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동물문(軟體動物門 Mollusca) 두족강(頭足綱 Cephalopoda)의 팔완목(八腕目 Octopoda)에 속하는 동물들 또는 얕은 바다에 널리 분포하는 문어속(文魚屬 Octopus) 두족류(頭足類)의 총칭을 문어라고 한다.

여기까지는 학술 용어로써의 정의이고 우리 다이버들에게는 역시 크기에 관한 이야기가 주요 관심의 대상이다.

 
 

그 밖에 우리나라 방송 다큐멘터리를 비롯하여 본지에도 소개된 바로는 문어의 지극정성 자식사랑을 빼놓을 수 없다.

가끔 외지를 통해 보면 보호색을 띄고 있다가 강한 다리와 흡반(吸盤)으로 주 먹이인 물고기나 게를 사냥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비교적 높은 지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 바다 전역에서 그리 어렵지 않게 마주 할 수 있는 문어는 다이버들의 먹거리로 희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시간을 두고 생활사가 관찰된 기록이 그리 많지 않다.


본지도 ‘한국의 자연탐험'을 기획한 후,

지난 겨울 거대한 대왕문어를 소개하기 위해 여러 리조트에 협조 요청을 하였으나,

가끔 잡혀 나온 경우는 있지만 어디에 서식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는 힘들었다.

‘다이버가 대왕문어를 만나면 끄집어 내기 바쁘지, 누가 가만 두겠는가?'라는 예상을 못해 번번히 촬영에 실패하였다.

또한 이 당시 촬영 계획도 그저 사람과 비교될 수 있는 수중사진 만 얻겠다는 것에 급급하였다.

 
 

그런데 이번 독도 탐사 중 야간 다이빙에서 만난 문어들은 그 크기는 대왕문어급은 아니더라도 필자 역시 처음 보는 행동을 관찰할 수 있어 전화위복의 결과로 오히려 더 좋은 그림과 내용을 얻을 수 있었다.

처음에는 그냥 지나칠 뻔했으나 관심을 가지고 보니 문어의 또 다른 먹이 사냥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야말로 우연히 마주하게 된 특종이었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면,

 

우리 인간들이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고기잡이 방법으로서,

투망을 던지듯 자기 몸을 활짝 펼쳐 고기를 가둬 잡아먹는 광경이 목격되었다.

우선 이런 사냥법은 때와 장소에 따라 달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고기가 완전 숙면 상태에 들어가는 일몰 후, 최소한 2~3시간 뒤에 사냥을 시작하고 장소 역시 큰 바위 지대보다는 자기 몸으로 충분히 에워 쌀 수 있어 물고기들이 도망갈 틈이 없는 작은 바위지대를 주요 사냥터로 잡고 있었다.

 
 

다만 몇 가지 꼭 밝히고 싶은 숙제가 남아 있어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사냥 시작의 첫 번째는 투망과 똑같은 원리로 적당한 장소 물색이다.

주로 다리의 주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바위 밑에 숨어있는 먹이들을 감지한다.

그 후에 목표물이 확인되면 아주 빠르게 몸을 최대한 펼쳐 탈출 경로를 막는다.

그 후, 빨아들인 물을 바위 틈 사이로 분사하여 잠자던 물고기가 놀라 튀어나오게 한 후 그물에 걸리 듯 몸의 어느 한 부분에 걸려들게 만든다.

그 후, 강력한 흡반으로 꼼짝 못하게 만들고 다리 하나를 잡힌 먹이에게 집어넣어 다시 한 번 옭아맨 다음, 한 쌍의 날카로운 악판(顎板)과 치설(齒舌)이 있는 입으로 보낸 후 잡아먹는다.

 
 

여러 정황을 살펴볼 때,

물고기보다는 도망속도가 느린 게나 바닷가재 등은

낮에 바위틈에 있는 놈을 긴 다리를 뻗쳐 잡아 먹고

야간에는 낮에 도저히 잡을 수 없는 물고기들이 잠든 틈을 이용해 투망 사냥법으로 잡아먹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중세계의 신비는 알면 알수록 더욱 재미있어지며

밝히고 싶은 의문점이 눈덩이처럼 점점 늘어만 가는 것이

바닷 속 세상에 대한 동경의 끈도 점점 굵고 튼튼해지는 것 같다.

