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겨울 양양의 어판장에 깔려 있는 도루묵.



피란길에 오른 임금이 '묵어'(혹은 목어)를 맛본 뒤 맛이 좋아 이름을 '은어'(銀魚)로 바꿨다. 

전란이 끝난 뒤 이 생선을 다시 먹은 임금은 맛이 예전 만 못하자 실망한 나머지 '도로 묵어라고 해라'고 명했고, 

결국 '도루묵'으로 불렸다.


영동 이북의 동해에서 주로 잡히는 도루묵과 관련해 회자하는 설화다. 

그런데 이 설화의 주인공은 누구일까? 

세간에서는 임진왜란을 겪은 선조나 병자호란과 이괄의 난 때 도읍을 벗어났던 인조를 많이 거론한다. 

일부 문헌에는 고려 왕이라고 기록돼 있다.



(양양=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겨울철 별미인 도루묵 구이. cityboy@yna.co.kr


30일 학계에 따르면 김양섭 전북대 무형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은 여러 자료를 분석해 도루묵 설화의 주인공이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라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김 연구원은 국립민속박물관이 최근 발행한 '민속학연구' 제38호의 '임연수어·도루묵·명태의 한자 표기와 설화에 대한 논증' 논문에서 "이성계가 도루묵 설화의 주인공이라는 정황 증거가 여럿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선 제14대 임금인 선조와 제16대 왕인 인조를 설화의 주인공으로 볼 수 없는 이유를 설명했다.

도루묵은 한자로 쓸 때 껍질에 나뭇결처럼 촘촘한 빗살무늬가 있어서 '목어'(木魚, 目魚) 혹은 '은어'(銀魚)라고 했다. 

다만 강에서 나는 은어는 도루묵과 구별하기 위해 '은어' 외에도 '은구어'(銀口魚)나 '은광어'(銀光魚)라고 적었다.

그런데 제11대 임금인 중종 때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과 그보다 앞서 간행된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도루묵이 목어가 아닌 은어로 기록돼 있다. 

조선 시대 전기에 이미 도루묵을 은어라고 불렀다면, 

선조와 인조가 묵어(혹은 목어)를 은어로 개명했다는 이야기는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

김 연구원은 최초의 도루묵 설화 기록은 허균이 전북 익산에 유배됐을 때인 1611년 쓴 '도문대작'에 있고, 

다음으로는 이식이 강원도 간성군수로 좌천됐을 때 지은 '환목어'(還目魚, 도루묵의 한자 표현)라는 시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 후기 문신 이의봉과 조재삼이 각각 고려 왕과 인조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도루묵 설화를 글로 남겼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들 기록을 꼼꼼하게 분석한 뒤 "허균의 글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도루묵의 생태적 특성과 역사적 사실을 살피지 않았다"며 "고려 왕이나 선조, 인조는 도루묵 설화의 주인공이 될 수 없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태조는 1398년 정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으로 갔다가 1401년 한성으로 돌아온 적이 있다"면서 "함흥은 도루묵이 많이 나고, 함경도 안에서 유일하게 도루묵을 은어라고 불렀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허균은 '도문대작'에서 설화를 언급하며 '전 왕조에 있었던 왕'(前朝有王)이라고 했는데, 조선을 만든 태조라는 묘호(廟號)를 감히 거명할 수 없어서 다른 표현을 쓴 것 같다"며 "결론적으로 도루묵 설화의 실제 주인공은 태조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는 '말짱 도루묵'이라는 말에 대해서도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긍익은 높은 관직에 올랐다가 삭탈관직당해 낙향한 허목을 '도루묵'에 비유했다"며 "17세기에도 이미 헛된 일을 지칭하는 말로 널리 쓰였다"고 덧붙였다.

김양섭 전북대 연구원 '민속학연구'서 주장

(서울 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다큐 공감 - 142 회 (델리모션-1)
"수심 20m, 아버지의 바다"

(↑크릭하면 동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수중 확대경 > ┗ 수중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저 레스토랑 '언더(Under)'  (0) 2019.03.21
사육사 바라기 돌고래.   (0) 2018.06.01
바닷속 최고수심에 심해어들..  (0) 2014.12.20
브라질, 피라니아 낚시 방법  (0) 2014.08.02
고양이 수영   (0) 2014.05.19

혹시 "몰라몰라(MOLA MOLA)"라는 물고기를 아시나요? 

