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다이빙컴퓨터들은 고도변화(압력변화)를 감지하며,
계산가동 중에 있건 아니건 간에 압력(고도) 변화에 따라 프로그램이 된대로 반응을 보이게 되어 있다.
고도를 감지하는 컴퓨터가 아웃개싱(outgassing:질소의 방출)을 계산하고 있지 않을때(탑승 전에 질소가 완전히 방출된 때) 컴퓨터는 고도변화에 적응하다가 비행이 끝나면 원점으로 복귀한다.
수동으로 고도변경을 시켜야 하는 컴퓨터는 압력이 변했는지 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두 종류 다 어떤 압력에 노출되어도 상관없다.
그러나 체내질소가 완전히 방출되기 전에 탑승했는데,
컴퓨터는 화물칸에 있고 당신의 몸은 캐빈에 있다면,
컴퓨터의 아웃개싱과 당신 몸의 아웃개싱은 서로 계산이 틀려진다.
(화물칸은 압력 유지가 안되고 캐빈은 압력상태가 조정된다).
따라서 만약 당신이 여객기에서 내리자 마자 다이빙을 한다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다이빙했다가 금방 여객기를 타고 또 내려서 금방 다이빙 할 계획이 있다면,
컴퓨터는 당신의 몸과 같은 압력을 받도록 캐빈으로 가지고 들어가야 한다.
그 외에 컴퓨터 같은 예민한 장비를 핸드캐리해야 좋은 이유는 도난과 파손 때문이다.
자료 : 스쿠바다이버지 2000/01/02호
참고:
통상 여객용 항공기의 고도는
국제선의 경우 10,000~12,000미터(평균 36,000피트),
국내선 항공기는 8,000미터(26,000피트) 정도다.
지상에서 3,000미터까지는 매 300미터마다 주위압은 약 3%씩 감소하고,
그 이상 고도에서는 공기층 밀도가 떨어져서 그보다는 조금 낮은 비율로 감소한다..
피트(미터) |
PSI(절대압) |
ATM(절대압) |
|
|
|
|
|
|
|
|
|
|
|
|
|
|
|
|
|
'이론 잠망경 > ┃ 잠수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중에서 귀환로를 잃어 버렸을때... (0) | 2009.08.27 |
---|---|
다이브 컴퓨터의 록아웃(lockout: 잠금)은 잘못된 씨스템!!! (0) | 2009.08.26 |
왜!! 3,000psi(약200bar)까지만 공기를 넣는가? (0) | 2009.08.23 |
수면을 올려보고 있으면, 호흡이 힘든 이유 (0) | 2009.08.22 |
수중 작업과 관련한 잠수시간 해석 (0) | 200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