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이동형 스피커

 

훅에 걸어 놓으면 전원이 연결되고, 

집안 어느 곳에서든지 라디오 전파를 타고 소리가 나온다. 

집 어디서든 손쉽게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제품.

 

 

 

 

 [관련링크] Davidgranath

'상품 현미경 > ┃ 새론 상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이 빛나는 이어폰  (0) 2007.03.13
문자메시지 허공에 쏜다  (0) 2007.02.25
마우스로 마사지를.....  (0) 2007.02.19
"레인보우 로즈"  (0) 2006.11.30
초소형 USB 메모리  (0) 2006.11.26

`사람 마음 읽는' 기술 개발

 

 미래 사회의 범죄 예방 시스템을 소재로 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2050년대를 무대로 한 이 영화에는 첨단 기술로 아직 일어나지 않은 범죄를 예측해 범죄자를 검거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

이런 일이 현실에서도 머지않아 가능해질 전망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 인터넷판은 뇌의 움직임을 분석해 사람의 마음과 생각을 읽는 기술이 개발됐다고 9일 보도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 런던대학(UCL), 독일 막스 플랑크 인지.뇌과학 연구소의 신경 과학자들은 고해상도의 뇌 스캐너를 사용해 사람이 가까운 장래에 무슨 일을 할 것인지를 보여주는 뇌의 움직임 유형을 판별했다.

 

연구팀은 자원자들에게 두 개 수를 더하거나 뺄지를 결정하라고 한 뒤 뇌 스캐너와 뇌 움직임의 미묘한 차이를 포착하도록 고안된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해 사람이 수를 더하거나 빼려고 할 때 바뀌는 뇌 부위에서 뇌의 움직임 유형(signature of activity)을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막스 플랑크 인지.뇌과학 연구소의 존-딜란 하이네스 교수는 뇌 스캐너를 이용하면 "벽에 쓰여 있는 글을 읽기 위해 회중전등을 비춰보는 것 처럼"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신문은 사람의 마음을 속속들이 읽을 수 있는 이 기술이 생각으로 조종 가능한 휠체어, 인공 팔다리는 물론 범죄나 테러 수사에도 이용될 수 있다면서,

미래에 이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지를 놓고 윤리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하이네스 교수는 "이런 기술들이 미칠 영향에 대해 윤리적인 측면에서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 기술들은 불과 몇년 안에 눈 앞에 펼쳐질 것이며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케임브리지 대학의 바버라 사하킨 신경정신과 교수는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범죄를 미리 막는 `마이너리티 리포트'와 같은 사회가 되길 원하느냐"고 반문한 뒤 신경과학 기술들로 인해 마이너리티 리포트와 같은 사회가 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지적했다.

 

출처:[연합뉴스 2007-02-09 13:04] 황윤정 기자 yunzhen@yna.co.kr

AIST(National Institute of Advance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국립 고등 산업 과학 기술원)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자원 연구기관의 에너지 컨트롤 박막 그룹(Energy Control Thin Film Group of the Materials Research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의 책임연구원 카주키 요시무라(Kazuki Yoshimura)산후 바오(Shanhu Bao) 연구원과 공동으로 반사거울을 투명한 유리로 바꿀 수 있는 거울유리를 위한 박막을 개발했다.

 

이제까지의 연구에서는 마그네슘-니켈(magnesium-nickel) 합금으로 만든 박막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 재질은 투명한 유리가 되면 노란색을 띠는 문제가 있다.

이 노란색은 건물이나 자동차 창문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실제 응용에 장애 요인이었다.


새로 개발된 박막은 마그네슘-티타늄(magnesium-titanium) 합금으로 만들었다.

이 박막으로 가로 60cm 세로 70cm크기의 유리를 만들었다.

이 시제품이 반사거울에서 투명한 유리로 바뀐다는 점은 확인했다. 

 

 

거울 유리는 내부 표면이 이 박막으로 코팅된 두개의 층으로 되어있다.

1%정도의 낮은 농도의 수소나 20%정도 농도의 산소를 함유한 기체를 두 층 사이에 주입하여 거울에서 유리로 유리에서 거울로 바꿔준다.

 

이 거울유리는 투명도와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유리를 건물이나 자동차의 창문에 사용할 경우 상당히 많은 양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그동안 여러 종류의 스위치 가능한 거울유리가 개발 되었다.

전기 신호에 따라 유리의 색깔 변화로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전기 크롬화 유리(electrochromic glasse)는 이미 상업화 되었다.


그러나 이런 제품들은 에너지 효율문제를 해결 하지 못했다.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색상을 띠는 박막은 빛을 흡수하면 유리의 온도가 올라간다.

온도가 올라가면, 실내에 적외선을 방출하게 되고 유리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빛의 흡수가 아니라 빛의 반사로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반사 물질이 이상적이다.


1996년에 네덜란드의 한 연구진이 이트리윰(yttrium)란탄늄(lanthanum)으로 얇은 층의 팔라디윰(palladium) 박막을 개발했다.

이 박막은 수소화와 탈수소화 반응에 따라 반사 거울에서 투명한 유리로 바뀌는 제품이었다.

그러나 이 재질은 너무 희귀하고 비싸서 큰 창문과 같은데 쉽게 응용 할 수 없었다.


미국의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의 연구진은 마그네슘-니켈 합금으로 스위치 가능한 박막 거울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투명한 상태에서도 짙은 갈색을 띠어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투명성이 높으면서도 값싸고 스위치 가능한 재질을 개발해야 했다.

우리는 박막 증착 장비를 이용해 마그네슘과 티타늄을 동시에 유리판에 증착해 40나노미터 두께의 마그네슘-티타늄 합금 박막을 만들었다.

이 위에 4나노미터 두께의 팔라디윰 박막을 진공 증착해 스위치 가능한 박막을 만든 것이다.

이를 유리에 대면 반사 거울이 되지만 산소가 없는 수소기체에 노출되면 다시 투명한 유리로 변한다.

수소가 없는 산소기체에 노출되면 다시 반사 거울로 변한다.

이런 변화는 정말 인상적이다.

실제 사용되는 스위치 가능한 창문은 안쪽을 박막으로 코팅한 두층의 유리로 되어있다.

1%정도의 낮은 수소농도를 함유한 기체와 20%정도의 산소농도의 기체를 이 두 창 사이에 주입함으로써 스위치가 일어난다.

이 변화 과정에 사용되는 수소와 산소는 물분해로 쉽게 생산할 수 있다.

 

우리는 가로 60cm 세로 70cm 크기의 시제품을 개발해 테스트 해봤다.

이 박막의 스위치 기능은 훌륭했다.

이 제품은 풀 사이즈로 생산된 첫 번째 스위치 가능한 거울유리이다.


우리는 반복되는 스위칭으로 인해 생기는 제품의 내구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 중이다.

동시에 이 박막이 유리 이외에도 다양한 투명 물질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소의 지원을 받고 있는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전략적 기술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 물질로 코팅한 다양한 스위치 가능한 거울 필름들을 개발하고 있다.

우리는 이 박막을 단지 창문에 붙이기만 해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더 박차를 가할 것이다.

 

출처: AIST

+ Recent posts