아마 "개복치" 라는 이름으로 많은 분들이 알고계시겠죠?

네, 몰라몰라는 개.복.치의 학명입니다. 

이름도 생김새처럼 유니크합니다. 

그리고 게임으로 더 많은 분들이 아실거 같습니다. 얼마전까지 SNS에서 엄청난 화제를 몰고온 모바일 게임이었죠! <살아남아라 개.복.치!> 이 게임에서 우리 몰라몰라는 계속 죽습니다.......


게임플레이는 굉장히 단순하지만 결코 죽을수 없을 것만 같은 이유로도 계속해서 돌연사하는 몰라몰라때문에 플레이는 굉장히 까다롭고 어렵습니다. 

돌연사하는 이유는 정말다양한데요. 

<눈이 나빠 수족관에 부딪혀서 돌연사> 

<바다에서 점프하다 충격으로 돌연사> 

<동료가 죽는 모습을 보고 스트레스로 돌연사> 등등의 엄청나게 사소한 일들로 생을 마감합니다. 

게임에서는 이토록 연약한 정신상태를 가지고 있는 물고기인데, 

과연 실제로도 그런 물고기인걸까요?


개복치는 백과사전에는 복어목에 속하는 물고기입니다. 

아가미가 아주 작구요... 

등지느러미에 가시가 퇴화해서 배지느러미가 없는 애들이 많아요. 

그리고 바다의 중층에서 살고있어요. 

날씨가 좋거나 파도가 아주 잔잔하게 치는 날에 수면 위에 가끔식 올라와서 헤엄쳐서 다닐때도 있구요..

옆으로 누워서 둥둥둥 떠있기도 한답니다. 


몰라몰라 (MOLA MOLA)는 개.복치의 학명입니다. 

라틴어로는 맷돌을 뜻한다고 해요. 

몸이 회색 가죽처럼 표면이 거칠거칠하고 모양이 둥글둥글해서 맷돌과 닮았기 때문이지요. 

태국에서는 다른 이름인 맘보라고도 불리운다고 해요. 

바다 속에서 헤엄치고 있는 모습이 맘보 춤을 추는 여인을 떠오르게 한다고 해서 그렇다고 합니다.


개복치는 정말 게임처럼 예민할까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실거 같아요. 

확실하게 다른 어종에 비해서 몇십 배는 기르기가 아주 까다로운 물고기에 속한다고 해요. 

먹이는 아주 잘먹는 편에 속하지만, 

작은 상처 하나에도 민감하게 반응을 하구요, 수질의 상태에 따라서도 컨디션이 달라지며, 

빛에도 아주 민감하다고 합니다

정말 게임처럼 관람객이 터뜨린 플래시에 깜짝 놀라 먹이를 거부하고 결국 몸상태가 악화되어 죽기도 한데요.


눈이 큰 생물들은 겁이 많다고들 하죠. 

눈이 큰 개.복.치도 그렇답니다. ^^ 

관람객들이 아주 뚫어져라 쳐다보며 구경하게 되면 겁이나서 몸을 숨기기도 하구요 또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직진만 하는 습성이 있어서 수족관 벽에 부딪혀서 죽기도 한답니다.


게임처럼 너무 어이없게 죽는것은 아니지만 예민하고 스트레스에 취약하다는 것은 사실이었네요!

다행이도 수족관이 아닌 드넓은 해양에서는 천적이 없다고 합니다. 

워낙에 몸통이 크기 때문에 상어와 같은 물고기가 아니라면 잘 덤비지 않는다고 하네요. 

유일한 천적이라고 한다면, 인간이라고.. 

그냥 바다속에서 유유히 스트레스 만 받지 않고 산다면 아주아주 오래 살 수 있는 물고기라고 합니다.


네,개복치는 한번에 낳을 수있는 알이 3억개입니다. 정말 대단하죠? 

하지만 살뜰하게 사랑스럽게 그 알들을 돌봐 주는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그냥 알을 방생한 후 치어가 되어 태어나게 되든지 죽게 되던지 그것은 바다의 운명에 맡겨버린다고 해요. 

그래서 성체가 되는 개체는 한두 마리 정도에 불과 할 정도로 생존률이 아주 낮다고 합니다.


 

출처] 몰라몰라 개복치는 정말 연약한 물고기인 걸까요?|작성자 FIRA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