덮을 수 있도록 풍성하게 내려준다. | |||||||||||||||||||
2. 대님매기 | |||||||||||||||||||
| |||||||||||||||||||
3. 조끼와 저고리 입기
| |||||||||||||||||||
저고리가 조끼 밖으로 나오지 않게 입는다 | |||||||||||||||||||
4. 마고자 입기
| |||||||||||||||||||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하고 조끼와 마고자는 여름철이 아니면 반드시 | |||||||||||||||||||
갖추어 입는다. | |||||||||||||||||||
5. 두루마기 입기
| |||||||||||||||||||
남자 두루마기는 의례적인 옷이므로 외출할 때에는 반드시 갖춰 입고 마후라를 단정히 매는 것이 예의이다. | |||||||||||||||||||
의식이 실내에서 거행되더라도 저고리 차림이 되면 예의에 어긋나므로 반드시 두루마기를 갖춰 입는다. |
'일상 쌍안경 > ┃ 생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설 차례상 차리는 법! (0) | 2006.01.29 |
---|---|
[스크랩] 추석의 유래 (0) | 2005.09.29 |
절하는 법 (0) | 2005.09.18 |
친족 간의 "촌수"그리고 "호칭" (0) | 2005.09.18 |
[스크랩] MBC LIVE (0) | 200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