 

 

범고래강치(바다사자)를 사냥하는 모습입니다.

바다에서 허겁지겁 물 밖으로 도망 나온 바다사자를 끝까지 좇아 와서

사냥하는 범고래의 무서움.

몸의 절반 이상을 육지로 내어 놓고는 바다사자를 입에 물고 물로 되 돌아 갑니다.

 


~~~~~~~~~~~~~~~~~~~~~~~~~~~~~~~~~~~~~~~~~~~~~~~~~~~~~~~~~~

영리한 살인 고래 (orca)의 사냥법이 밝혀졌다.

살인 고래는 그 수가 많아 멸종 위기 동물로는 분류되고 있진 않으며 실제로 전 세계 바다 곳곳에서 발견된다.

살인 고래는 날카로운 이빨이 있는 육식성 고래로 돌고래나 다른 종류의 고래를 공격하며 매우 똑똑한 고래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뉴질랜드 연구진에 의해 Journal Marine Mammal Science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살인 고래는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영리하게 먹이를 잡아 먹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발표 중 일부는 동영상 공유 사이트로 유명한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oxDZW4k8tCY&feature=related) 에도 발표되어 많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끌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30 여년 가량 전인 1979년 살인 고래가 무리를 지어 파도를 일으켜 얼음 위에 피신해 있던 바다 표범을 떨어 뜨려 잡아 먹는 장면이 목격되었는데,

그 당시 과학자들이 이 같은 행동이 우발적이고 일시적인 행동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뉴질랜드 연구진은 이와 같이 파도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먹이를 잡아 먹는 살인 고래의 행태를 6건 이상 더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최초의 발견이 우발적인 행동이 아니라 살인 고래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먹이 사냥 전략 중 하나라는 사실을 증명한다고 연구진은 밝히고 있다.

연구진에게 포착된 살인 고래의 먹이 사냥법은 우선 유빙을 조각으로 만들어 이것을 바닷물 속으로 떨어뜨려 파도를 일으키고 이로인해 얼음위에 피신해 있던 먹이감이 파도에 휩쓸려 바다속으로 떨어지도록 만드는 전략을 쓰고 있었다.

이러한 살인 고래의 사냥법은 그간 남극 지방에서만 발견되었었는데,

연구진은 남극 뿐 아니라 북극등 얼음이 있는 어떤 곳에서도 살인 고래는 얼음을 이용해 파도를 만들어 먹이를 잡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한다.

영리하기로 유명한 살인 고래는 그간 독특한 방법으로 먹이를 잡는 모습이 포착되어 화제가 된적이 있었는데,

지난 1970년대 아르헨티나 근처 해변에서 풀이 죽은 듯한 모습의 살인 고래가 발견된 적이 있었다.

지친 기색의 모습으로 주변의 바다 표범에게 접근하여,

그들의 경각심을 없앤 후 갑자기 큰 소리를 내며 바다 표범을 덥치는 모습이 목격된 적이 있었다.

이러한 방법의 먹이 사냥법은 그 후로도 수백차례이상 더 발견되어 살인 고래가 먹이를 잡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널리 받아 들여 지고 있다고 한다.

살인 고래의 먹이 사냥법중 특이한 점은 이런 사냥법을 자식들에게도 가르쳐 주는 듯한 모습이 종종 발견된다는 것이다.

무리를 지어서 먹이를 덥치는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면 어린 고래들도 같이 끼여 있음을 종종 발견할 수가 있다고 한다.

또한 어린 고래에게 어미 고래가 먹이를 잡아 보라고 마치 옆구리를 찌르면서 권유하는 듯한 모습도 발견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엔 먹이를 잡은 후 다시 이를 얼음 위에 돌려 두고,

어린 고래로 하여금 다시 한번 "실습"할 기회를 주는 장면도 목격되기도 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고래의 행태를 이용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전망이다.

 

출처: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바다의 항해자들 혹등고래

(Humpbacks)

 

인터넷 TV 공용 애드무비. 리얼 라이프 동물 다큐

 

매년 돌고래와 고래들은

소비국인 일본 때문에 20,000여 마리가 죽고,

humpbacks라 불리는 혹등고래 역시 50여 마리가 죽음을 맞이한다. 

 

 

+참고사진

 

 

 

 

 

출처 : 프리  |  글쓴이 : 실비아 원글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